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목적
★ 관계 이론
★ 회로도
★ 시뮬레이션 결과
★ 관계 이론
★ 회로도
★ 시뮬레이션 결과
본문내용
서 전류의 대수합은 각 순간에 있어서‘0’이다.
이 식은 임의의 시간 내에 노드에 흘러 들어간 전하만큼 흘러나온다는 것을 나타내며, 노드에서는 전하가 축적될 수 없고 발생할 수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전하량 보존의 법칙). 따라서 임의의 시간부터 까지 들어오는 전하의 양과 나가는 전하의 양이 같다.
KCL을 적용할 때 전류의 방향은 임의로 선장해도 되며, KCL을 적용한 결과 구하고자 하는 전류가 양(+)이면 실제의 전류가 선정된 방향으로 흐름의 의미하며, 음(-)이 되면 선정된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흐름을 의미한다.
2) 제 2 법칙 :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irchihoff\'s Voltage Law : KVL)
직렬회로에서 회로에 공급된 전압과 회로 내의 각 소자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동일하다. 즉, ∑(임의의 폐루프에서 상승 전압) = ∑ (임의의 폐루프에서 하강 전압)
회로에 인가한 전압의 합 = 소자에 걸리는 전압 강하의 합
임의의 폐회로(닫힌 회로)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취한 전압 상승의 대수적 합은 각 순간에 있어서 0이다.
이 법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주하는 방향으로의 전압 상승은 +로 하고, 그 방향으로의 전압강하는 -로 해야 한다. 일주하는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도 좋고, 반시계 방향이라도 좋다. 주의할 것은 KVL이 어떤 순간에 있어서도 각 폐회로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것이다.
회로도
(※ 두 개의 실험을 한 회로로 실험하였음 )
실험 1)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CL)을 이용한 회로 해석
실험 2)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VL)을 이용한 회로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
이 식은 임의의 시간 내에 노드에 흘러 들어간 전하만큼 흘러나온다는 것을 나타내며, 노드에서는 전하가 축적될 수 없고 발생할 수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전하량 보존의 법칙). 따라서 임의의 시간부터 까지 들어오는 전하의 양과 나가는 전하의 양이 같다.
KCL을 적용할 때 전류의 방향은 임의로 선장해도 되며, KCL을 적용한 결과 구하고자 하는 전류가 양(+)이면 실제의 전류가 선정된 방향으로 흐름의 의미하며, 음(-)이 되면 선정된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흐름을 의미한다.
2) 제 2 법칙 :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irchihoff\'s Voltage Law : KVL)
직렬회로에서 회로에 공급된 전압과 회로 내의 각 소자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동일하다. 즉, ∑(임의의 폐루프에서 상승 전압) = ∑ (임의의 폐루프에서 하강 전압)
회로에 인가한 전압의 합 = 소자에 걸리는 전압 강하의 합
임의의 폐회로(닫힌 회로)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취한 전압 상승의 대수적 합은 각 순간에 있어서 0이다.
이 법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주하는 방향으로의 전압 상승은 +로 하고, 그 방향으로의 전압강하는 -로 해야 한다. 일주하는 방향은 시계 방향이라도 좋고, 반시계 방향이라도 좋다. 주의할 것은 KVL이 어떤 순간에 있어서도 각 폐회로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것이다.
회로도
(※ 두 개의 실험을 한 회로로 실험하였음 )
실험 1)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CL)을 이용한 회로 해석
실험 2)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VL)을 이용한 회로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