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HIV/AIDS 관련 용어의 정리 · · · · · · · · · · · · · · ·
1 Page
Ⅱ.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 · · · · · · · · · · · · · · ·
1~2 Page
Ⅲ. 감염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2 Page
Ⅳ. 감염확률 · · · · · · · · · · · · · · · · · · · · · · · · ·
3 Page
Ⅴ. HIV 감염의 진단 · · · · · · · · · · · · · · · · · · · ·
1 Page
Ⅱ.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 · · · · · · · · · · · · · · ·
1~2 Page
Ⅲ. 감염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2 Page
Ⅳ. 감염확률 · · · · · · · · · · · · · · · · · · · · · · · · ·
3 Page
Ⅴ. HIV 감염의 진단 · · · · · · · · · · · · · · · · · · · ·
본문내용
V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선별검사에 주
로 이용된다. 결과는 양성 혹은 음성으로 표기된다. 위양성(실제 HIV에 감염되어
있지 않지만 양성의 결과를 보이는 경우)을 보일 수 있고, HIV에 감염된 후 약 12
주까지의 항체미형성기에는 위음성(실제 HIV에 감염되어 있지만 음성의 결과를
보이는 경우)을 보일 수 있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 HIV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다른 선별
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확진을 위한 최종검사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감염 확률
신속 검사(Rapid test)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검체를 받아 1시간 이
내에 결과를 알 수 있다. 전혈, 구강액, 혈청이나 혈장 등으로 검사를 할 수 있
다. 신속성, 간편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검사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자체 대조
시약이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응급상황에만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HIV 검
사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핵산 증폭 검사(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 NAT)
HIV RNA와 HIV
DNA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혈중 내 HIV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는 정량검사와
혈액에 감염된 HIV DNA를 검출하는 정성검사가 있다. 정량검사는 질환의 예
후를 알고자 할 때, 또는 HAART 치료 반응을 보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
며, 정성검사는 헌혈 혈액에 대한 선별검사로 이용된다. 초기감염도 진단 가
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HAART : 항바이러스제(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를 3가지 이상 동시에 복용
하는 방법으로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Highly Active AntiRetro viral
Therapy, HAART : 일명 칵테일 요법)’라고 함.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HAART)
HIV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항레트로바이러스제라고 부른다. 항레트로
바이러스제를 투여할 때는 약물 투여가 장기화되면서 HIV가 내성을 획득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3가지 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고강도로 투여한다.
모든 HIV 감염인이 반드시 약을 복용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HI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있는 경우와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CD4 림프구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
소하는 경우에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HAART로 HIV 감염을 완치할 수는 없으나 치료는 가능하다. 치료의 성공을 위
해서는 규칙적으로 약을 잘 복용하여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다.
HAART의 효과는 혈중 바이러스 농도로 측정한다. HIV 감염인이 약을 규칙적으
로 잘 복용하면 바이러스가 잘 억제되어 혈중 바이러스가 검출한계 이하가 되며
타인에게 전파 가능성도 극히 낮아진다.
※ 1987년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지도부딘(Zidovudine)이 HIV 감염증 치료
제로 최초 승인된 이후, 현재 30여 가지 약제가 개발되어 있음.
[참고문헌]
언론과 미디어를 위한
HIV/AIDS 길라잡이(2012년 개정판)-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본부
로 이용된다. 결과는 양성 혹은 음성으로 표기된다. 위양성(실제 HIV에 감염되어
있지 않지만 양성의 결과를 보이는 경우)을 보일 수 있고, HIV에 감염된 후 약 12
주까지의 항체미형성기에는 위음성(실제 HIV에 감염되어 있지만 음성의 결과를
보이는 경우)을 보일 수 있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 HIV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다른 선별
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확진을 위한 최종검사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감염 확률
신속 검사(Rapid test)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검체를 받아 1시간 이
내에 결과를 알 수 있다. 전혈, 구강액, 혈청이나 혈장 등으로 검사를 할 수 있
다. 신속성, 간편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검사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자체 대조
시약이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응급상황에만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HIV 검
사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핵산 증폭 검사(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 NAT)
HIV RNA와 HIV
DNA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혈중 내 HIV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는 정량검사와
혈액에 감염된 HIV DNA를 검출하는 정성검사가 있다. 정량검사는 질환의 예
후를 알고자 할 때, 또는 HAART 치료 반응을 보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
며, 정성검사는 헌혈 혈액에 대한 선별검사로 이용된다. 초기감염도 진단 가
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HAART : 항바이러스제(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를 3가지 이상 동시에 복용
하는 방법으로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Highly Active AntiRetro viral
Therapy, HAART : 일명 칵테일 요법)’라고 함.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HAART)
HIV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항레트로바이러스제라고 부른다. 항레트로
바이러스제를 투여할 때는 약물 투여가 장기화되면서 HIV가 내성을 획득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3가지 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고강도로 투여한다.
모든 HIV 감염인이 반드시 약을 복용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HI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있는 경우와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CD4 림프구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
소하는 경우에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HAART로 HIV 감염을 완치할 수는 없으나 치료는 가능하다. 치료의 성공을 위
해서는 규칙적으로 약을 잘 복용하여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다.
HAART의 효과는 혈중 바이러스 농도로 측정한다. HIV 감염인이 약을 규칙적으
로 잘 복용하면 바이러스가 잘 억제되어 혈중 바이러스가 검출한계 이하가 되며
타인에게 전파 가능성도 극히 낮아진다.
※ 1987년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지도부딘(Zidovudine)이 HIV 감염증 치료
제로 최초 승인된 이후, 현재 30여 가지 약제가 개발되어 있음.
[참고문헌]
언론과 미디어를 위한
HIV/AIDS 길라잡이(2012년 개정판)-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본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