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기능 ( 제보적 기능, 표현적 기능, 지령적 기능, 친교적 기능, 심미적 기능, 언어의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의 기능 ( 제보적 기능, 표현적 기능, 지령적 기능, 친교적 기능, 심미적 기능, 언어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보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
Ⅲ. 지령적 기능과 친교적 기능
Ⅳ. 심미적 기능
Ⅴ.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언어의 기능
참고자료

본문내용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기능을 표현 기능이라 한다. 표현 기능은 언어의 기능으로서 가장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은 이러한 표현 기능을 시작으로 해서 점차 자신을 주위에 알리는 단계로 나아가게 되는데 그것이 신호 기능이다. 곧 어린아이들은 배가 고프거나 무섭거나 무엇인가 바랄 때 울든지 소리를 내든지 하면 엄마나 주위의 사람이 관심을 가져준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때부터는 그런 사실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아이들은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아이들은 자신의 내적 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도구로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에 접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언어의 기능을 신호 기능이라 한다.
그러다가 어느 정도 성숙하게 되면 아이들은 이 세상에는 자기 자신 말고도 아주 많은 외부적 세계가 있음을 알게 되고,그 세계 속에서 어떤 식으로든지 말을 해야 살아갈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면서 눈에 보이는 여러 세계를 언어로서 그려내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묘사 기능이라 한다. 곧 자신이 경험하게 되는 세계를 언어로써 묘사하게 된다. 어머니와 아버지가 무슨 일에 대하여 말씀을 나누고 있는 것,멀리 보이는 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내일은 그림 그릴 도구를 챙겨서 학교에 가아하는 것 등을 언어로서 생각하고 묘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묘사 기능의 단계에서는 자신이 보거나 경험한 것을 언어로 있는 그대로 그리게 된다.
이 단계에서 더 나아가면 논리적 배경을 가지고 세상사를 말하게 되는데, 이러한 언어의 기능을 논증 기능이라고 한다. 곧 언어가 단순히 어떤 대상을 기술하거나 설명하는 도구에서 멈추지 않고,다른 글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유추하고 비판하고 평가하기도 하는 정도에까지 나아가는 단계를 논증 기능이라 한다. 언어가 진리에 도달하는 절대적인 도구라는 것을 알고,언어에 의한 추론이나 사고에 잘못은 없는지,참과 거짓은 잘 가려졌는지를 다름 아닌 언어를 통하여 하는 것이다. 대학 입시에서의 논술이 이러한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며,이를 통하여 사유 능력이나 학문을 할 수 있는 자질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
논증 기능은 언어 기능의 진화에서 마지막 단계인데,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갓난아이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몇 단계의 진화 과정을 거치지만 궁극에는 논증 기능의 단계에 도달함으로써 완성된 언어생활을 하게 되는 셈이다
참고자료
- 언어 이론 | 지광신 외 1명 | 나남 2008
- 국어의미론 | 윤평현 | 역락 2009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1.17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