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 실크로드에 대한 간단한 고찰
Ⅱ. 본론 - 실크로드와 한반도
1. 고대 한·중 해로(고조선~통일신라)
2. 연나라와 고조선 각지에서 출토된 명도전
3. 신안 해저 유물
4. 경주 미추왕릉지구 출토 인물무늬 상감구슬
5. 금동제 사리장치와 그 속의 유리잔 및 사리병
6. 경주 외동면 괘릉 무인 석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 실크로드에 대한 간단한 고찰
Ⅱ. 본론 - 실크로드와 한반도
1. 고대 한·중 해로(고조선~통일신라)
2. 연나라와 고조선 각지에서 출토된 명도전
3. 신안 해저 유물
4. 경주 미추왕릉지구 출토 인물무늬 상감구슬
5. 금동제 사리장치와 그 속의 유리잔 및 사리병
6. 경주 외동면 괘릉 무인 석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잔 속에 다시 유리로 된 작은 녹색 사리병이 들어 있다. 큰 유리잔 표면에 사산계 장식무늬의 특징은 둥근 고리 모양의 환문이 있어 사산계 유리와의 상관성이 주목된다.
6. 경주 외동면 괘릉 무인 석상
괘릉은 신라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전한다, 이 능 앞에 세워진 무인 석상은 부리부리한 눈, 메부리코, 곱슬곱슬한 턱수염 등 용모의 특징으로 보아 서역인을 모델로 하여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무인석상의 존재는 신라와 서역간의 교류관계를 시사해준다.
Ⅲ. 결론
많은 사람들이 ‘실크로드’라 하면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동서문화의 가교’다 뭐다 해서 사막과 오아시스 초원 등의 이미지와 함께 중국과 서역의 상인들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실크로드와 함께 한반도를 떠올리는 경우는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나는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나라가 실크로드를 통해 활발한 교역을 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흔히들 실크로드의 동단(동쪽 끝)을 장안으로 생각하는데, 실크로드의 동쪽 끝은 장안에서 끝나지 않고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레포트에서는 다루지 못하였지만, 고구려 유민 출신의 실크로드 개척자 고선지 장군,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한 신라의 고승 ‘혜초’와 같은 실크로드에서 활약한 자랑스러운 한민족의 역사의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정수일 저, 실크로드 문명기행, 한겨례출판사 2006
김영종 저, 실크로드 길 위의 역사와 사람들, 사계절출판사 2009
국제한국학회 저,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2000
6. 경주 외동면 괘릉 무인 석상
괘릉은 신라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전한다, 이 능 앞에 세워진 무인 석상은 부리부리한 눈, 메부리코, 곱슬곱슬한 턱수염 등 용모의 특징으로 보아 서역인을 모델로 하여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무인석상의 존재는 신라와 서역간의 교류관계를 시사해준다.
Ⅲ. 결론
많은 사람들이 ‘실크로드’라 하면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동서문화의 가교’다 뭐다 해서 사막과 오아시스 초원 등의 이미지와 함께 중국과 서역의 상인들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실크로드와 함께 한반도를 떠올리는 경우는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나는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나라가 실크로드를 통해 활발한 교역을 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흔히들 실크로드의 동단(동쪽 끝)을 장안으로 생각하는데, 실크로드의 동쪽 끝은 장안에서 끝나지 않고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레포트에서는 다루지 못하였지만, 고구려 유민 출신의 실크로드 개척자 고선지 장군,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한 신라의 고승 ‘혜초’와 같은 실크로드에서 활약한 자랑스러운 한민족의 역사의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정수일 저, 실크로드 문명기행, 한겨례출판사 2006
김영종 저, 실크로드 길 위의 역사와 사람들, 사계절출판사 2009
국제한국학회 저,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소나무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