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Nursing Practice
ANA Standard of practice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A professional perfomance standard(2004)
Nursing Education
Nursing Research
Evidence-Based Practice : The core
JHNEBP Model
The JHNEBP Process : Practice Qusetion, Evidence, and Translation
Ⅰ. Practice Question
Ⅱ. Evidence
Ⅲ. Translation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 Based Practice Conceptual Model
Summary
ANA Standard of practice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A professional perfomance standard(2004)
Nursing Education
Nursing Research
Evidence-Based Practice : The core
JHNEBP Model
The JHNEBP Process : Practice Qusetion, Evidence, and Translation
Ⅰ. Practice Question
Ⅱ. Evidence
Ⅲ. Translation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 Based Practice Conceptual Model
Summary
본문내용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Process Overview
1. Nursing Practice
▪ 돌봄의 간호표준, 실무의 표준, 간호과정에서 간호실무의 주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 ANA(2004)는 간호과정에 연계된
▪ 간호실무(Nursing practice)의 6가지 표준과
▪ 전문직수행(Professional performance)의 표준을 밝혔다.
ANA Standard of practice
▪ Assessment(사정)-환자의 건강이나 상황과 관련된 포괄적인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근거에 기반한 사정도구나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예) 통증평가 도구, 상처평가 도구
▪ Diagnosis(진단)-사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을 결정
▪ Outcomes Identification(결과확인)-환자나 상황의 개별화된 계획에 대한 예상결과의 확인. 예상결과를 공식화 할 때 관련된 위험, 이익, 비용, 현재의 과학적 증거 및 임상전문 기술이 고려되어야 한다.
▪ Planning(계획)-예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과 대안을 규정하고 계획을 수립. 이 계획은 현재의 연구 및 기획 과정에 관련된 다른 증거를 반영해야 한다.
▪ Implmentation(실행)- 건강증진 교육, 환자 안전 및 상담포함. 다른 사람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변화에 영향을 준다.
▪ Evaluation(평가)- 결과 달성을 위한 과정. 평가는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기준에 기반해야하고, 지시된 시간을 포함해야한다.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Practice〕
• 모든 간호활동의 기본요소
• 간호실무는 환자가 간호를 받는것을 의미,
• 보건의료조직에서는 중요한 구성요소
〔Education〕
• 간호지식과 기술의 획득을 반영
• 숙련가가 될 역량 유지
〔Research〕
• 전문직에 새로운 지식을 제공
•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실무중심의 발달이 가능하게 함
≪ … 중 략 … ≫
Nursing Education
▪ 기본교육- 기본적인간호기술과 지식,자연과 행동과학, 직업가치, 행동과 태도들을 배운것에서 시작된다.
▪ 고급교육- 지식확장, 실무개선, 특별한 실무영역에서 전문과목으로 연결괸다.
▪ 고급간호교육 통합은 연구적용을 증가시킬 것을 강조하고 증거의다른 유형에 영향을 주거나 간호실무를 변화시킨다.
▪ 정규교육, 컨퍼런스, 세미나, 워크샵 등은 새로운 지식, 기술을 습득하고 유지, 임상역량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하다.
▪ 간호사는 지속적인 교육에 헌신하고 근거에 기반한 새로운 지식을 통합해야 한다.
▪ 교육은 간호중재와 경험에서 얻어지고, 비판적 사고 능력의 개발을 선도하고, 개인 간호사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Process Overview
1. Nursing Practice
▪ 돌봄의 간호표준, 실무의 표준, 간호과정에서 간호실무의 주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 ANA(2004)는 간호과정에 연계된
▪ 간호실무(Nursing practice)의 6가지 표준과
▪ 전문직수행(Professional performance)의 표준을 밝혔다.
ANA Standard of practice
▪ Assessment(사정)-환자의 건강이나 상황과 관련된 포괄적인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근거에 기반한 사정도구나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예) 통증평가 도구, 상처평가 도구
▪ Diagnosis(진단)-사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을 결정
▪ Outcomes Identification(결과확인)-환자나 상황의 개별화된 계획에 대한 예상결과의 확인. 예상결과를 공식화 할 때 관련된 위험, 이익, 비용, 현재의 과학적 증거 및 임상전문 기술이 고려되어야 한다.
▪ Planning(계획)-예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과 대안을 규정하고 계획을 수립. 이 계획은 현재의 연구 및 기획 과정에 관련된 다른 증거를 반영해야 한다.
▪ Implmentation(실행)- 건강증진 교육, 환자 안전 및 상담포함. 다른 사람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변화에 영향을 준다.
▪ Evaluation(평가)- 결과 달성을 위한 과정. 평가는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기준에 기반해야하고, 지시된 시간을 포함해야한다.
The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Practice〕
• 모든 간호활동의 기본요소
• 간호실무는 환자가 간호를 받는것을 의미,
• 보건의료조직에서는 중요한 구성요소
〔Education〕
• 간호지식과 기술의 획득을 반영
• 숙련가가 될 역량 유지
〔Research〕
• 전문직에 새로운 지식을 제공
•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실무중심의 발달이 가능하게 함
≪ … 중 략 … ≫
Nursing Education
▪ 기본교육- 기본적인간호기술과 지식,자연과 행동과학, 직업가치, 행동과 태도들을 배운것에서 시작된다.
▪ 고급교육- 지식확장, 실무개선, 특별한 실무영역에서 전문과목으로 연결괸다.
▪ 고급간호교육 통합은 연구적용을 증가시킬 것을 강조하고 증거의다른 유형에 영향을 주거나 간호실무를 변화시킨다.
▪ 정규교육, 컨퍼런스, 세미나, 워크샵 등은 새로운 지식, 기술을 습득하고 유지, 임상역량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하다.
▪ 간호사는 지속적인 교육에 헌신하고 근거에 기반한 새로운 지식을 통합해야 한다.
▪ 교육은 간호중재와 경험에서 얻어지고, 비판적 사고 능력의 개발을 선도하고, 개인 간호사의 능력을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