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nkle joint 발목 운동 발 운동 발목 주요 병변 운동치료법 족부 운동치료의 실제 관절의움직임 염좌 부분파열 근육강화 근력강화 수용성운동 족부의 신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Ankle joint 발목 운동 발 운동 발목 주요 병변 운동치료법 족부 운동치료의 실제 관절의움직임 염좌 부분파열 근육강화 근력강화 수용성운동 족부의 신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목 및 발의운동
1-1) 주요면에서 일어나는 운동
1-2) 사선축에서 일어나는 삼면 운동
1-3) 관절의 움직임

2. 주요병변
2-1) 염좌(sprain)와 부분파열(minor tears)
2-2) 족관절 내반염좌 (inversion sprain)
2-3) 족관절 외반염좌 (eversion sprain)

3. 운동치료
3-1) 신장
3-2) 중요근육강화
3-3) 고유수용성 훈련

4. 족부 운동치료의 실제
4-1) 족부의 신장
(1) 배굴
(2) 저굴
(3) 내반
(4) 외반
4-2) 족부의 근력강화
(1) 배굴근군(전경골근 등)의 강화
(2) 저굴근군(하퇴삼두근 등)의 강화
(3) 내반근군(후경골근 등)의 강화
(4) 외반근군 (장,단비골근 등)의 강화
4-3) 고유 수용성 운동

본문내용

) 관절의 움직임
(1) 거퇴 관절(talocrural joint)의 가동성 증진 저측굴곡(plantar flexion) 증진을 위해, 거골을 전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배측굴곡(dorsiflexion) 증진해 거골을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2)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가동성 증진 내반(inversion) 증진을 위해, 종골을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외반(eversion) 증진을 위해, 종골을 내측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
2. 주요병변
2-1) 염좌(sprain)와 부분파열(minor tears)
족부를 내반(inversion)함으로 외과 주변이 외측인대군의 손상하는 내반염좌 (inversion sprain)와 외반(eversion)함으로 내과주변의 손상하는 외반염좌 (eversion sprain)가 있다.
관절의 형태가 inversion 되기 쉽다는 점과 외측 인대쪽이 얇아서 약하다는 점 등으로 inversion sprain이 5배 이상 많다.
2-2) 족관절 내반염좌 (inversion sprain)
- 발이 내측으로 돌아갔을 때
= 전거비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의 부분 또는 완전 파열(65%)
2-3) 족관절 외반염좌 (eversion sprain)
회내된발, 운동항진이 있는 발 내측 종골근이 내려 앉은발
=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
- 후거비인대(posterior talofibular. lig) 의 손상 또는 파열(20%)
족관절 내반 염좌의 기전 족관전 외반 염좌의 기전
외반으로 인한 비정상적 공간 내반으로 인한 박리골절 (avulsion fracture)
3. 운동치료
3-1) 신장
- 저측굴곡(plantar flexion) 스트레칭과 배측굴곡(dorsiflexion) 스트레칭을 한 다.
-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서서히 잦은 반복
- 재활초기 단계에서는
- 외반(eversion)과 내반(inversion)을 최소한 실시
- 부종이 가라앉으면 내반(inversion)과 외반(eversion)운동 실시
하퇴 삼두근(triceps surae)의 stretching
가자미근(soleus)만 stretching
거골하 관절의 회외 거골하 관절의 회내
3-2) 중요근육강화
- 등척성(Isometric)근력 운동이 네 개의 주요 운동에 적용
- 재활 초기에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저측굴곡(plantar flexion)의등장성(Isotonic) 운동과 병행하여 시행
- 부상이 호전되고 가동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면의 동작으로 시행 가능
- 내반(inversion)과 외반(eversion)의 등장성 운동을 할 때는 낮은 강도로 빈도를 높이는 것이 인대에 무리를 덜 미친다.
그러나 장비골근은 발이 내반(inversion)되는 힘을 막아내기 위하여 외반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한다.
탄성물질로 배측굴곡근에 저측 굴곡에 저항 저항을 줌
외반, 내반근에 저항
배측굴곡의 기능 향상 저측굴곡근의 기능 향상
3-3) 고유수용성 훈련
- 발목 염좌 또는 근육의 좌상에서 이 고유수용성 신경섬유는 종종 손상을 받는다.
- 환자는 눈을 감고 두발로 서다가 점진적으로 한발로 서는 운동으로 균형 감각을 익힐 수 있다.
- 점차 균형판을 사용하여 보조 없이 서서 모든 방향으로 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 시행
족관절의고유수용성 감각을 자극하는 Wobble board
4. 족부 운동치료의 실제
4-1) 족부의 신장
(1) 배굴 : 저굴근군 (하퇴삼두근 등)으 신장
# 선 자세로 고,슬관절을 신전하고 발꿈치 부위를 마루면에 대어 배굴하고, 하퇴 삼두근을 신장
# 쐐기모양의 받침대 위에 올라서서
# 족관절의 최대 배굴을 목적으로 슬관절을 굴곡(가자미근의 굴곡을 위하여)
# 파트너 보조시 종부를 단단히 지탱하고 전환부로 족전부를 밀어 배굴
(2) 저굴 : 배굴근군 (전경골근, 족지신근군 등)의 신장
# 앉은 자세로 다리를 꼬아서 대퇴부를 단단히 지지하고 다른 쪽 손으로 족배부를 지지하여 저굴
# 선 자세로 슬관절을 가볍게 국곡하고 족배부를 마루면에 대는 형태로 저굴
# weight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스트레칭
(3) 내반 : 외반근군 (장,단비골 등)의 신장
# 앉은 자세로 다리를 엇걸어 종골과 중족골부를 지지하고 회외, 내전, 저굴.
# 파트너가 보조할 경우도 같은 뷔를 지지하고 같은 방향으로 실시
(4) 외반 : 내반근군 (후경골근)의 신장
# 앉은 자세로 다리를 엇걸어 종골부와 중족골부를 지지하고 회내, 외전, 배굴.
# 파트너가 보조할 경우 같은 부위를 지지하고 같은 방향으로 실시
4-2) 족부의 근력강화
(1) 배굴근군(전경골근 등)의 강화
# 슬관절 굴곡위채에서 발등에 튜브를 걸고 졸관절 저굴위치에서 배굴
# 파트너가 보조할 경우 발꿈치를 지점으로 하여 발등을 지지하고 족관절 배굴에 대해서 저항을 가한다.
# 전경골근을 의식적으로 강화할 경우는 족관절을 회외와 배굴을 동시에 한다.
(2) 저굴근군(하퇴삼두근 등)의 강화
# 근력이 약한 경우는 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로 족저에 걸친 튜브를 가지고
족관절 배굴위치에서 튜브를 늘리는 형태로 저굴
# 근력이 어느 정도 있으면 양 발끝으로 서기, 한쪽 발끝으로 서기, 바벨을 들고 발끝으로 서기 등으로 강화
(3) 내반근군(후경골근 등)의 강화
# 강화할 하지를 아래로 하여 옆으로 누워 족부에 튜브를 걸고, 내반
# 파트너가 보조할 경우 옆으로 누운 자세로 하퇴를 고정하고 외반 위치에서
내반에 대해 족내측부를 지지하여 저항
(4) 외반근군 (장,단비골근 등)의 강화
# 강화할 하지를 위로 하여 옆으로 누워 족부에 튜브를 걸고 외반
# 파트너가 보조할 경우 옆으로 누운자세로 하퇴를 고정하고 내반위치에서
외반에 대해 족외측부를 지지하여 저항
4-3) 고유 수용성 운동
# 눈을 뜨고 한발로 균형 잡기
# 눈을 감고 한발로 균형 자기
# 처음에는 양발로 균형을 잡은뒤 나중에는 손상받은 발로 균형을 잡는다.
# Wobble board에선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2.18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6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