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실험]골재의 체가름시험(골재의 체가름실험 KSF 2502) 토목 재료 실험 입도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설재료실험]골재의 체가름시험(골재의 체가름실험 KSF 2502) 토목 재료 실험 입도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g)
(%)
(g)
(%)
(g)
(%)
9.52
0
0
0
0
500.1
100
4.75
5
1
5
1
495.1
99
2.36
15
3
10
2
485.1
97
1.18
60
12
45
9
440.1
88
0.6
185
37
125
25
315.1
63
0.3
455
91
270
54
45.1
9
0.15
500
99.9
45
9
0.1
0.02
Pan
500.1
100
0.1
0
0
0

500.1
100
최대치수(mm)
2.36
조립률
2.44
실험자
소 속
성 명
검 인
2009년 월 일 금요일 (인)
7. 고찰
잔골재와 굴은골재의 체가름시험으로 입도를 분석하는 실험으로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6.52, 잔골재의 조립률은 2.44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 ~ 3.1정도이고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6 ~ 8정도가 좋은데 시험결과가 모두 규정에 만족했다. 굵은골재의 경우 입도 분포곡선을 보면 표준입도의 최대값보다 상당히 크게 나왔다. 일단 시험 때 사용한 체가 시험규정의 체가 아닌 체들이 몇 개가 섞여 사용하여 조금 틀리게 나왔다. 그리고 굵은골재는 치수를 조정하지 않고 임의로 5kg을 사용하였고 많은 양을 체가름 실험을 해야 되서 나누어 실험을 하여 오차가 더해졌을 것이다. 그리고 굵은골재의 조립율률은 계산할 때 사용되는 체가 없어서 근사한 체의 눈금값들로 구하였다. 그러나 조립률은 만족하였다. 잔골재의 경우는 입도분포곡선에서 보듯이 통과율이 거의 다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 있어서 입도가 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할 때 잔골재의 경우 저울이 부족하여 kg단위 저울로 0.001kg까지 무게를 측정한 바람에 g단위의 소수점을 측정하지 못하여 정확한 값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굵은골재의 경우는 조립률은 만족하지만 입도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골재알의 크기가 고른 것은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같은 강도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량의 모르타르가 필요하며 콘크리트 단가가 높아진다. 세립이 많은 모래일수록 다량의 시멘트 페이스트를 사용해야 하며 표준입도범위에서 각 체를 통과하는 양이 최대값에 가까운 골재가 좋다. 그리고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당 용적질량이 크고, 시멘트가 절약되고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가 만들어져 경제적이다.
8. 참고문헌
가. 최신 건설재료학 (문운당)
나. 최신 토건재료실험 (형설출판사)
다. 건설재료학 (동명사)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