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공공부조와 사회보험
제 2절 공공부조와 근로조건부 복지 (work fare)
제 3절 빈곤함정 및 공공부조의 원칙
제 4절 공공부조의 특징
제 5절 우리나라 공공부조제도 발전과정
제 6절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의 의의
제 7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용
제 2절 공공부조와 근로조건부 복지 (work fare)
제 3절 빈곤함정 및 공공부조의 원칙
제 4절 공공부조의 특징
제 5절 우리나라 공공부조제도 발전과정
제 6절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의 의의
제 7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용
본문내용
임
- 2008년부터 1월 1 일부터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매월 지급되던 경로연금제도가 폐지되고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실시됨
- 현재의 어르신들은 격동의 현대사를 모두 거치면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자녀들이 잘 살 수 있도록 헌신해왔지만 정작 본인들의 노후대비는 제대로 하지
못하였음
- 실제로 소득이나 재산이 전혀 없이 생활하시는 등 경제사정이 어려운 어르신들이 많고
어르신들을 부양하는 자녀들의 경제적 부담도 큰 편임
-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매월 기초노령연금을 지급하므
로써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함
- 무기연금이며 재원은 국가의 일반재정으로 충당함
2. 목적
- 노인이 후손의 양육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 하여 온 점 을 고려하여 생활이 어
려운 노인에게 기초노령연금을 지급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기초노령연금법 제1조)
제 10절 지급 대상
1. 가입대상
-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70%('09년)의 어르신에게
지급하여 2009년도에 는 전체 509만명 중 356만 명이 해당됨
-2008년 1월부터는 70세 이상(1937. 12. 31 이전 출생자)의 어르신에게 2008년 7월부터
는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지급하였음
- 2010년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하위 70%를 선정하는 소득, 재산
기준은 노인 단독가구 70만 원이하, 노인 부부가구 112만 원 이하
- 소득인정액 = 월 소득평가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재산 - 기초공제액) + (금융재산 - 금융공제액)부채} × 소득환산율(5%) ÷ 12개월
제 11절 급여 내용 및 재원
1. 급여 내용
- 연금액은 국민연금가입자의 연금 수급전 3년간 평균소득월액의 5%기준으로 책정됨
- 2009년 4월 1일부터 2010년 3월 31일까지 단독수급자 매월 최고 88.000원, 부부수급자
매월최고 140,800원(노인단독연금액에서 20% 감하여 지급)
- 다만 수급자중에서도 일부 소득이 높거나 재산이 많은 경우 감액된 연금을 받게 됨
- 금액은 국민연금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에 따라 달라지므로 국민연금가입자의 소득이
(국민연금소득) 오르면 그만큼 연금액도 올라감
2. 재원
- 기초지방자치단체별 노인인구비율과 재정자립도를 기준으로 총 소요예산의 40~90% 범위 내에서 국고에서 차등 지원함
- 재정자립도가 90%이상이면 40%를 지원하고 80~90% 이면 50%,80%미만이면 70%를
지원함
- 여기에 노인인구비율이 14%이상 20%미만인 경우 10%를 추가로 지원하고 20%이상인
경우 20%를 추가로 지원함
참고문헌
김 태성 사회복지정책의 이해 나남 2001
최 일섭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 199
김 태성 사회복지정책입문 청목 2003
김 기원 한국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양 정하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3
- 2008년부터 1월 1 일부터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매월 지급되던 경로연금제도가 폐지되고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실시됨
- 현재의 어르신들은 격동의 현대사를 모두 거치면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자녀들이 잘 살 수 있도록 헌신해왔지만 정작 본인들의 노후대비는 제대로 하지
못하였음
- 실제로 소득이나 재산이 전혀 없이 생활하시는 등 경제사정이 어려운 어르신들이 많고
어르신들을 부양하는 자녀들의 경제적 부담도 큰 편임
-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매월 기초노령연금을 지급하므
로써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함
- 무기연금이며 재원은 국가의 일반재정으로 충당함
2. 목적
- 노인이 후손의 양육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 하여 온 점 을 고려하여 생활이 어
려운 노인에게 기초노령연금을 지급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기초노령연금법 제1조)
제 10절 지급 대상
1. 가입대상
-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70%('09년)의 어르신에게
지급하여 2009년도에 는 전체 509만명 중 356만 명이 해당됨
-2008년 1월부터는 70세 이상(1937. 12. 31 이전 출생자)의 어르신에게 2008년 7월부터
는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지급하였음
- 2010년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하위 70%를 선정하는 소득, 재산
기준은 노인 단독가구 70만 원이하, 노인 부부가구 112만 원 이하
- 소득인정액 = 월 소득평가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재산 - 기초공제액) + (금융재산 - 금융공제액)부채} × 소득환산율(5%) ÷ 12개월
제 11절 급여 내용 및 재원
1. 급여 내용
- 연금액은 국민연금가입자의 연금 수급전 3년간 평균소득월액의 5%기준으로 책정됨
- 2009년 4월 1일부터 2010년 3월 31일까지 단독수급자 매월 최고 88.000원, 부부수급자
매월최고 140,800원(노인단독연금액에서 20% 감하여 지급)
- 다만 수급자중에서도 일부 소득이 높거나 재산이 많은 경우 감액된 연금을 받게 됨
- 금액은 국민연금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에 따라 달라지므로 국민연금가입자의 소득이
(국민연금소득) 오르면 그만큼 연금액도 올라감
2. 재원
- 기초지방자치단체별 노인인구비율과 재정자립도를 기준으로 총 소요예산의 40~90% 범위 내에서 국고에서 차등 지원함
- 재정자립도가 90%이상이면 40%를 지원하고 80~90% 이면 50%,80%미만이면 70%를
지원함
- 여기에 노인인구비율이 14%이상 20%미만인 경우 10%를 추가로 지원하고 20%이상인
경우 20%를 추가로 지원함
참고문헌
김 태성 사회복지정책의 이해 나남 2001
최 일섭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 199
김 태성 사회복지정책입문 청목 2003
김 기원 한국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양 정하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3
추천자료
사회복지와 공공부조
공공부조에 대하여 문헌조사하시오
공공부조에 관한 조사
공공부조에 관한 고찰
[사회보험][공공부조][불안정노동][비정규직][사회보험 평가]사회보험의 개념, 사회보험의 추...
외국의 공공부조(독일,미국)
공공부조의 개념과 발달배경, 우리나라 공공부조의 주요현황, 우리나라 공공부조이 주요 쟁점...
우리나라의 공공부조법과 사회보험법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논하시오.
공공부조公共扶助법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에 대해 설명하고,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주체, 재원조달방식, ...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
해마다 빈곤으로 인한 자살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표적인 공공부...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종류와 개념 적용대상과 급여대상을 설명하고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