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감당하지 못하고 떠나버린 어머니로부터 얻은 마음의 상처가 있는데, 어머니와는 반대되는 성격의 쇼바가 이를 채워줄 것이라는 무의식적인 기대 심리가 그녀와의 애정 관계에 작용했을 것이다. 비슷하게 카파시의 경우에도 아내와의 부부 생활에서 애착을 느끼지 못하며, 무관심하며 자신의 직업을 하찮게 여기는 아내와 다르게 자신을 인정해주는 다스 부인에게 급속도로 호감을 갖고 그녀의 성적 매력에 끌리게 된다. 즉, 그 대상에 대한 성적 욕망은 육체적이고 1차원적인 것이지만 결국 그 욕망을 발동시키는 기제는 대개는 소외로부터 오는 애정 결핍이라는 정신적 결손이라는 것이다.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된 줌파 라히리의 각 단편들은 소외와 소통이라는 대주제를 공통되게 말하고 있다. 단편집 세 번째 이야기인 Interpreter of Maladies 역시 단순해 보이는 스토리 안에 소외와 소통이라는 주제와 함께 복층적 구조를 형성함으로 양분된 인물들의 내면을 짜임새있게 드러내며 욕망이라는 주제 역시 자연스레 녹아들 수 있게 했다. 이처럼 줌파 라히리는 현대인이라면 대부분 공감할 만한 인간의 심리를 일상의 소재들로 쉬운 언어지만 섬세하게 그림으로 우리에게 여러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된 줌파 라히리의 각 단편들은 소외와 소통이라는 대주제를 공통되게 말하고 있다. 단편집 세 번째 이야기인 Interpreter of Maladies 역시 단순해 보이는 스토리 안에 소외와 소통이라는 주제와 함께 복층적 구조를 형성함으로 양분된 인물들의 내면을 짜임새있게 드러내며 욕망이라는 주제 역시 자연스레 녹아들 수 있게 했다. 이처럼 줌파 라히리는 현대인이라면 대부분 공감할 만한 인간의 심리를 일상의 소재들로 쉬운 언어지만 섬세하게 그림으로 우리에게 여러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