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ED의 특징
*LED의 종류
*LED의 전압,전류특성
*LED의 기본특성
*LED무대. 방송조명 활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발광다이오드는 왜 단색광인가?
>반도체란?
>열이 나오지 않습니까?
>LED가 수명이 긴이유?
>발광다이오드의 단점?
*LED의 종류
*LED의 전압,전류특성
*LED의 기본특성
*LED무대. 방송조명 활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발광다이오드는 왜 단색광인가?
>반도체란?
>열이 나오지 않습니까?
>LED가 수명이 긴이유?
>발광다이오드의 단점?
본문내용
조절하는 것도 모두 이러한 위상 제어방식을 사용합니다.
제일 밑에 있는 그림은 전원이 직류일때 밝기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밝기를 제어할때 저항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전력규모가 큰경우는 큰 용량의 가변저항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보다는 pwm제어방식을 사용합니다. PWM은 ON되는 시간과 OFF되는 시간비를 조절해서 밝기를 조절합니다. ON,OFF 가 반복되는 시간이 눈의 잔상시간(약 50ms) 보다 빠르게 제어하면 사람눈에는 항상 켜진것처럼 보입니다. 여기서 on,off duty만 제어해 주면 밝기를 마음대로 조절할수 있는 것입니다
*LED무대. 방송조명 활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주광색이 아님. 단색광, 적절한 연색성을 고려해야함.
>발광다이오드는 왜 단색광인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매커니즘이 백열전구 및 태양광과 다르기때문. 적색과 청색 등 한정된 빛만 내는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외 레이져와 나트륨램프, 수은램프 등이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정해진파장만 발광을 한다. 백색발광다이오드는 삼원색의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청색발광다이오드에 형광재를 도포하여 청색발광에서 백색을 얻는경우가 있음.
>반도체란?
현재 전자기기장치의 전자회로에 사용되고 있는 트랜지스터와 IC로 대표되는 소자의 재료로 게르마늄과 실리콘 비화갈륨 등이 있다. 절연체의 결정구조를 조금만 바꾸어서 전기적 특성을 갖게 하는것
>열이 나오지 않습니까?
LED도 주재료에서 발열이 있으나 발광자체는 단색성분이므로 열성분이 거의 없다.
>LED가 수명이 긴이유?
필라맨트부가 없기 때문. 백열전구와 형광등은 필라멘트가 끊어지면 수명을 다하지만 LED는 필라멘트가 없고 견고한 고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수명이 길다.
>발광다이오드의 단점?
스스로의 발열에 약하고 정격이상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쉽게 파괴되고 전압에 대한 자유도가 낮다. 조명장치로 보면 고출력화가 어렵고 백색의 색상이 자연스럽지 않고 불규칙하고 출력에 비해 가격이 높다.
1. TN접지 시스템에서 RCCB가 RCDs로 보호되는 개념
TN접지계통에서 전원의 자동차단의 과전류 보호장치 또는 RCDs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TN접지계통에서 설비의 모든 노출도전성 부부노가 계통의 도전성부분은 보호도체에 의해 전원의 접지점에서 직접 접속한다. 모든 TN접지계통에서 지락고장은 상도체와 중성선사이의 단락으로 나타난다. 높은고장전류레벨은 과전류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짧은 차단시간 동안 사고점에는 상전압의 50%를 초과하는 접촉전압의상승을 일으킬수있다.
2. 인체감전에따른 안전전압종별
① 안전전압 : 회로의 정격전압이 낮은 전압으로 절연파괴 등의 사고시에도 인체에 위험을 주지 않는 전압
※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는 24V, 벨기에 36V,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30V로 규정됨.
3. 케이블 전압지정에서 U/U(Um)의 뜻
U: 설계된 케이블의 도체와 접지 또는 금속 차페사이의 정격전원 주파수전압
U: 케이블의 도체와 도체사이에 가해지는 설계된 정격전원주파수전압
Um: 장비가 사용될수있는 ‘가장높은시스템전압’의 최대값
제일 밑에 있는 그림은 전원이 직류일때 밝기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밝기를 제어할때 저항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전력규모가 큰경우는 큰 용량의 가변저항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보다는 pwm제어방식을 사용합니다. PWM은 ON되는 시간과 OFF되는 시간비를 조절해서 밝기를 조절합니다. ON,OFF 가 반복되는 시간이 눈의 잔상시간(약 50ms) 보다 빠르게 제어하면 사람눈에는 항상 켜진것처럼 보입니다. 여기서 on,off duty만 제어해 주면 밝기를 마음대로 조절할수 있는 것입니다
*LED무대. 방송조명 활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주광색이 아님. 단색광, 적절한 연색성을 고려해야함.
>발광다이오드는 왜 단색광인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매커니즘이 백열전구 및 태양광과 다르기때문. 적색과 청색 등 한정된 빛만 내는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외 레이져와 나트륨램프, 수은램프 등이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정해진파장만 발광을 한다. 백색발광다이오드는 삼원색의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청색발광다이오드에 형광재를 도포하여 청색발광에서 백색을 얻는경우가 있음.
>반도체란?
현재 전자기기장치의 전자회로에 사용되고 있는 트랜지스터와 IC로 대표되는 소자의 재료로 게르마늄과 실리콘 비화갈륨 등이 있다. 절연체의 결정구조를 조금만 바꾸어서 전기적 특성을 갖게 하는것
>열이 나오지 않습니까?
LED도 주재료에서 발열이 있으나 발광자체는 단색성분이므로 열성분이 거의 없다.
>LED가 수명이 긴이유?
필라맨트부가 없기 때문. 백열전구와 형광등은 필라멘트가 끊어지면 수명을 다하지만 LED는 필라멘트가 없고 견고한 고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수명이 길다.
>발광다이오드의 단점?
스스로의 발열에 약하고 정격이상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쉽게 파괴되고 전압에 대한 자유도가 낮다. 조명장치로 보면 고출력화가 어렵고 백색의 색상이 자연스럽지 않고 불규칙하고 출력에 비해 가격이 높다.
1. TN접지 시스템에서 RCCB가 RCDs로 보호되는 개념
TN접지계통에서 전원의 자동차단의 과전류 보호장치 또는 RCDs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TN접지계통에서 설비의 모든 노출도전성 부부노가 계통의 도전성부분은 보호도체에 의해 전원의 접지점에서 직접 접속한다. 모든 TN접지계통에서 지락고장은 상도체와 중성선사이의 단락으로 나타난다. 높은고장전류레벨은 과전류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짧은 차단시간 동안 사고점에는 상전압의 50%를 초과하는 접촉전압의상승을 일으킬수있다.
2. 인체감전에따른 안전전압종별
① 안전전압 : 회로의 정격전압이 낮은 전압으로 절연파괴 등의 사고시에도 인체에 위험을 주지 않는 전압
※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는 24V, 벨기에 36V,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30V로 규정됨.
3. 케이블 전압지정에서 U/U(Um)의 뜻
U: 설계된 케이블의 도체와 접지 또는 금속 차페사이의 정격전원 주파수전압
U: 케이블의 도체와 도체사이에 가해지는 설계된 정격전원주파수전압
Um: 장비가 사용될수있는 ‘가장높은시스템전압’의 최대값
추천자료
광전소자 (opotoelectrnic devices) 예비보고서
광전자소자의 특성
OLED,유기엘이디,유기LED 관련 정의부터 특성 종류 응용 등 총 망라
Light-Emitting-Diodes
OLED의 특징 및 구조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그리고 향후 과제들에 대하여
OLED의 구조 및 종류와 이 기술이 타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대비되는 특징들에 대하여
유기EL무기EL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Ith와Iop를 낮출수 있는 방법
레이져 및 광전자
[필립스] 필립스(philips) 성공요인 분석
[필립스] 필립스(philips) 성공요인 분석.PPT자료
탄소를 이용한 전기실험 내용 및 결과, 다이오드의 특징과 동작원리, 체르노빌원자력 발전소 ...
[광원, 광원 종류, 빛, 광원 형태, 태양광, 자연광원, 번개, 발광생물, 인공광원, 텅스텐램프...
디스플레이기술과사회-OLED 기술과 미래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