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공포의 균형」의 핵전략과 불안, 그리고 탈출의 모색
3. 레이건정권 「전략방위계획」과 그 역사적 유산
4. 부시행정부와 미사일방어체제
5. 클린턴행정부 초기 미사일방어구상: 「전역미사일방어체제」
6. 클린턴행정부하에서의 국가미사일방어체제 구상의 부상
7. 미국의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에 대한 세계의 인식과 반응
8. NMD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의 차이
9. 미국의 미사일방어건설과 평화의 문제
인용된 문헌
2. 「공포의 균형」의 핵전략과 불안, 그리고 탈출의 모색
3. 레이건정권 「전략방위계획」과 그 역사적 유산
4. 부시행정부와 미사일방어체제
5. 클린턴행정부 초기 미사일방어구상: 「전역미사일방어체제」
6. 클린턴행정부하에서의 국가미사일방어체제 구상의 부상
7. 미국의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에 대한 세계의 인식과 반응
8. NMD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의 차이
9. 미국의 미사일방어건설과 평화의 문제
인용된 문헌
본문내용
의 핵무기위협에 대한 충분한 보복공격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구실을 내세우며 핵실험금지조약마저 비준을 거부하고 있는 미국이 그러한 모범을 보일 가능성은 미국이 NMD 자체를 포기할 가능성보다 오히려 더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할 것이다.
우월한 경제력과 기술력을 첨단군비경쟁에 지속적으로 연결시켜 우월한 군사전략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하는 유일초강국의 욕구를 미 국내정치적 경쟁은 부추기고 있다. 냉전과 그 속에서 서방의 승리는 힘의 승리이며, 그 힘의 승리는 궁극적으로 월등한 군사능력에 뿌리박고 있다는 것이 탈냉전시대 미국인들이 냉전에서 얻은 가장 호소력있는 역사적 교훈으로 자리잡은 것처럼 보인다. 인류가 냉전에서 벗어난 것은 군비경쟁에서 미국이 선도한 과도파괴력 축적경쟁에서의 승리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고르바초프혁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는, 전쟁과 평화에 대한 인식의 철학적 전환에 크게 말미암았다는 사실은 미국내 정치화된 안보논쟁에서는 큰 힘을 갖고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가 미래에 또 하나의 냉전을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가리키는 저주일수도 있다.
인용된 문헌
Nacht, Michael, The Age of Vulnerability: Threats to the Nuclear Stalemate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85).
Graham, Thomas, CNN Interview, "Insight", July 18, 2000.
Blair, Bruce, "Why a Thin U.S. National Missile Defense Looks Thick to the Russians," Press Briefing on National Missile Defense, July 7, 2000.
Blair, Bruce, (President of the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Why a Thin U.S. National Missile Defense Looks Thick to the Russians," Press Briefing on National Missile Defense, July 7, 2000.
Valasek, Tomas, "Europe's NMD Deliberations," Weekly Defense Monitor, June 8, 2000.
Valasek, Tomas, "The European Union: Silent on NMD," Weekly Defense Monitor, July 27, 2000.
Ballistic Missile Defense Organization, "National Missile Defense (1993-2000): An Overview," (www.acq/osd/mil/bmdo).
Garwin, Richard L., "Effectiveness of Proposed National Missile Defense Against ICBMs from North Korea," The Garwin Archive, (www.fas.org), March 17, 1999.
Drell, Sidney, Facing the Threat of Nuclear Weapon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9 edition).
Department of Defense, Procurement Programs and Program Acquisition Costs by Weapons System, February 2000; Prepared by Christopher Hellman,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February 7, 2000.
The New York Times.
Lakoff, Sanford, "The SDI or Stat Wars? An Owlish Perspective," in Wolfram F. Hanrieder, ed., Global Peace and Security: Trends and Challenges (Boulder: Westview Press, 1987).
Falk, Richard, “Transition to Peace and Justice," in Wolfram F. Hanrieder, ed., Global Peace and Security: Trends and Challenges, Boulder: Westview Press, 1987,
Center for Def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Defenses Against Missiles," (www.cdiss.org/coopt.htm).
Robertson, Robertson, A Dictionary of Modern Defense and Strategy (London: Europa Publications, 1987).
Romm, Joseph J., "Problems with the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in David Carlton and Carlo Schaerf, eds., The Arms Race in the Era of Star Wars (London: Macmillan, 1988).
Congressional Budget Office, "Budgetary and Technical Implications of the Administration's Plan for National Missile Defense," April 2000.
Bowman, Robert, "How BMD? Why BMD?" in Rip Bulkeley, John Pike, Ben Thompson, E.P. Thompson, Star Wars, New York: Pantheon Books, 1985.
Dubin, Rachel, "NMD and the ABM Treaty: Risks and Strategies," Weekly Defense Monitor, April 1, 1999.
이삼성,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한길사, 1998.
우월한 경제력과 기술력을 첨단군비경쟁에 지속적으로 연결시켜 우월한 군사전략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하는 유일초강국의 욕구를 미 국내정치적 경쟁은 부추기고 있다. 냉전과 그 속에서 서방의 승리는 힘의 승리이며, 그 힘의 승리는 궁극적으로 월등한 군사능력에 뿌리박고 있다는 것이 탈냉전시대 미국인들이 냉전에서 얻은 가장 호소력있는 역사적 교훈으로 자리잡은 것처럼 보인다. 인류가 냉전에서 벗어난 것은 군비경쟁에서 미국이 선도한 과도파괴력 축적경쟁에서의 승리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고르바초프혁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는, 전쟁과 평화에 대한 인식의 철학적 전환에 크게 말미암았다는 사실은 미국내 정치화된 안보논쟁에서는 큰 힘을 갖고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가 미래에 또 하나의 냉전을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가리키는 저주일수도 있다.
인용된 문헌
Nacht, Michael, The Age of Vulnerability: Threats to the Nuclear Stalemate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85).
Graham, Thomas, CNN Interview, "Insight", July 18, 2000.
Blair, Bruce, "Why a Thin U.S. National Missile Defense Looks Thick to the Russians," Press Briefing on National Missile Defense, July 7, 2000.
Blair, Bruce, (President of the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Why a Thin U.S. National Missile Defense Looks Thick to the Russians," Press Briefing on National Missile Defense, July 7, 2000.
Valasek, Tomas, "Europe's NMD Deliberations," Weekly Defense Monitor, June 8, 2000.
Valasek, Tomas, "The European Union: Silent on NMD," Weekly Defense Monitor, July 27, 2000.
Ballistic Missile Defense Organization, "National Missile Defense (1993-2000): An Overview," (www.acq/osd/mil/bmdo).
Garwin, Richard L., "Effectiveness of Proposed National Missile Defense Against ICBMs from North Korea," The Garwin Archive, (www.fas.org), March 17, 1999.
Drell, Sidney, Facing the Threat of Nuclear Weapon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9 edition).
Department of Defense, Procurement Programs and Program Acquisition Costs by Weapons System, February 2000; Prepared by Christopher Hellman,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February 7, 2000.
The New York Times.
Lakoff, Sanford, "The SDI or Stat Wars? An Owlish Perspective," in Wolfram F. Hanrieder, ed., Global Peace and Security: Trends and Challenges (Boulder: Westview Press, 1987).
Falk, Richard, “Transition to Peace and Justice," in Wolfram F. Hanrieder, ed., Global Peace and Security: Trends and Challenges, Boulder: Westview Press, 1987,
Center for Def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Defenses Against Missiles," (www.cdiss.org/coopt.htm).
Robertson, Robertson, A Dictionary of Modern Defense and Strategy (London: Europa Publications, 1987).
Romm, Joseph J., "Problems with the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in David Carlton and Carlo Schaerf, eds., The Arms Race in the Era of Star Wars (London: Macmillan, 1988).
Congressional Budget Office, "Budgetary and Technical Implications of the Administration's Plan for National Missile Defense," April 2000.
Bowman, Robert, "How BMD? Why BMD?" in Rip Bulkeley, John Pike, Ben Thompson, E.P. Thompson, Star Wars, New York: Pantheon Books, 1985.
Dubin, Rachel, "NMD and the ABM Treaty: Risks and Strategies," Weekly Defense Monitor, April 1, 1999.
이삼성,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한길사, 1998.
추천자료
광고전략의 수립 계획
미국의 안보전략과 대 한반도 전략
전략의 개념과 분석수준
[국제경영전략] 대우의 국제화 전략 -글로벌화-
전략물자에 관한 총정리 ;;믿고 구매하셔도 훌륭한 참고자료입니다.
[911테러][안보]9.11테러리즘의 안보적 의미와 교훈, 9.11테러 이후 한반도주변환경의 변화, ...
[중국진출]한국기업의 중국진출 현황과 애로사항,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성공과 실패요인, 한...
(경영전략론A형)전략경영의 개념과 의의
미국의 세계전략과 동북아전략 및 행정부에 따른(오바마 정부 등) 미국의 한반도 안보정책
전략물자의 수출입 제도와 불법수출시 제재사항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내실화방안 (한국·러시아 외교관계의 발전과정과 현상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