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A. 운동 전 평가 ‧ ‧ ‧ ‧ ‧ ‧ ‧ ‧ ‧ ‧ ‧ ‧ ‧ ‧ ‧ 2
1. 운동의 효과
2. 운동 전 검사
3. 운동 시 주의점
4. 운동 금기
B. 운동 방법 ‧ ‧ ‧ ‧ ‧ ‧ ‧ ‧ ‧ ‧ ‧ ‧ ‧ ‧ ‧ ‧ ‧ 5 1. 운동의 절차
2. 운동의 횟수와 시간
3. 유산소운동 & 근력운동
C. 결론 ‧ ‧ ‧ ‧ ‧ ‧ ‧ ‧ ‧ ‧ ‧ ‧ ‧ ‧ ‧ ‧ ‧ ‧ ‧ ‧ 7
A. 운동 전 평가 ‧ ‧ ‧ ‧ ‧ ‧ ‧ ‧ ‧ ‧ ‧ ‧ ‧ ‧ ‧ 2
1. 운동의 효과
2. 운동 전 검사
3. 운동 시 주의점
4. 운동 금기
B. 운동 방법 ‧ ‧ ‧ ‧ ‧ ‧ ‧ ‧ ‧ ‧ ‧ ‧ ‧ ‧ ‧ ‧ ‧ 5 1. 운동의 절차
2. 운동의 횟수와 시간
3. 유산소운동 & 근력운동
C. 결론 ‧ ‧ ‧ ‧ ‧ ‧ ‧ ‧ ‧ ‧ ‧ ‧ ‧ ‧ ‧ ‧ ‧ ‧ ‧ ‧ 7
본문내용
다.
증진기는 1~6개월 정도에 해당되는데 일주일에 3~4회 운동하며, 매 2~4주마다 운동 강도와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
약 6개월 후인 유지기에는 1주일에 약 1,000칼로리를 소모하도록 운동한다. 이 때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종목을 선택하고 계속 운동을 유지해야 하는데 자신의 원래 스케줄에 큰 변동이 없어야 지속하기 쉽다. 즉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거나, 출퇴근 때 속보를 하는 등 업무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② 근력 운동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을 좋아지게 하고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낮추며 당뇨병을 예방한다.
당뇨병 환자도 근력 운동을 통해 근골격계 통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좋아지게 한다.
근력 운동은 자신의 몸무게, 아령, 역기, 웨이트 장비나 탄력 밴드(Theraband 등) 등을 이용한 근력과 근지구력 강화 운동이다.
근력 강화가 되려면 최대 근력의 2/3 이상 되는 무게를 가지고 운동해야 효과적이다. 근력 운동 초보자는 무리가 되지 않기 위해서 자신의 최대 능력의 60 % 무게를 가지고 운동하는 것이 좋고, 숙련자는 최대 능력의 80~100 % 무게로 운동할 수 있다.
운동 방법은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근력 강화가 목적이라면 최대 근력의 80~85% 무게로 6~8회 반복하기를 1~3세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근 지구력 강화가 목적이라면 최대 근력의 60% 이하 무게로 15~20 회 반복하기를 1~3세트하는 것이 좋다. 근 파워 즉 짧은 시간에 강한 힘을 내는 것이 목적이라면 3~5회 반복을 1~3세트하는 것이 권유된다.
근력 운동은 일주일에 2~3회 실시해야 한다. 근육, 인대, 건, 관절이 쉬어야 하고, 강화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근력 운동 도중 휴식 시간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무게 운동을 할 때에는 세트간 1~2분 휴식하는 것이 좋고, 무거울 때에는 3~5분 이상이 좋다. 휴식 시간이 짧으면 근육이 충분히 쉬지 못하고, 휴식 시간이 길면 워밍업이 덜 되어 다치기 쉽게 된다.
근력 운동을 할 때에는 몸 쪽으로 당길 때 숨을 내쉬고, 몸 밖으로 내밀 때 숨을 들이 쉬는 것이 가장 좋다. 익숙하지 않을 때에는 숨이 멈추지 않도록 주의만 해도 된다.
근력 운동은 신체 주요 근육 모두를 골고루 시행하는 것이 좋다. 즉 상체에서는 팔 앞뒤, 어깨, 가슴 등을, 몸통은 복부, 옆구리, 허리를, 하체는 허벅지 앞뒤, 종아리, 엉덩이 근육 운동을 해야 한다.
C. 결론
당뇨병에서 운동은 필수입니다. 당뇨병의 종류에 상관없이 운동은 반드시 시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당뇨병에 따르는 운동 위험도 있으니까, 주의 사항을 지키면서 운동을 해야 합니다.
당뇨병 환자에게 운동을 권유한 것은 기원전 500년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오래 되었습니다. 1919년에 운동이 당뇨병에서 혈당을 낮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1926년엔 운동이 인슐린의 혈당 저하 기능을 더 상승시킴이 증명되었습니다.
또한 당뇨병 여부와 상관없이 운동은 인체에 많은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나를 위해 운동을 합시다!!!
증진기는 1~6개월 정도에 해당되는데 일주일에 3~4회 운동하며, 매 2~4주마다 운동 강도와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
약 6개월 후인 유지기에는 1주일에 약 1,000칼로리를 소모하도록 운동한다. 이 때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종목을 선택하고 계속 운동을 유지해야 하는데 자신의 원래 스케줄에 큰 변동이 없어야 지속하기 쉽다. 즉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거나, 출퇴근 때 속보를 하는 등 업무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② 근력 운동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을 좋아지게 하고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낮추며 당뇨병을 예방한다.
당뇨병 환자도 근력 운동을 통해 근골격계 통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좋아지게 한다.
근력 운동은 자신의 몸무게, 아령, 역기, 웨이트 장비나 탄력 밴드(Theraband 등) 등을 이용한 근력과 근지구력 강화 운동이다.
근력 강화가 되려면 최대 근력의 2/3 이상 되는 무게를 가지고 운동해야 효과적이다. 근력 운동 초보자는 무리가 되지 않기 위해서 자신의 최대 능력의 60 % 무게를 가지고 운동하는 것이 좋고, 숙련자는 최대 능력의 80~100 % 무게로 운동할 수 있다.
운동 방법은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근력 강화가 목적이라면 최대 근력의 80~85% 무게로 6~8회 반복하기를 1~3세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근 지구력 강화가 목적이라면 최대 근력의 60% 이하 무게로 15~20 회 반복하기를 1~3세트하는 것이 좋다. 근 파워 즉 짧은 시간에 강한 힘을 내는 것이 목적이라면 3~5회 반복을 1~3세트하는 것이 권유된다.
근력 운동은 일주일에 2~3회 실시해야 한다. 근육, 인대, 건, 관절이 쉬어야 하고, 강화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근력 운동 도중 휴식 시간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무게 운동을 할 때에는 세트간 1~2분 휴식하는 것이 좋고, 무거울 때에는 3~5분 이상이 좋다. 휴식 시간이 짧으면 근육이 충분히 쉬지 못하고, 휴식 시간이 길면 워밍업이 덜 되어 다치기 쉽게 된다.
근력 운동을 할 때에는 몸 쪽으로 당길 때 숨을 내쉬고, 몸 밖으로 내밀 때 숨을 들이 쉬는 것이 가장 좋다. 익숙하지 않을 때에는 숨이 멈추지 않도록 주의만 해도 된다.
근력 운동은 신체 주요 근육 모두를 골고루 시행하는 것이 좋다. 즉 상체에서는 팔 앞뒤, 어깨, 가슴 등을, 몸통은 복부, 옆구리, 허리를, 하체는 허벅지 앞뒤, 종아리, 엉덩이 근육 운동을 해야 한다.
C. 결론
당뇨병에서 운동은 필수입니다. 당뇨병의 종류에 상관없이 운동은 반드시 시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당뇨병에 따르는 운동 위험도 있으니까, 주의 사항을 지키면서 운동을 해야 합니다.
당뇨병 환자에게 운동을 권유한 것은 기원전 500년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오래 되었습니다. 1919년에 운동이 당뇨병에서 혈당을 낮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1926년엔 운동이 인슐린의 혈당 저하 기능을 더 상승시킴이 증명되었습니다.
또한 당뇨병 여부와 상관없이 운동은 인체에 많은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나를 위해 운동을 합시다!!!
추천자료
당,당뇨,당뇨병,인슐린,합병증
1형 당뇨병
성인 케이스 <당뇨병>
[당뇨병케이스]당뇨환자의 치료 및 간호과정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증 환자 간호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내과의 정의 의료사회복지사 활동영역[당뇨병, 소아백혈병, 호스피스(임종환자)]
당뇨병의 정의 원인과 간호
[성인간호학 실습] 당뇨병 DM(diabetes mellitus) 브리핑 자료
[성인간호학] 당뇨병 케이스 스터디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간호) 제1형당뇨병, IDDM환아 CASE , 케이스 a+
[당뇨 환자의 재활] 당뇨병의 운동치료
노인 당뇨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