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분거가족의 개념과 현황
제 2절 분거가족을 위한 복지사업
제 2절 분거가족을 위한 복지사업
본문내용
② 주말가족이 겪는 심리적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위한 상담프로그램이 부분적으로 제공
※맞벌이 부부를 위한 외국의 복지사업
국가
복지사업
미국
- 육아휴직제도 : 12주간의 휴가제공
- 보육서비스 : 헤드스타트, 공립학교제도, 민간 보육서비스
- 사회적 지원서비스 : 가사노동서비스, 상담프로그램 등
영국
- 법정출산수당 : 취업여성의 출산 시 제공
- 출산휴가 및 부모휴직제도 : 18주간 출산휴가, 만5세 이하 자녀를 위한
13주간 무급휴가
- 보육서비스 : 시설보육, 가정보육, 유아원, 유아학급, 놀이그룹, 예비
학교 등 다양한 보육시설 제공
스웨덴
- 법 : 육아 등 휴직권리에 관한 법, 부모보험법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 전일후직형과 단축형(근로시간을 6시간,
8시간으로 단축)
- 부모보험제도 : 부모현금급여를 통한 경제적 보상
- 공보육제도 : 취학 전 교육법에 의거 6세 이하 아동의 종일제 보육 지원
일본
- 육아휴직제도 : 임금의 25% 육아휴직 급여, 산전 6주, 산후 8주의
휴가제공 등
- 육아휴업제도 : 전일 육아휴업 및 부분휴업제도, 출산 시 아버지에게
5일간 휴가
4. 분거가족을 위한 복지사업의 개선방향
- 분거가족의 수
: 앞으로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가족경제의 향상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분거가족
: 가족구성원의 개방적인 진로모색을 위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모형 하나로 이해
- 분거가족 내 아동
: 자신의 선택이 아닌 부모의 결정에 의해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환경에 놓이
게 되며,이러한 상황이 이들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음
- 연구결과
: 주말가족은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양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나 죄책감 등을 현실적
어려움,자녀의 독립심 발달과 자녀와의 함께하는 시간의 질적인 증가 등의 긍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음(곽인숙,2003)
① 분거가족 내 아동이 겪는 심리적인 문제나 자녀양육과 관련된 가족 내 적응에 관한
문제들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함
② 분거가족 내 아동의 심리적,정서적 발달을 위해 아동복지적 차원에서 적절한 지원책이
모색되어야 함
참고문헌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맞벌이 부부를 위한 외국의 복지사업
국가
복지사업
미국
- 육아휴직제도 : 12주간의 휴가제공
- 보육서비스 : 헤드스타트, 공립학교제도, 민간 보육서비스
- 사회적 지원서비스 : 가사노동서비스, 상담프로그램 등
영국
- 법정출산수당 : 취업여성의 출산 시 제공
- 출산휴가 및 부모휴직제도 : 18주간 출산휴가, 만5세 이하 자녀를 위한
13주간 무급휴가
- 보육서비스 : 시설보육, 가정보육, 유아원, 유아학급, 놀이그룹, 예비
학교 등 다양한 보육시설 제공
스웨덴
- 법 : 육아 등 휴직권리에 관한 법, 부모보험법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 전일후직형과 단축형(근로시간을 6시간,
8시간으로 단축)
- 부모보험제도 : 부모현금급여를 통한 경제적 보상
- 공보육제도 : 취학 전 교육법에 의거 6세 이하 아동의 종일제 보육 지원
일본
- 육아휴직제도 : 임금의 25% 육아휴직 급여, 산전 6주, 산후 8주의
휴가제공 등
- 육아휴업제도 : 전일 육아휴업 및 부분휴업제도, 출산 시 아버지에게
5일간 휴가
4. 분거가족을 위한 복지사업의 개선방향
- 분거가족의 수
: 앞으로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가족경제의 향상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분거가족
: 가족구성원의 개방적인 진로모색을 위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모형 하나로 이해
- 분거가족 내 아동
: 자신의 선택이 아닌 부모의 결정에 의해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환경에 놓이
게 되며,이러한 상황이 이들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음
- 연구결과
: 주말가족은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양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나 죄책감 등을 현실적
어려움,자녀의 독립심 발달과 자녀와의 함께하는 시간의 질적인 증가 등의 긍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음(곽인숙,2003)
① 분거가족 내 아동이 겪는 심리적인 문제나 자녀양육과 관련된 가족 내 적응에 관한
문제들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함
② 분거가족 내 아동의 심리적,정서적 발달을 위해 아동복지적 차원에서 적절한 지원책이
모색되어야 함
참고문헌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