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Pre-crisis
Prevention &Preparation
Crisis event
Crisis response
Media relation
Post crisis
Learning
Prevention &Preparation
Crisis event
Crisis response
Media relation
Post crisis
Learning
본문내용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
•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는 후쿠시마현 후타바군(郡)의 오쿠마읍(邑)과
후바타읍에 위치
• 도쿄전력이 처음으로 건설·운전한 원자력발전소
• 1971년 3월에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점차 확장을 거듭하여,
현재 부지 내에 6기의 원자로가 있음
• 총 발전설비용량은 469만6천kW이다.
• 11월 12일 외부에 처음 공개된 후쿠시마 제1원전 단지 내부 모습
Pre-crisis
전문가들의 경고
╋━━━━━━━━━━─────────
◆ 이시바시 가쓰히코 고베대 명예교수
➢ 2000년 1월 논문<거대지진이 원전을 덮친다>
➢ “후쿠시마 원전은 대규모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있음에도 20년 전에 책정된 내진 지침에 의해 설계돼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 미노우라 고지 도호쿠대학 교수 등
➢ 그 전부터 센다이 평야에 약 1000년을 주기로 초거대 지진해일이 밀려왔다며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
쓰나미에 대한 대비
╋━━━━━━━━━━─────────
◆ 이 장소는 3.1m의 쓰나미를 기초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허가를 받음
➢ BUT 후에 이보다 훨씬 더 큰 쓰나미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아무도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음.
◆ 결국 쓰나미로 인한발전소 전원 상실에 대처하는 데 적절한 장치를 구축하지 않고 있었으며, 해수 주입 기술에 대한 계획 또한 없었음
도쿄전력의 은폐성향
╋━━━━━━━━━━─────────
◆ 1978년 후쿠시마 1원전 3호기에서 일어난 일본 최초의 임계사고
➢ 29년 뒤인 2007년 3월 밝혀짐
◆ 안전조치 강화보다 손실 최소화에 열중
➢ 사고가 알려지고 원전 가동률이 떨어지는 것 막음
◆ 2010년 6월 후쿠시마 2호기에서 오작동으로 전원차단 및 수위저하 사고가 발생
➢ 도쿄전력은 사고가 나기 전까지 \'노심융해사고라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나도 절대로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5중의 벽이 있다\'며 절대 안전을 홍보
≪ … 중 략 … ≫
Media relation
언론의 감시기능 부족
╋━━━━━━━━━━─────────
◆ 요미우리 신문
➢ 일본에서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신문
➢ 前 사주 고 쇼리키 마쓰타로가 원자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아 원자력 개발을 적극 추진한 전력
➢ 후쿠시마 사고에 대해서도 매우 소극적으로 보도
◆ 또 다른 방송사 관계자
➢ “원전에 비판적인 보도가 나오면 전력회사에서 엄청난 압력이 들어와, 언론 관계자들이 움찔하는 상황”
╋━━━━━━━━━━─────────
•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는 후쿠시마현 후타바군(郡)의 오쿠마읍(邑)과
후바타읍에 위치
• 도쿄전력이 처음으로 건설·운전한 원자력발전소
• 1971년 3월에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점차 확장을 거듭하여,
현재 부지 내에 6기의 원자로가 있음
• 총 발전설비용량은 469만6천kW이다.
• 11월 12일 외부에 처음 공개된 후쿠시마 제1원전 단지 내부 모습
Pre-crisis
전문가들의 경고
╋━━━━━━━━━━─────────
◆ 이시바시 가쓰히코 고베대 명예교수
➢ 2000년 1월 논문<거대지진이 원전을 덮친다>
➢ “후쿠시마 원전은 대규모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있음에도 20년 전에 책정된 내진 지침에 의해 설계돼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 미노우라 고지 도호쿠대학 교수 등
➢ 그 전부터 센다이 평야에 약 1000년을 주기로 초거대 지진해일이 밀려왔다며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
쓰나미에 대한 대비
╋━━━━━━━━━━─────────
◆ 이 장소는 3.1m의 쓰나미를 기초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허가를 받음
➢ BUT 후에 이보다 훨씬 더 큰 쓰나미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아무도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음.
◆ 결국 쓰나미로 인한발전소 전원 상실에 대처하는 데 적절한 장치를 구축하지 않고 있었으며, 해수 주입 기술에 대한 계획 또한 없었음
도쿄전력의 은폐성향
╋━━━━━━━━━━─────────
◆ 1978년 후쿠시마 1원전 3호기에서 일어난 일본 최초의 임계사고
➢ 29년 뒤인 2007년 3월 밝혀짐
◆ 안전조치 강화보다 손실 최소화에 열중
➢ 사고가 알려지고 원전 가동률이 떨어지는 것 막음
◆ 2010년 6월 후쿠시마 2호기에서 오작동으로 전원차단 및 수위저하 사고가 발생
➢ 도쿄전력은 사고가 나기 전까지 \'노심융해사고라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나도 절대로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5중의 벽이 있다\'며 절대 안전을 홍보
≪ … 중 략 … ≫
Media relation
언론의 감시기능 부족
╋━━━━━━━━━━─────────
◆ 요미우리 신문
➢ 일본에서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신문
➢ 前 사주 고 쇼리키 마쓰타로가 원자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아 원자력 개발을 적극 추진한 전력
➢ 후쿠시마 사고에 대해서도 매우 소극적으로 보도
◆ 또 다른 방송사 관계자
➢ “원전에 비판적인 보도가 나오면 전력회사에서 엄청난 압력이 들어와, 언론 관계자들이 움찔하는 상황”
추천자료
한국환경문제와 언론의 역할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를 읽고
미래의 대체에너지
독일 환경정책과 환경운동
독일 환경과 정책 및 국제관계
세상읽기와 논술2A형)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하여 정리-자신의 의견을...
[에너지] 원자력 에너지(atomic energy)에 관해서
방사능 - 일본 방사능이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
[세상읽기와 논술 A]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하여 정리한 후 자신의 의...
[독후감상문(경제사상/이론)]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한국사회문제 B형]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 후, 문제의 원인을...
화장품 시장 아모레퍼시픽 &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생명과 환경 1 정부의 원자력발전 장기적 포기에 대해 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의 생산비...
정부의 원자력발전 장기적 포기에 대해 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의 생산비용이 다른 전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