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않았다. 4번 쥐도 3번 쥐와 마찬가지로 긁힌 상처가 있고 붉게 보였으나 2번 쥐에 비해서는 심하지 않았다.
Intensity Criteria
① Erythema (홍반)
② Edema / Papulation(부종/구진화/피부융기)
③ Oozing / Crusting (삼출/가피)
④ Excoriation (찰과상)
⑤ Lichenification(태선화)
⑥ Dryness (건조)
아토피 평가 : 2조 조원의 모든 점수의 평균값을 계산.
홍반
삼출,가피
찰과상
태선화
건조
정상
0
0
0
0
0
DNCB 처리
2
3
2.17
2.17
2.5
DNCB+Hydrocortisone
1
1
1.33
1
1
DNCB+Tacrolimus
1
0.67
1
0.83
1.67
4. 고찰
실험결과 홍반은 hydrocortisone을 처리했을 때와 tacrolimus를 처리했을 때 동일하게 나타났다. 삼출, 가피는 hydrocortisone 보다 tacrolimus에 의한 치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이며, 찰과상 또한 hydrocortisone보다 tacrolimus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에 따르면 tacrolimus는 태선화된 병변에는 큰 효과가 없음을 보이는데, 우리의 실험에서는 hydrocortisone 보다 tacrolimus의 태선화 치료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건조는 tacrolimus 보다 hydrocortisone의 효과가 현저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건조를 제외한 여러 가지 아토피 피부염 증상에 대해서 mild한 증상에 사용되는 steroid 제제인 ‘hydrocortisone’ 에 비해 면역조절제인 ‘tacrolimus'의 치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에서는 SCORAD 방법으로 조원들 각자가 쥐의 등에서 발생한 아토피 증상 정도를 점수화한 것을 평균을 계산해서 약물의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사람마다 점수를 평가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두 약물의 정확한 치료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귀에도 DNCB를 도포하였지만 아토피 증상이 나타났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5. 참고문헌
삼성서울병원 아토피 환경보건센터. 아토피질환 예방관리 총람. 2012.
이혜란. 아토피 피부염. 한림대학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04
강태진 외 1명.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과 치료관리. 대한 아토피협회. 2010
Intensity Criteria
① Erythema (홍반)
② Edema / Papulation(부종/구진화/피부융기)
③ Oozing / Crusting (삼출/가피)
④ Excoriation (찰과상)
⑤ Lichenification(태선화)
⑥ Dryness (건조)
아토피 평가 : 2조 조원의 모든 점수의 평균값을 계산.
홍반
삼출,가피
찰과상
태선화
건조
정상
0
0
0
0
0
DNCB 처리
2
3
2.17
2.17
2.5
DNCB+Hydrocortisone
1
1
1.33
1
1
DNCB+Tacrolimus
1
0.67
1
0.83
1.67
4. 고찰
실험결과 홍반은 hydrocortisone을 처리했을 때와 tacrolimus를 처리했을 때 동일하게 나타났다. 삼출, 가피는 hydrocortisone 보다 tacrolimus에 의한 치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이며, 찰과상 또한 hydrocortisone보다 tacrolimus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에 따르면 tacrolimus는 태선화된 병변에는 큰 효과가 없음을 보이는데, 우리의 실험에서는 hydrocortisone 보다 tacrolimus의 태선화 치료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건조는 tacrolimus 보다 hydrocortisone의 효과가 현저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건조를 제외한 여러 가지 아토피 피부염 증상에 대해서 mild한 증상에 사용되는 steroid 제제인 ‘hydrocortisone’ 에 비해 면역조절제인 ‘tacrolimus'의 치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에서는 SCORAD 방법으로 조원들 각자가 쥐의 등에서 발생한 아토피 증상 정도를 점수화한 것을 평균을 계산해서 약물의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사람마다 점수를 평가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두 약물의 정확한 치료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귀에도 DNCB를 도포하였지만 아토피 증상이 나타났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5. 참고문헌
삼성서울병원 아토피 환경보건센터. 아토피질환 예방관리 총람. 2012.
이혜란. 아토피 피부염. 한림대학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04
강태진 외 1명.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과 치료관리. 대한 아토피협회.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