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에 관한 고찰
Ⅰ. 서 론
Ⅱ. 인간배아복제란 무엇인가?
Ⅲ.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전면적 허용 입장
Ⅳ.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전면적 금지 입장
Ⅴ.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제한적 허용 입장
Ⅵ. 결 론
Ⅰ. 서 론
Ⅱ. 인간배아복제란 무엇인가?
Ⅲ.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전면적 허용 입장
Ⅳ.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전면적 금지 입장
Ⅴ. 인간배아복제연구의 제한적 허용 입장
Ⅵ. 결 론
본문내용
acy), 14일까지 연구가 허락되는 배아연구, 인공수정 시술 체계의 관리와 허가청의 설치에 관한 것이다. (니겔 캐머런, 기독교 의료윤리 , 119면 참조)
13) 정규원, 세포응용연구의 법적 문제( 줄기세포연구의 윤리와 법정책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67-79면.
14) 최경석, 인간 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 , 92-93면 참조.
Ⅵ. 결 론
우리는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인간배아복제연구를 금지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보았다. 이 문제는 낙태의 도덕성 논쟁에서도 핵심적인 쟁점이 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전면금지의 입장에 서는 사람들은 배아를 온전한 인간으로, 연구를 위해 배아를 없애는 것을 살인행위로 본다. 전면허용의 입장에서는 배아를 단순한 세포덩어리로 본다. 그러니 아무렇게나 다루어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그것이 하나의 벽돌 조각보다 더 존중되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 두 입장은 정반대의 방향으로 극단적이다. 전면금지의 입장은 인간을 지나치게 생물학적 입장에서 이해한다. 생물학적 입장에서면 인간이란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 생명체로 정의 된다. 그러나 이런 정의를 받아들이면, 수정된 난자를 완전한 인간으로 간주해야 하는데, 이는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만약 수정된 난자가 완전한 인간이라면, 우리는 자연유산의 위기에 처해 있는 수많은 완전한 인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수많은 의료비를 지출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지진으로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란들의 생명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는 넌센스다. 전면 허용의 입장은 인간의 개념을 과도하게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을 자의식, 과거감, 미래감, 호기심, 자기통제능력, 의사 소통 능력을 가진 인격체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런 정의에 따르면 일부의 고등동물들을 인간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일부 침팬지들은 앞서 열거된 그런 능력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역시 넌센스다. 우리는 앞서 말한 이런 이유에서 인간을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 인격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어떤 생명체가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졌다면, 그 생명체는 인간이기 위한 필요조건을 갖춘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 생명체가 앞서 나열한 그러한 인격성의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생명체는 인간이기 위한 충분조건도 갖춘 것이다. 인간의 필요조건만 갖추고 충분조건을 갖추지 못한 배아를 우리는 잠재적 인간으로 간주할 수 있겠다. 잠재적 인간은 현실적 인간이 갖는 권리를 갖지는 못하지만, 현실적 인간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현실적 인간이 갖는 권리에 준하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잠재적 인간의 권리는 항상 현실적 인간의 권리를 위해 희생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현실적 인간들의 치료목적을 위해서라면, 수정 후 14일 이전의 배아를 활용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다.
13) 정규원, 세포응용연구의 법적 문제( 줄기세포연구의 윤리와 법정책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67-79면.
14) 최경석, 인간 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 , 92-93면 참조.
Ⅵ. 결 론
우리는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인간배아복제연구를 금지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보았다. 이 문제는 낙태의 도덕성 논쟁에서도 핵심적인 쟁점이 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전면금지의 입장에 서는 사람들은 배아를 온전한 인간으로, 연구를 위해 배아를 없애는 것을 살인행위로 본다. 전면허용의 입장에서는 배아를 단순한 세포덩어리로 본다. 그러니 아무렇게나 다루어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그것이 하나의 벽돌 조각보다 더 존중되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 두 입장은 정반대의 방향으로 극단적이다. 전면금지의 입장은 인간을 지나치게 생물학적 입장에서 이해한다. 생물학적 입장에서면 인간이란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 생명체로 정의 된다. 그러나 이런 정의를 받아들이면, 수정된 난자를 완전한 인간으로 간주해야 하는데, 이는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만약 수정된 난자가 완전한 인간이라면, 우리는 자연유산의 위기에 처해 있는 수많은 완전한 인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수많은 의료비를 지출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지진으로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란들의 생명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는 넌센스다. 전면 허용의 입장은 인간의 개념을 과도하게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을 자의식, 과거감, 미래감, 호기심, 자기통제능력, 의사 소통 능력을 가진 인격체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런 정의에 따르면 일부의 고등동물들을 인간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일부 침팬지들은 앞서 열거된 그런 능력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역시 넌센스다. 우리는 앞서 말한 이런 이유에서 인간을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 인격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어떤 생명체가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의 유전적 특징을 가졌다면, 그 생명체는 인간이기 위한 필요조건을 갖춘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 생명체가 앞서 나열한 그러한 인격성의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생명체는 인간이기 위한 충분조건도 갖춘 것이다. 인간의 필요조건만 갖추고 충분조건을 갖추지 못한 배아를 우리는 잠재적 인간으로 간주할 수 있겠다. 잠재적 인간은 현실적 인간이 갖는 권리를 갖지는 못하지만, 현실적 인간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현실적 인간이 갖는 권리에 준하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잠재적 인간의 권리는 항상 현실적 인간의 권리를 위해 희생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현실적 인간들의 치료목적을 위해서라면, 수정 후 14일 이전의 배아를 활용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다.
추천자료
생명과학에 관학 레포트인데요...
생명과학이란 무엇인가?
줄기세포와 배아복제
[생명과학] 미래성장동력 생명과학의 의미와 전망
LG생명과학의 글로벌전략
[동물생명] 생명과학의 중요성과 발달사
[동물생명] 생명과학의 중요성과 발달사
[생명과학] 생명과학의 정의와 바이오 융합분야 분석 및 바이오 융합분야의 전망[2012년 평가...
생명과학 해외 진출 경영 전략 사례 분석 - LG 생명과학
배아복제의 문제점
LG생명과학의 전략적제휴,전략적제휴의성공과실패,전략적제휴사례,LG생명과학기업분석,제약산...
LG생명과학과 전략적제휴,전략적제휴사례,LG생명과학기업분석,LG생명과학마케팅전략.PPT자료
배아복제 레포트
영유아 과학교육의 내용(물상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상세한 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