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신뢰도와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 2절 측정 오류(Measurement Error)
제 2절 측정 오류(Measurement Error)
본문내용
질문의 뜻을 잘 이해하도록 해야 함. 조사자가 훈련되어 있지 않으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경우 조사자마다 다른 해석을 하여 응답에 일관성이 없게 됨
③ 만약 관찰을 통한 조사라면 클라이언트가 관찰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자신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부자연스러운 행동과 과장된 행동이 나올 수 있기 때문.
④ 만약 기존의 자료를 이용한다면 너무 그 자료를 신뢰해서는 안됨. 잘못 조사된 자료일 수도 있으므로 이 자료를 보충해 줄 수 있는 다른 자료를 찾아보는 것이 좋음.
⑤ 자료수집시 한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가지 다른 자료수집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음. 이를 전문적 용어로 다각적 자료수집법(triangulation)이라고 함. 즉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얻었다면 이를 보충할 기존의 자료나 관찰 등의 방법을 추가해 얻어진 자료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검토해 보는 것이 좋음.
⑥ 응답자가 응답하는 환경에 대해 미리 세심한 배려를 하여 환경으로 인해 제대로 된 응답을 못하는 경우를 사전에 방치하여 무작위 오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해야 함
⑦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도구를 이용하여 오류발생을 줄일 수 있음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③ 만약 관찰을 통한 조사라면 클라이언트가 관찰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자신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부자연스러운 행동과 과장된 행동이 나올 수 있기 때문.
④ 만약 기존의 자료를 이용한다면 너무 그 자료를 신뢰해서는 안됨. 잘못 조사된 자료일 수도 있으므로 이 자료를 보충해 줄 수 있는 다른 자료를 찾아보는 것이 좋음.
⑤ 자료수집시 한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가지 다른 자료수집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음. 이를 전문적 용어로 다각적 자료수집법(triangulation)이라고 함. 즉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얻었다면 이를 보충할 기존의 자료나 관찰 등의 방법을 추가해 얻어진 자료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검토해 보는 것이 좋음.
⑥ 응답자가 응답하는 환경에 대해 미리 세심한 배려를 하여 환경으로 인해 제대로 된 응답을 못하는 경우를 사전에 방치하여 무작위 오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해야 함
⑦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도구를 이용하여 오류발생을 줄일 수 있음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