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엔진 자금조달 원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TX엔진 자금조달 원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STX엔진 기업소개
 2. STX엔진 연혁


Ⅱ.본론 (자금 조달 원천)

 1. STX엔진 내부 자금 조달
 2. STX엔진 외부 자금 조달
 3. STX엔진 자금 흐름
 4. STX엔진 자금 투자

Ⅲ.결론

 1. STX엔진에 대한 우리조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21,235,577,198
건설중인 자산
16,602,411,484
-
-24,749,627,333
22,939,637,545
소계
154,266,626,142
354,758,539
-172,082,034
203,560,626,687
국고보조금
-592,952,049
-
-
-578,315,535
차감계
153,673,674,093
354,758,539
-172,082,034
202,982,311,152
STX엔진은 영업활동에 사용하고 있는 대지, 임야, 잡종지등을 78,352,453 만큼 추가로 투자하였으며 토지 위에 건설된 공작물로 지붕이나 둘레벽 을 갖추고 있는 공 장 등과 부수된 시설물로 건물을 8,751,617,811 만큼 추가로 투자하였다 또한 제조업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설비로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제조목적에 사용하는 기계장치를 15,747,575,035만큼 추가로 투자하였다.
Ⅲ. STX엔진에 대한 우리조 의견
STX그룹 사업구조는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는 STX(011810)를 정점으로 조 선·기계(STX조선(067250), STX엔진(077970), STX중공업, STX엔파코 등), 해운·무역 (STX, STX팬오션(028670)), 에너지(STX에너지 등), 건설·플랜트(STX중공업, STX건설 등)로 구성돼 있으며 동사는 현재 국내 15개, 해외 93개, 총 108개의 계열회사를 거느 리고 있는데 이 가운데 조선·기계와 해운·무역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룹 전체 매 출의 93%에 달할 정도로 절대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자금조달 구조와 수익 구조는 조선업황이 좋으면 큰 폭의 실적개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업황이 나쁘면 그룹 전체가
한꺼번에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특히 STX 그룹은 아커야즈 인수시 STX조선과 STX엔진의 선수금에 크 게 의존했다.
선수금은 선박이나 엔진을 만들어달라며 선주가 선박 제작 비용의 일부를 조선소에 미리 지급한 돈을 말한다. 돈을 받은 조선소가 선주에게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장 점이 있지만, 남의 돈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라 재무제 표에는 부채로 잡힌다.
현재 STX조선과 STX엔진이 받은 선수금은 각각 2조2800억 원, 5800억원이다. 이런 돈의 일부를 M&A에 사용하다보니 조선업황이 급격히 하락해 선주가 계약을 취소하거나 신규 계약물량이 들어오지 않으면 다른 곳에 써버린 선수금 마 련을 위해 외부차입 등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그 룹전체의 차입금 부담으로 돌아와 기업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으며 STX조선의 지난해 잉여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투자지출)은 9000억원 정도였지만 순차 입금(총차입금-현금성자산) 감소폭은 1300억원 정도에 불 과했다.
STX엔진은 잉여현금흐름이 1400억원 정도였으나 순차입금 감소폭은 800억원에 그쳤다. 두 회사의 현금 8300억원 가량이 아커야즈 출자지분과 배당금 등에 사용됐기 때문임을 알수 있었는데 기업의 재무 레버리지를 적정하게 사용했다고 할 수 도 있겠지만 조선업 종과 연관성이 큰 계열사로 이루어진 STX그룹으로 써는 위험 요소가 있는 의사결정 이 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그룹차원의 투자의 실패 시 STX엔진은 자금조달의 주된 원천으로써 재무적 위험 에 직격탄 맞을 수 있다고 판단이 되며 자금 조달 방법에 있어서도 그룹적인 차원에서 의 조달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조선관련 계열사들의 특성상 유사한 자금 조달 방식을 사 용하고 있어 투자 실패시 돌아오는 타격은 어마어마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들의 자금조달 패턴은 가장 관련이 깊은 해당 계열사와 지주회사의 자금 출자 방식을 사용하는데 관련성이 높은 자회사에서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지원하고 지분을 소 유하고 지주회사에서는 자회사에서 얻은 수익을 바탕으로 자금을 지원하며 지분을 소유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STX엔진의 경우 해외 투자 시 에는 현지에서 CB를 발행해서 그 자금으로 투자회 사에자금을 출자하였는데 STX(대련)금속 유한공사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으며 지분은 100% STX엔진에서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STX그룹이 진행한 M&A투자는 다른 기업과는 다른 몇가지 특징이 있었는데 대표 적인 게 인수 후 2~3년내 상장과 배당을 통해 투자자금을 조기회수했다는 것이다. 지난 2001년 1000억원에 인수한 STX조선은 2년만에 6500억원을 회수했고, 4200억원에 사들인 STX팬오션도 싱가포르와 국내 증시상장으로 2년만에 1조5200억원을 돌려받았다. STX에 너지의 경우 배당을 통해 인수금액의 두배에 달하는 1000억원을 회수했다. 아커야즈 인 수에서 볼 수 있듯 가급적 내부자금을 활용한 점도 눈에 띈다. STX그룹은 지난해 10월 7400억원을 들여 아커야즈 지분 39.2%를 인수했다. 금호그룹이나 두산그룹이 M&A시 외 부차입에 크게 의존했던 것과 달리 STX그룹은 STX조선(6500억원)과 STX엔진(900억원)의 내부 가용자금을 바탕으로 인수대금을 부담했다.
아커야즈 인수에서 볼 수 있듯 가급적 내부자금을 활용한 점도 눈에 띈다. STX그룹은 지난해 10월 7400억원을 들여 아커야즈 지분 39.2%를 인수했다. 금호그룹이나 두산그룹 이 M&A시 외부차입에 크게 의존했던 것과 달리 STX그룹은 STX조선(6500억원)과 STX엔진 (900억원)의 내부 가용자금을 바탕으로 인수대금을 부담했다.
M&A를 하면서 재무적 투자자에게 풋백옵션을 지급하거나 외부차입으로 높은 이자를 물 어야 했던 여타 그룹과는 전략이 달랐던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선수금에 의존한 투자방식은 STX엔진에 위험요소로 남아있다고 할 수 있 으며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이러한 재무적 위험이 있음에도 재무적 레버리지의 사용은 상당한 매력 요소 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STX엔진의 자금조달 원천을 조사하면서 느 꼈고 이러한 적정한 수준을 찾으려 노력하고 배워 나가는 것이 우리들이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윤순석.최 관.송인만,『중급재무회계Ⅰ』, 신영사, 1993
윤순석.최 관.송인만,『중급재무회계Ⅱ』, 신영사, 1993
  • 가격3,6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4.12.07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4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