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법 &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법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법 &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법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수생식물에 의한 수질 정화
(1) 정수식물
(2) 침수식물
(3) 부유식물
(4) 식생여과대(Vegetation Filter Strips)
(5) 식재 기준

Ⅱ.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법 사례
ⅰ. 습지와 정화대상 폐수와의 관계
ⅰ-1 갈대를 중심으로 한 습지에 의한 생활 잡배수의 정화사례 (표면 유하방식 습지)
ⅰ-2 생활배수를 갈대필터로 처리한 실험 사례 (침투 유하방식 습지)
ⅱ.북부 캘리포니아의 Arcata 지역
ⅲ. 팔당호 인공풀섬

본문내용

대습지에서 솨제는 단락흐름과 막힘을 어떻게 방지하는가이다. 막힘으로 표면이 침수되면 표면흐름방식과 마찬가지의 악취, 모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폐수의 유입구부에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유출구부의 수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질소의 제거속도로 지배하고 있는 것은 질화인데 질화를 제한하는 것은 뿌리권으로의 산소 운반속도이고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간헐유입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ⅱ.북부 캘리포니아의 Arcata 지역
습지의 하수오염처리시설 개선, 습지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물과 땅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것이 목표다. 배경은 도시에서 방출된 오수는 산화연못을 거친 뒤 태평양으로 유출되었다. 1972년 미 방 수질오염기구에 의해 이 처리시스템이 부적절하다고 판명하였고 1970년대 말, 산화연못과 해안 방류지 사이에서 작용하는 소형 pilot 저습지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주요내용
물리적 구조
-1차처리 연못은 개방수역이 점하는 면적이 넓고 가장자리의 굴곡도가 낮으며, 3차처 리 습지에 이르면 습초지가 점하는 면적이 넓고 개방수역은 상대적으로 좁아짐, 습지 가장자리의 굴곡도는 현저하게 높아져 습지가 지닌 생태적 기능을 강화
조성 후 습지형성 과정
- 야생식물의 서식환경이 안정됨으로 습지의 면적이 확장되며 2, 3차처리 습지를 포함 한 주변지역을 야생생물 보호지역으로 지정
- 습지 가장자리의 경사면에 침수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에서 자라는 습지식물 분포
- 부들(Cattail)이 습지의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으며 개구리밥(Duckweed)이 개방수면 의 대부분을 덮고 있음
ⅲ. 팔당호 인공풀섬
국내 최초 팔당호 인공풀섬의 수심 1∼1.5m에서 잘 자라는 침수식물은 수중 생태계를 유지하고 물을 깨끗하게 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광합성을 통해 대량의 산소를 물 속에 방출하고 조류의 번식을 제한하며 물 속에 뻗은 가느다란 잎은 어류의 번식처로 활용된다.
부생식물(부유식물)은 조경적 가치가 높고 물 속으로 투과하는 빛의 양을 줄인다.
수면 아래로 수염뿌리가 발달한 부엽식물은 물 속의 뿌리로 유기물 등 영양분을 흡수하고 잎은 수중산소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조경적 가치가 높은 정수식물은 수생곤충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가운데 수질정화 능력이 탁월하며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견디며 높은 생장력과 활용도를 갖춘 수생식물은 10여종에 이른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