본문내용
효과
· 이상을 느끼는 상태 → 평형상태 → 제어 불가능 상태
- 열은 몸의 심층부에 집중적으로 축적 됨
· 혈관 분포가 적은 눈, 고환이 위험
- 열은 40cm/s으로 확산 → 평형 상태로 이행
전파에 의한 눈의 장해
· 백내장
- 안구 내의 렌즈 부분 온도 상승
- 41℃를 넘으면 흰색으로 변하는 부분이 생김
→ 1~6일 잠복기 거쳐 백내장 발증(단백질의 변성 현상)
- 1952년 레이다 기술자에게 발생(F.Hirsch 보고)
- 1974년 전자레인지에 의한 백내장 보고
- 임계 전력밀도 레벨을 제시(A.W.Gay, 1975)
백내장을 발생시키는 전력밀도와 쬐는 시간
· 백내장
- E.Guy et. al., MTT-23, 1975
- 이하에서는 백내장 되지 않음 → SAR
안구
· Richardson et. al., 1951
- 마이크로파를 쪼임으로써 생기는 소 안구의 hot spot(온도 최대점)
→ 주파수가 바뀌면 hot spot가 이동함
신경성 내분비계의 영향
· 생체기능에서 내분비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은 밀접하다
· 내분비계와 전파의 관계
- 3GHz, , dog에 쪼이면
→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레벨 증대, 혈중 칼륨 감소, 혈중 나트륨의 증대
(I.R.Petruov, 1970)
전파의 인체영향
· 열효과 : 미국 / 비열효과 : 러시아
→ 러시아의 안전기준이 미국의 안전기준보다 엄격함
학습정리
· 정전기에 대한 인체의 반응
· 전자파의 열효과
전자파의 인체영향 (2)-(2) -
- 학습내용
· 생활 주변 전자파의 안전성
- 휴대폰 및 기지국의 안전성
- 20kHz 대역(모니터 등)의 전자파
·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는가?
학습목표
· 동영상을 통하여 휴대폰 및 기지국, 모니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안정성에 대해 설명한다.
· 동영상을 통하여 전자파 차단제품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 시청
· EMF 사이트(http://www.emf.or.kr/)
- 우리결의 전자파
→ 포인트 : 생활주변 전자파, 즉 휴대전화 및 기지국의 전자파 안전성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을까?
휴대폰 많이 쓰는 아동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위험
· 신문기사에 과잉행동장애의 이유는 휴대폰의 전자파 때문이라고 알리고 있다
성인과 1세 어린아이의 SAR의 비교
· 성인보다 아이들이 전자파를 더 잘 흡수한다.
학습정리
· 생활 주변 전자파의 안전성
- 휴대폰 및 기지국의 전자파
- 20kHz 대역(모니터 등)의 전자파
·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는가?
전자파의 인체영향 (2)-(3) -
- 학습내용
· 전파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ANSI ‘66 안전기준
(ASN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내에서 기술표준 개발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된 제1차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
- ANSI ‘82 안전기준
· SAR(전자파흡수율)
학습목표
· 전파의 안전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 SAR(전자파흡수율)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파 안전기준
· 어떤 전파가 안전한가?
- 강한 전파는 위험
- 약한 전파는 안전
구 소련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 가정, 1시간 동안 쪼이면 기능장해가 발생함
- 안전율 고려하여 (1/10), 로 정함
미국의 안전기준
· 미국 ANSI ‘66 안전기준 :
- 1953년, H.P.Schwan
- 가정, 24시간 동안 쪼이면 체온이 1도 상승함
- 안전율을 고려하여 (1/10), 로 정함
→ 열적인 효과만 고려됨
- 1977년 소련의 미국대사관의 모스크바 시그날
→ 당 로써 Schwan에 의한 기준인 보다 작아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
모스크바 시그날(1977)
1. 전력밀도 : 당
(Schwan에 의한 기준인 보다 작아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
2. 조사시간 : 하루 18시간
3. 대사관 직원 : 메스꺼움, 두통, 임파선암 등이 나타남
→ 미약한 전자파의 장시간 노출에 대한 비열적인 효과
미국의 안전기준
· 미국 ANSI ‘82 안전기준 : SAR 0.4 W/kg(0.1시간 평균)
- SAR(전자파흡수율) 개념을 도입하여 정량적으로 결정함
- 실험동물에 의한 행동변화의 주의 깊은 관찰 결과
- SAR : 4W/kg에서 반응이 나타남
- 주파수, 쪼이는 방법, 동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
- 따라서, SAR 4W/kg은 생체효과의 불변량으로 생각되고 있음
- 안전율(1/10)을 고려하여 SAR 0.4W/kg를 안전기준으로 정함
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전자파흡수율, 특이흡수율
· 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 단위시간당 인체의 단위질량(1kg 또는 1g)에 흡수되는 전자파 에너지의 양
- 단위는 W/kg, 또는
SAR(전자파흡수율) 기준
· 머리 부분에 대한 SAR의 허용 기준
-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
- 유럽, 일본 :
- 한국 :
→ 2002년 12월부터, 출시되는 모든 휴대폰에 SAR값을 명시하도록 함
·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비이온화방사선방호협회(ICNIRP)’의 권고기준
- 인체 10g당 평균값을 계산했을 때 2W/kg이상 되지 않아야 함
미국 ANSI ‘82 안전기준은 장시간 쪼여지면 경우에 대해서는 논의하고 있지 않다
→ 단기적인 효과를 억제해두면 장기적인 효과는 발생 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안전기준 비교
· ANSI ‘66기준 : 열적 관계만 고려
· 구 소련 기준 : 열적, 비열적 관계 모두 고려
- 동유럽의 기준은 미국의 기준보다 1/1000 →
전자파의 안전기준 : 300kHz ~ 300GHz
· 미국과 소련의 기준비교
→ 1000배 차이가 있음
학습정리
· 전파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 ANSI ‘66 안전기준 :
- ANSI ‘82 안전기준
· SAR(전자파흡수율) : SAR
평가하기
1. 고압 송전선로는 60Hz의 전자파가 도체로 구성된 선로 속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주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X
2. 휴대폰의 전자파와 고압 송전선로의 전자파는 주파수가 다르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같다. 과연 그럴까? X
· 이상을 느끼는 상태 → 평형상태 → 제어 불가능 상태
- 열은 몸의 심층부에 집중적으로 축적 됨
· 혈관 분포가 적은 눈, 고환이 위험
- 열은 40cm/s으로 확산 → 평형 상태로 이행
전파에 의한 눈의 장해
· 백내장
- 안구 내의 렌즈 부분 온도 상승
- 41℃를 넘으면 흰색으로 변하는 부분이 생김
→ 1~6일 잠복기 거쳐 백내장 발증(단백질의 변성 현상)
- 1952년 레이다 기술자에게 발생(F.Hirsch 보고)
- 1974년 전자레인지에 의한 백내장 보고
- 임계 전력밀도 레벨을 제시(A.W.Gay, 1975)
백내장을 발생시키는 전력밀도와 쬐는 시간
· 백내장
- E.Guy et. al., MTT-23, 1975
- 이하에서는 백내장 되지 않음 → SAR
안구
· Richardson et. al., 1951
- 마이크로파를 쪼임으로써 생기는 소 안구의 hot spot(온도 최대점)
→ 주파수가 바뀌면 hot spot가 이동함
신경성 내분비계의 영향
· 생체기능에서 내분비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은 밀접하다
· 내분비계와 전파의 관계
- 3GHz, , dog에 쪼이면
→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레벨 증대, 혈중 칼륨 감소, 혈중 나트륨의 증대
(I.R.Petruov, 1970)
전파의 인체영향
· 열효과 : 미국 / 비열효과 : 러시아
→ 러시아의 안전기준이 미국의 안전기준보다 엄격함
학습정리
· 정전기에 대한 인체의 반응
· 전자파의 열효과
전자파의 인체영향 (2)-(2) -
- 학습내용
· 생활 주변 전자파의 안전성
- 휴대폰 및 기지국의 안전성
- 20kHz 대역(모니터 등)의 전자파
·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는가?
학습목표
· 동영상을 통하여 휴대폰 및 기지국, 모니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안정성에 대해 설명한다.
· 동영상을 통하여 전자파 차단제품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 시청
· EMF 사이트(http://www.emf.or.kr/)
- 우리결의 전자파
→ 포인트 : 생활주변 전자파, 즉 휴대전화 및 기지국의 전자파 안전성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을까?
휴대폰 많이 쓰는 아동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위험
· 신문기사에 과잉행동장애의 이유는 휴대폰의 전자파 때문이라고 알리고 있다
성인과 1세 어린아이의 SAR의 비교
· 성인보다 아이들이 전자파를 더 잘 흡수한다.
학습정리
· 생활 주변 전자파의 안전성
- 휴대폰 및 기지국의 전자파
- 20kHz 대역(모니터 등)의 전자파
· 전자파 차단제품은 효과가 있는가?
전자파의 인체영향 (2)-(3) -
- 학습내용
· 전파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ANSI ‘66 안전기준
(ASN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내에서 기술표준 개발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된 제1차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
- ANSI ‘82 안전기준
· SAR(전자파흡수율)
학습목표
· 전파의 안전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 SAR(전자파흡수율)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파 안전기준
· 어떤 전파가 안전한가?
- 강한 전파는 위험
- 약한 전파는 안전
구 소련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 가정, 1시간 동안 쪼이면 기능장해가 발생함
- 안전율 고려하여 (1/10), 로 정함
미국의 안전기준
· 미국 ANSI ‘66 안전기준 :
- 1953년, H.P.Schwan
- 가정, 24시간 동안 쪼이면 체온이 1도 상승함
- 안전율을 고려하여 (1/10), 로 정함
→ 열적인 효과만 고려됨
- 1977년 소련의 미국대사관의 모스크바 시그날
→ 당 로써 Schwan에 의한 기준인 보다 작아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
모스크바 시그날(1977)
1. 전력밀도 : 당
(Schwan에 의한 기준인 보다 작아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
2. 조사시간 : 하루 18시간
3. 대사관 직원 : 메스꺼움, 두통, 임파선암 등이 나타남
→ 미약한 전자파의 장시간 노출에 대한 비열적인 효과
미국의 안전기준
· 미국 ANSI ‘82 안전기준 : SAR 0.4 W/kg(0.1시간 평균)
- SAR(전자파흡수율) 개념을 도입하여 정량적으로 결정함
- 실험동물에 의한 행동변화의 주의 깊은 관찰 결과
- SAR : 4W/kg에서 반응이 나타남
- 주파수, 쪼이는 방법, 동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
- 따라서, SAR 4W/kg은 생체효과의 불변량으로 생각되고 있음
- 안전율(1/10)을 고려하여 SAR 0.4W/kg를 안전기준으로 정함
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전자파흡수율, 특이흡수율
· 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 단위시간당 인체의 단위질량(1kg 또는 1g)에 흡수되는 전자파 에너지의 양
- 단위는 W/kg, 또는
SAR(전자파흡수율) 기준
· 머리 부분에 대한 SAR의 허용 기준
-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
- 유럽, 일본 :
- 한국 :
→ 2002년 12월부터, 출시되는 모든 휴대폰에 SAR값을 명시하도록 함
·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비이온화방사선방호협회(ICNIRP)’의 권고기준
- 인체 10g당 평균값을 계산했을 때 2W/kg이상 되지 않아야 함
미국 ANSI ‘82 안전기준은 장시간 쪼여지면 경우에 대해서는 논의하고 있지 않다
→ 단기적인 효과를 억제해두면 장기적인 효과는 발생 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안전기준 비교
· ANSI ‘66기준 : 열적 관계만 고려
· 구 소련 기준 : 열적, 비열적 관계 모두 고려
- 동유럽의 기준은 미국의 기준보다 1/1000 →
전자파의 안전기준 : 300kHz ~ 300GHz
· 미국과 소련의 기준비교
→ 1000배 차이가 있음
학습정리
· 전파의 안전기준
- 구 소련의 안전기준 :
- ANSI ‘66 안전기준 :
- ANSI ‘82 안전기준
· SAR(전자파흡수율) : SAR
평가하기
1. 고압 송전선로는 60Hz의 전자파가 도체로 구성된 선로 속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주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X
2. 휴대폰의 전자파와 고압 송전선로의 전자파는 주파수가 다르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같다. 과연 그럴까? 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