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 공학패키지 2001KHCS(2001 한국 도로 용량 편람) 실습
1. 프로그램 소개
2. 프로그램 실행 및 기능 소개
Ⅱ. 시설유형별 운영분석
ⅰ. 고속도로 기본구간 분석
ⅱ. 다차로 도로 분석
1. 프로그램 소개
2. 프로그램 실행 및 기능 소개
Ⅱ. 시설유형별 운영분석
ⅰ. 고속도로 기본구간 분석
ⅱ. 다차로 도로 분석
본문내용
대안을 검토해 보라.
도로 및 교통 조건
- 설계속도 80kph
- 양방향 2차로
- 차로폭 3.5m, 측방여유폭 1.0m
- 지형은 평지
- 첨두시간계수(PHF) 0.95
- 중차량 구성비 30%
가정
- 포장 상태와 기후 조건은 양호한 상태로 가정
- 구간자료 (양방향 동일)
구분 구간
(a)
(b)
구간 길이(km)
2.0
4.0
차로 수(양방향)
2
2
중방향 설계시간교통량(DDHV)
2300(대/방향)
2200(대/방향)
유출입지점 수(개)
4
5
- 신호운영 자료
구분 교차로
①
②
C(초)
150
150
g/C
0.7
0.8
판정
임계 교차로(Critical Point)
다차로도로의 운영분석
1. 일반사항
분석지점 : 분석자 :
2. 도로조건
▷ 도로유형 : 유형 Ⅱ
▷ 측방여유폭 : 1.0m 이상 ▷ 차로폭 : 3.5m 이상
▷ 평균유출입지점수 : 4개
▷ 평면선형굴곡도 : 0º/km ▷ 종단선형굴곡도 : 4m/km
▷ 평균신호등밀도 : 0.5개/km
3. 교통조건 │
▷ 교통량(편도) : 1550 대/시
▷ 차로수(편도) : 1 차로
▷ 첨두시간계수 : .95
▷ 중차량구성비율 : 30%
▷ 평균 g/C 비 : 0.75
4. 운영상태분석
▷ 첨두시간 환산 교통량 = 1632pcphpl
▷ 승용차의 최대 평균통행속도(Sp1) 산출
Sp1 = BSp - Fwc - Fb - Fh - Fa
= 87 - 1 - 0 - 1 - 1 = 84kph
▷ 승용차의 평균통행속도(Sp2) 산출
Sp2 = Sp1 - Fs - Fv
= 84 - 4.00 - 20.28 = 59.72kph
▷ 중차량의 평균통행속도(St2) 산출
St2 = 80 - Fwc - Fh - Fa - Fs - Fv
= 80 - 1 - 3 - 1 - 3.00 - 17.96 = 54.04kph
▷ 평균통행속도(S) 산출
S = (1-p) × Sp2 + p × St2
= ( 1 - 0.3) × 59.72 + 0.30 × 54.04 = 58.02kph
5. 결 과
▷ 서비스 수준 : D
개선 방안 검토
- 교차로간 구간 용량과 교차로 용량은 구간 수요를 처리할 수 있다.
- 임계교차로 : 구간 용량에 비해 임계 교차로의 용량은 23%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교차로 접근부의 차로 수 증설하거나 신호운영 개선 대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각 설계 대안별 용량 확보 수준과 서비스수준(평균 통행속도) 변화 및 소요 예산을 검토하여 최적의 대안을 찾는다.
ⅲ. 2차로도로 분석
2차로 도로 운영분석은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분석으로서, 도로 및 교통조건을 입력하고 [분석]버튼을 클릭하여 분석구간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판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분석 구간 종류는 일반지형과 특정경사 구간으로 나뉘는데, 각각 입력해야 하는 값은 아래와 같다.
일반지형 - 지형(O), 경사도(X), 경사길이(X)
특정경사구간 - 지형(X), 경사도(O), 경사길이(O)
예제1) 2차로도로 일반지형의 서비스수준 평가
지방부 2차로도로는 총 연장 7km이며, 3km 지점에 신호교차로가 설치운영하고 있다. 양방향 첨두시간 1시간 교통량이 1,000kph이다. 도로조건 및 교통조건이 다음과 같을때 첨두시간 동안 운행되는 교통류의 서비스 수준은 얼마인가?
- 도로조건 : 자유속도 80kph, 차로폭 4m, 측방여유폭 1.0m, 평지, 앞지르기 금지구간 40%
- 교통조건 : 트럭 10%, 방향별 교통량 분포 50/50
- 신호교차로 조건 : 2현시 운영, 신호주기 95초(황색신호 3초)
주방향 좌회전 교통량 : 50vph, 우회전 교통량 : 50vph
부도로 양방향 직진 교통량 : 100vph, 각 회전 교통량 : 50vph
2차로도로 일반지형의 운영 분석
1. 일반사항
조사지점 :
조사기간 : 조사자 :
2. 도로조건
▷ 측방여유폭(m): ≥1.5 ▷ 설계속도 : 80km/시
▷ 차로폭(m) : ≥3.5 ▷ 도로유형구분 :
▷ 추월금지구간백분율(%) : 20< ≤40
3. 교통조건
▷ 교통량(양방향) : 1000 대/시 ▷ 중방향 교통량 분포 : 50%
▷ 첨두시간계수 : .9 ▷ 차량구성비율(%)
(트럭·버스: 10%, 트레일러: 0%)
▷ 첨두시간 최대 환산교통류율
= 교통량/(첨두시간계수<표7-2>×중차량보정계수<표7-3><식7-2>
1170 = 1000 / ( .9 × .95 )
4. 서비스수준분석
▷ 기본적인 조건에서의 지체율([그림 7-2]) : 14
▷ 총지체율 산정
┌──────┬───────┬───────┬───────┐
│ TDRi │ fdw │ fdD-p │ TDR │
├──────┼───────┼───────┼───────┤
│ 14 │ 1 │ 1.14 │ 16 │
└──────┴───────┴───────┴───────┘
5. 결 과
▷ 총지체율 : 16 ▷ 서비스수준 : C
ⅳ. 신호교차로 분석
신호교차로 운영분석은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분석으로서, 도로 및 교통조건을 입력하고 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분석구간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판정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예제1)
네갈래 교차로에서의 교통상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모든 도로조건, 교통조건 및 교통운영조건은 다음의 입력자료에 나타나 있다. 이 교차로의 특징은 어느 접근로에도 우회전 도류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자회전 전용차로가 없는 공용차로에서의 비보호 자회전이 동서도로에서 허용이 되며(CASE 6), 남북도로는 전용 자회전차로가 1개인 접근로를 갖으며(CASE 1), 양방보호 신호로 운영된다. 또 우회전 도류화를 위한 교통섬이 없으며, 북향(NB) 접근로에 U턴이 허용된다. 동향(EB) 접근로는 분석기간 초기에 초기 대기 차량이 남아있으나 분석기간 동안 해소가 된다.
이 교차로의 모든 차로군의 용량과 V/c비 및 서비스 수준을 구하라. 또 모든 접근로 및 교차로 전체의 서비스 수준을 구하고, 교차로 전체의 임계 V/c비를 구하라.
- 도로, 교통조건 입력
- 공통조건 및 신호현시 입력
<분석 결과>
- 교통량 보정 및 차로군 분류
- 포화교통량 계산
- 지체 계산 및 서비스 수준 판정
도로 및 교통 조건
- 설계속도 80kph
- 양방향 2차로
- 차로폭 3.5m, 측방여유폭 1.0m
- 지형은 평지
- 첨두시간계수(PHF) 0.95
- 중차량 구성비 30%
가정
- 포장 상태와 기후 조건은 양호한 상태로 가정
- 구간자료 (양방향 동일)
구분 구간
(a)
(b)
구간 길이(km)
2.0
4.0
차로 수(양방향)
2
2
중방향 설계시간교통량(DDHV)
2300(대/방향)
2200(대/방향)
유출입지점 수(개)
4
5
- 신호운영 자료
구분 교차로
①
②
C(초)
150
150
g/C
0.7
0.8
판정
임계 교차로(Critical Point)
다차로도로의 운영분석
1. 일반사항
분석지점 : 분석자 :
2. 도로조건
▷ 도로유형 : 유형 Ⅱ
▷ 측방여유폭 : 1.0m 이상 ▷ 차로폭 : 3.5m 이상
▷ 평균유출입지점수 : 4개
▷ 평면선형굴곡도 : 0º/km ▷ 종단선형굴곡도 : 4m/km
▷ 평균신호등밀도 : 0.5개/km
3. 교통조건 │
▷ 교통량(편도) : 1550 대/시
▷ 차로수(편도) : 1 차로
▷ 첨두시간계수 : .95
▷ 중차량구성비율 : 30%
▷ 평균 g/C 비 : 0.75
4. 운영상태분석
▷ 첨두시간 환산 교통량 = 1632pcphpl
▷ 승용차의 최대 평균통행속도(Sp1) 산출
Sp1 = BSp - Fwc - Fb - Fh - Fa
= 87 - 1 - 0 - 1 - 1 = 84kph
▷ 승용차의 평균통행속도(Sp2) 산출
Sp2 = Sp1 - Fs - Fv
= 84 - 4.00 - 20.28 = 59.72kph
▷ 중차량의 평균통행속도(St2) 산출
St2 = 80 - Fwc - Fh - Fa - Fs - Fv
= 80 - 1 - 3 - 1 - 3.00 - 17.96 = 54.04kph
▷ 평균통행속도(S) 산출
S = (1-p) × Sp2 + p × St2
= ( 1 - 0.3) × 59.72 + 0.30 × 54.04 = 58.02kph
5. 결 과
▷ 서비스 수준 : D
개선 방안 검토
- 교차로간 구간 용량과 교차로 용량은 구간 수요를 처리할 수 있다.
- 임계교차로 : 구간 용량에 비해 임계 교차로의 용량은 23%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교차로 접근부의 차로 수 증설하거나 신호운영 개선 대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각 설계 대안별 용량 확보 수준과 서비스수준(평균 통행속도) 변화 및 소요 예산을 검토하여 최적의 대안을 찾는다.
ⅲ. 2차로도로 분석
2차로 도로 운영분석은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분석으로서, 도로 및 교통조건을 입력하고 [분석]버튼을 클릭하여 분석구간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판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분석 구간 종류는 일반지형과 특정경사 구간으로 나뉘는데, 각각 입력해야 하는 값은 아래와 같다.
일반지형 - 지형(O), 경사도(X), 경사길이(X)
특정경사구간 - 지형(X), 경사도(O), 경사길이(O)
예제1) 2차로도로 일반지형의 서비스수준 평가
지방부 2차로도로는 총 연장 7km이며, 3km 지점에 신호교차로가 설치운영하고 있다. 양방향 첨두시간 1시간 교통량이 1,000kph이다. 도로조건 및 교통조건이 다음과 같을때 첨두시간 동안 운행되는 교통류의 서비스 수준은 얼마인가?
- 도로조건 : 자유속도 80kph, 차로폭 4m, 측방여유폭 1.0m, 평지, 앞지르기 금지구간 40%
- 교통조건 : 트럭 10%, 방향별 교통량 분포 50/50
- 신호교차로 조건 : 2현시 운영, 신호주기 95초(황색신호 3초)
주방향 좌회전 교통량 : 50vph, 우회전 교통량 : 50vph
부도로 양방향 직진 교통량 : 100vph, 각 회전 교통량 : 50vph
2차로도로 일반지형의 운영 분석
1. 일반사항
조사지점 :
조사기간 : 조사자 :
2. 도로조건
▷ 측방여유폭(m): ≥1.5 ▷ 설계속도 : 80km/시
▷ 차로폭(m) : ≥3.5 ▷ 도로유형구분 :
▷ 추월금지구간백분율(%) : 20< ≤40
3. 교통조건
▷ 교통량(양방향) : 1000 대/시 ▷ 중방향 교통량 분포 : 50%
▷ 첨두시간계수 : .9 ▷ 차량구성비율(%)
(트럭·버스: 10%, 트레일러: 0%)
▷ 첨두시간 최대 환산교통류율
= 교통량/(첨두시간계수<표7-2>×중차량보정계수<표7-3><식7-2>
1170 = 1000 / ( .9 × .95 )
4. 서비스수준분석
▷ 기본적인 조건에서의 지체율([그림 7-2]) : 14
▷ 총지체율 산정
┌──────┬───────┬───────┬───────┐
│ TDRi │ fdw │ fdD-p │ TDR │
├──────┼───────┼───────┼───────┤
│ 14 │ 1 │ 1.14 │ 16 │
└──────┴───────┴───────┴───────┘
5. 결 과
▷ 총지체율 : 16 ▷ 서비스수준 : C
ⅳ. 신호교차로 분석
신호교차로 운영분석은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분석으로서, 도로 및 교통조건을 입력하고 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분석구간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판정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예제1)
네갈래 교차로에서의 교통상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모든 도로조건, 교통조건 및 교통운영조건은 다음의 입력자료에 나타나 있다. 이 교차로의 특징은 어느 접근로에도 우회전 도류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자회전 전용차로가 없는 공용차로에서의 비보호 자회전이 동서도로에서 허용이 되며(CASE 6), 남북도로는 전용 자회전차로가 1개인 접근로를 갖으며(CASE 1), 양방보호 신호로 운영된다. 또 우회전 도류화를 위한 교통섬이 없으며, 북향(NB) 접근로에 U턴이 허용된다. 동향(EB) 접근로는 분석기간 초기에 초기 대기 차량이 남아있으나 분석기간 동안 해소가 된다.
이 교차로의 모든 차로군의 용량과 V/c비 및 서비스 수준을 구하라. 또 모든 접근로 및 교차로 전체의 서비스 수준을 구하고, 교차로 전체의 임계 V/c비를 구하라.
- 도로, 교통조건 입력
- 공통조건 및 신호현시 입력
<분석 결과>
- 교통량 보정 및 차로군 분류
- 포화교통량 계산
- 지체 계산 및 서비스 수준 판정
추천자료
[환경공학실험] 압력측정, 피토관 예비실험보고서
[산학협동][산학협력]산학협동(산학협력)의 정의와 유형, 실업계고의 산학협동(산학협력), 호...
미래유망직종 - 환경공학기술자와 북디자이너, 미래유망직종 - 대학교수와 아나운서, 미래유...
[공학] 반도체 패키징
[기계공학실험]충격시험
주조응고및실습 사립자의 입도 측정 결과보고서 + 고찰
[기계공학실험] 온도측정실험
[기계 공학 응용 실험] 10. PLC 응용 실험 (A+자료)
[전자공학실험2] 11주차 - Final term project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랩뷰(Labview) 측정 프로그래밍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 (결과) 설계실습 01. Common-Source(CS)증폭기와 Cascode...
[기계공학 실험] 전위차계(Potensiometer)를 사용한 길이측정 : 전위차계(Potensiometer)를 ...
농산 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