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처리과정(회계순환과정) - 거래의 식별, 분개(journalizing), 전기(Posting), 장부마감과 결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회계처리과정(회계순환과정) - 거래의 식별, 분개(journalizing), 전기(Posting), 장부마감과 결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회계처리과정(회계순환과정)

Ⅰ. 거래의 식별

Ⅱ. 분개(journalizing)

Ⅲ. 전기(Posting)

Ⅳ. 장부마감과 결산

본문내용

때문에 회계상의 거래에 해당되지 않는다.
(2) 분개
분개(journalizing)란 회계상의 거래에서 발생되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또는 비용의 증가 또는 감소를 (1) 어느 재정과목에, (2) 차변 또는 대변에, (3) 얼마의 금액으로 기입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절차를 말한다. 즉, 발생된 거래의 재정과목과 거래금액을 결정하고 차변기입금액과 대변기입금액을 구분하여 정리하는 절차를 분개라 한다. 복식부기에서 모든 거래는 차변요소와 대변요소가 항상 같은 금액으로 나타난다. 이를 거래의 이중성이라 하며, 어떤 거래의 원인과 결과가 대칭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분개는 흔히 전표 상에서 이루어진다.
재정과목(account)이란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분개요소에 대해 간결하게 부여된 명
칭을 말하는 것으로 각 거래는 분개를 통해 각 단위재정과목별로 구분되어 집계될 수 있도록 나뉘어진다.
각 단위재정은 회계상의 대분류 5과목(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어느 하나에 속하게 되며, 대분류 5과목 각각의 특성에 따라 분개를 하게 된다. 대분류 5과목은 차변에 잔액이 남는 과목(차변항목)인 자산 비용과 대변에 잔액이 남는 과목(대변항목)인 부채 자본 수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변에 잔액이 남는 과목의 자기변은 차변이며 반대변은 대변이다. 대변에 잔액이 남는 과목의 자기변은 대변이며 반대변은 차변이다. 즉 자산과 비용의 자기변은 차변이며 반대변은 대변이다. 또 부채, 자본 및 수익의 자기변은 대변이고 반대변은 차변이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대분류 5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개원칙을 적용하여 거래를 분개한다.
분개의 원칙
1) 어떤 과목의 증가는 자기변에 기입한다.
2) 어떤 과목의 감소는 반대변에 기입한다.
계정기입의 원칙
다음과 같은 거래를 위의 원칙에 따라 분개해 보기로 한다.
(주)신안캠은 은행으로부터 단기차입금 100,000원을 현금으로 차입하였다.
이 거래에서는 단기차입금이 100,000원 만큼 증가하고 과 결과로 현금이 100,000원 만큼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기차입금(부채)의 증가는 자기변인 대변에 기입하고 현금(자산)의 증가는 자기변인 차변에 기입한다. 차변은 왼쪽에 기록하고 대변은 오른 쪽에 기입하도록 회계적 약속이 되어 있다. 이 거래의 분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차변) 현금 100,000원
(대변) 단기차입금 100,000원
(주)신안캠은 상품 20,000원어치를 외상으로 매입하였다.
이 거래에서는 상품(자산) 20,000원이 증가하였고 그 대가로 외상매입금(부채) 20,000원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품(자산)의 증가는 자기변인 차변에 기입하고 외상매입금(부채)의 증가는 자기변인 대변에 기입한다.
(차변) 상품 20,000원
(대변) 외상매입금 20,000원
(주) 신안캠은 상품 20,000원어치를 50,000원에 외상으로 판매하였다.
이 거래에서는 상품(자산) 20,000원이 판매로 인해 감소하였고 상품의 판매로 인한 감소는 매출원가(비용)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품을 판매하여 50,000원의 매출(수익)이 증가하였고 그 대가로 외상매출금(자산)이 50,000원 만큼 증가하였다.
(3) 전기
전기(Posting)란 발생된 거래의 분개내용을 각 해당 재정의 장부에 옮겨 적는 것을 말한다. 거래의 분개가 전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전기는 흔히 전표에서 해당 계정의 원장으로 옮겨 적게 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회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한 전기절차는 생략되며, 대신 전표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전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장부의 기장이라고 한다.
장부(총계정원장)의 예는 다음과 같다.
(4) 장부마감과 결산
회계기간이 경과되면 각 재정의 잔액을 집계하기 위하여 장부가 마감되어야 한다. 자산재정과 비용재정의 잔액은 차변에 발생되기 때문에 장부의 차변누계잔액에서 대변누계잔액을 차감하면 재정잔액이 남게 된다. 부채재정, 자본재정 및 수익재정의 잔액은 대변에 발생되기 때문에 대변누계잔액에서 차변누계잔액을 차감하면 재정잔액이 남게 된다.
장부가 마감되면 전 재정과목에 대하여 차변잔액, 대변잔액 및 재정잔액을 집계한 합계잔액시산표가 작성되며, 결산조정사항을 반영한 후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및 현금흐름표를 작성하고, 제조원가명세서와 각 재정명세서를 작성하여 결산을 하게 된다.
총재정원장을 마감하여 작성된 합계잔액시산표와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회계의 순환과정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0.29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4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