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1996년 ~ 2007년 뉴스와 루머 요약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코 1996년 ~ 2007년 뉴스와 루머 요약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 공급과잉을 억제할 新정책을 펼쳤고 일본에서도 감산정책으로 가격전환 움직임.
2006.07
포스코건설 노조 포스코 점거사태.
=> 당시 증시자체가 불안한점을 고려할 때 주가에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
2006.08
적대적 M&A우려
=>당시 세계1위 철강업체인 아르셀로 미탈에서 포스코를 적대적 M&A할수도 있다는 루머가 있었음.
꼭 미탈이 아니더라도 워렌버핏, 칼아이칸 등 포스코를 넘보는 자산이 많았음.
2007.03
100MW급 연료전지 생산공장 건설. 2,250억 투자.
=> 2013년 흑자전환 기대
2007.5
세계최초 파이넥스 준공완료.
=> 150만톤 규모로 기존 용광로 투자비보다 20% 내외 저렴하며 원가절감이 약 17% 수준 절감효과. ( 약 800억 가량 절감 효과)
2007.7
인도제철소 주민반대로 본격적인 악재 점화
=> 2012년경에도 구리생산공장에서 환경오염으로 주민들의 반대로 생산중단을 강행했던 것을 고려할 때 장기표류 가능성 예고...
11조원을 투입하는 투자로서 포스코에 큰 악재로 작용 충분.
2007.10
76만원의 역사적 고점 갱신
=>당시 철강주들의 역사적 고점갱신 이유는 중국의 14%대의 고성장과 세계경제가 호황에 접어들었기 때문.
당시 철강업은 10%대의 성장으로 전환되었는데 실질적인 수요보다는 인플레이션과 철강가격 인상에 따른 투기세가 몰리면서 과잉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추정.
이후 주가 폭락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충격이지만 사실상 세계의 버블을 해소하는 과정으로 볼수 있음.
뉴스 종합분석
포스코는 IMF이후부터 시작하여 2007년까지 사실상 경제회복기의 한국면에 해당합니다.
철강업은 규모의 경제특성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성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에 가장 효과가 큰 산업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포스코가 안정적인 주가상승 속에서 2007년 주가가 300%에 가까운 상승을 했던 것은 인플레이션효과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포스코의 주가상승 배경에는 인플레이션도 있지만 그 외에 M&A우려라는 재료와 감산정책을 통해 가격상승을 유발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습니다.
위 리포트에서는 2007년까지 나왔지만 이후의 리포트에서도 확인할수 있듯이 이후에도 감산정책을 통해 철강공급부족을 유도하면서 실적과 주가가 연동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고려할 때 철강주들의 주가상승을 전망하는데 상당이 유효한 기준이 될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키워드

포스코,   루머,   뉴스,   이슈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21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5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