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코카콜라(Coca-Cola)와 펩시콜라(Pepsi-Cola) 경영전략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전략] 코카콜라(Coca-Cola)와 펩시콜라(Pepsi-Cola) 경영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코카콜라 이야기
Ⅱ.펩시 이야기
Ⅲ.콜라시장 이야기
Ⅳ.SWOT분석
Ⅴ.전략엿보기
Ⅵ.코카콜라vs펩시콜라

본문내용

어졌다.
60년대가 되자 펩시는 당시 자판기와 상점의 수요가 대부분이던 콜라를 가정용 포장으로 바꾸었다. 수퍼마켓을 공략하면서 펩시의 큰 사이즈를 다시 특징으로 내놓게 되었고 이러한 노력은 점차 효과를 발휘하여, 펩시의 시장 점유율이 코카콜라의 거의 절반에 이르게 되었다.
70년대에 들어서면서 펩시는 다시 한번 코카콜라의 강점들을 생각해 보았다.
코카콜라의 강점 중 하나는 펩시보다 역사가 깊다는 점이다. 즉 첫번째 콜라도 펩시보다 더 오랫동안 시장에 나와 있었던 것이다.이러한 권위가 확실히 코카콜라에는 강점이었지만, 그 또한 뒤집어보면 약점이 될 수도 있었다. 나이가 많은 소비자일수록 코카콜라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젊은 사람들은 펩시를 좋아했던 것이다. 더구나 큰 병은 젊은이들에게 어필했다.이제 펩시의 전략은 코카콜라가 ‘진보에 뒤지고, 감각에서 뒤지며, 세대에도 뒤지는’ 제품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었다.
2)코크 vs 펩시
그래서 펩시는 젊은층을 타깃으로 공략하기 시작하였다. 광고에는 마이클잭슨이나 라이오넬 리치 같은 젊은이들의 우상을 등장시켰고,‘새로운 세대의 선택(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한편 젊은 층을 공략한다는 전략은 일관성있게 유지하면서 젊다는 이미지를 다양한 그림, 말, 사진, 음악 등 으로 변화시켜가며 표현했다. 펩시의 이러한 전략은 코카콜라의 우세를 조금씩 잠식해 나갔다. 코카콜라는 선두를 고수하는 방어전략에 부심하게 된다.
‘코크(Coke)’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된 코카콜라는 콜라의 대명사다.
즉 코카콜라는 콜라를 대표하는‘제품’을 팔고 있는데 반해, 펩시콜라는 그야말로 펩시라는‘브랜드’를 파는 셈이었다. 코크와 같은 본원적 상표 본원적 상표(generic brand) : 특정 브랜드가 제품을 총칭하는 경우
는 엄청난 자산이다. 코크는 이러한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80년대에 이르자, 콜라 맛의 원조라는 의미에서‘진짜 콜라맛을 찾으신다면(for real taste)’이라는 테마를 내놓았다.
즉 다른 어떤 제품도 다‘코크 의 유사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진짜맛’을 더 구체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소위 ‘머천다이즈 7X’라는 코카콜라의 제조 비법에 관한 이점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코카콜라 원액의 제조 비법을 알고 있는 사람이 서넛밖에 없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루머였다. 그리하여 ‘진짜 맛’을 대변해 주는 슬로건으로서 “코크는 바로 이 맛!(Coke is it!)”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3) 펩시 챌린지..그리고 뉴코크
펩시가 70년대 중반에 내놓은 전략은 ‘펩시 챌린지’다.
이것은 눈을 가리고 콜라 맛을 본 후, 좋아하는 콜라를 선정하도록 하는 테스트다. 이 테스트에서 사 람들은 펩시를 코크에 비해 3대 2정도로 더 많이 선택하였고, 그 결과가 텔레비전 광고에 이용되었다. 펩시가 코크보다 9% 더 달기 때문에 사람들이 눈을 가 리고 한 모금 마셨을 때는 펩시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젊을수록 단 것을 좋아하므로 젊은이들에게 어필하려는 펩시에 부합하는 전략인 듯 보였다.그런데 ‘펩시 챌린지’의 성과에 당황한 코카콜라가 큰 실수를 저 지르고 만다. 코카콜라는 85년 갑자기 그들의 내용물을 바꾸어서 펩시콜라만큼 단 맛의 뉴코크(New Coke)를 내놓은 것이다. 이제 그들이 주장하는 진짜 맛(real taste)은 더 이상 진짜 맛이 아니었다. 일격에 자기 자신의 위치를 흔들어 놓고야 만 것이다. 고객들의 반발로 인하여 뉴 코크를 내놓은 지 3개월도 채 못가서 코카콜라는 다시 오리지날의 맛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데, 되돌아온 코크의 이름은 클래식 코크(Classic Coke)였다. 이 클래식 코크라는 것은 결국 뉴코크를 죽이는 결과를 자초하고 만다.
코크와 펩시의 시장점유율은 50년대 5대 1에서 1960년대에는 2.5 대1이 되었으며 코카콜라가 만들어진 지 100년이 되는 1986년에는 1.1 대 1이 되고야 만다.
4)방어를 통한 번영
코카콜라는 수없는 도전을 받았지만, 그래도 100년 이상 선두기업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또한 콜라전쟁으로 상대적 점유율은 줄어들었을지언정, 시장 수요 는 엄청나게 증가했다. 애틀란타시의 코카콜라박물관 전광판에는 전세계에서 마시는 코카콜라 병의 숫자가 쉴새없이 게시되고 있다. 매일 8억 3400만 병이 소비되고 있으니 1000단위 숫자가 바뀌는 것은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오늘날, 코카콜라는 브랜드 가치만도 40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코카콜라는 새로운 도전들에 대비하여 전세계 방방곡곡으로 시장을 넓혀 가고 있다. 코카콜라가 진출해 있는 국가는 현재 195개국으로 북한,리비아,이라크를 제외한 사실상 전세계 국가다. 유엔 회원국 150여 개보다 더 많다.
또 한편으로는 소비자의 어떠한 욕구도 충족시킬 수 있게 다양한 제품을 내놓고 있다. 콜라의 종류만 해도 클래식 코크, 뉴 코크, 체리 코크, 다이어트 코크, 탭, 카페인-프리다이어트 코크, 카페인- 프리 탭 등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이에 그치지 않고 콜라 이외의 청량음료 제품도 끊임없이 개발하는 등 선도기업의 자리를 지켜가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5) 개선점
앞으로 코카콜라와 펩시콜라는 탄산음료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탄산음료시장에서의 제품 다각화에 힘써야 할 것이며 반대로 앞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은 비탄산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코카콜라는 전략적 제휴전략적 제휴 :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협조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전략적 제휴의 주된 동기는 경영자원의 공유 또는 교환을 통한 상호이익 추구이다.
연구개발 컨소시엄, 기술제휴 라이센스, 생산 라이센스, 제품스왑등의 유형이 있다.
를 통한 제품 다각화와 현지화를 통한 제품 개발과 시장진출을 꾀한다면 지금까지의 왕좌자리를 굳건히 다지리라고 본다.
펩시콜라는 열세를 보이고 있는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잠재적 수요자 개발에 투자하여 틈새시장을 개발하여 코카콜라를 추격하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 가격3,2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5.02.21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