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와 시공] The TRUFFLE,Felipe Assadi,Francisca Pulido (안톤 가르샤, 펠리프 아사디).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료와 시공] The TRUFFLE,Felipe Assadi,Francisca Pulido (안톤 가르샤, 펠리프 아사디).ppt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재료와 시공
Materials
Construction

Materials
Construction

본문내용

재료와 시공

〓〓〓〓〓〓〓〓〓〓〓〓〓〓〓〓〓〓〓〓〓〓〓〓〓〓〓〓〓〓〓〓〓〓〓〓〓〓〓〓〓〓〓〓〓〓〓〓〓〓〓

일단 재료와 시공 수업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재료와 시공 위주의 사례를 찾아보았습니다.




  ≪ 사 진 ≫

〓〓〓〓〓〓〓〓〓〓〓〓〓〓〓〓〓〓〓〓〓〓〓〓〓〓〓〓〓〓〓〓〓〓〓〓〓〓〓〓〓〓〓〓〓〓〓〓〓〓〓

근대 이후 건축의 급격한 발전 이면에는 바로 콘크리트와 철근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 때문에 우리는 현재의 도시를 형성할 수 있었고 토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건축의 뼈대와 살의 가장 기본재료가 되는 이 자재들은 분명 건축의 실용성을 확대하고 기존 건축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는데는 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재료의 다양화 측면에서는 오히려 마이너스 요인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특히 콘크리트의 대중화는 타 재료들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지구를 점차 도시화시켜만 간다. 장소성을 무시한 건축물이 속속 등장하고 주위 환경에 아랑곳하지 않은 차가운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지금도 끊임없이 생성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과제는 재료와 시공 측면에서 콘크리트로의 차가운 절제미로부터 과감히 탈피를 추구하는 건축물을 위주로 조사해보았다.




  ≪ 사 진 ≫




  ≪ 글 - 그림 파일 ≫

〓〓〓〓〓〓〓〓〓〓〓〓〓〓〓〓〓〓〓〓〓〓〓〓〓〓〓〓〓〓〓〓〓〓〓〓〓〓〓〓〓〓〓〓〓〓〓〓〓〓〓

안톤 가르샤는 공간을 만드는 재료의 본질을 탐구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그의 작품 타입은 재료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누어 진다. 빔과 스톤, 트러플 총 3타입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번에 선정한 프로젝트는 트러플 타입의 작품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4.10.27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43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