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가격이 저렴하다.
비동기 검파(non-coherent detector)
- 포락선 검파기
- 정보는 변조된 신호의 진폭이나 포락선에 실리게 된다. 따라서 포락선 검파를 하면 원 래 신호를 검파 할 수 있다.
- 다이오드 정류기와 스무딩 필터로 구성.
- 동기 검파기에 비해서 간단하지만 잡음으로부터 신호를 구별해 내는 능력이 떨어짐.
제곱법 검파기
- 수신단에서 변조된 반송파 신호의 90° 위상차 값을 얻을 수 있다면 결국 a(t)cos(wct)와 a(t)sin(wct)를 얻게 된다. 여기서 90° 위상차가 나는 신호 각각을 제곱근하고 더한 후 제곱근을 취한다.
동기 검파기(Coherent detector)
- 수신된 신호에 국부적으로 생선된 기준 캐리어를 곱하고, 믹서, 출력으로부터 주파수 차 성분을 선택.
- 변조된 신호와 기준 반송파를 각각 a(t)cos(wct)와 cos(wct+θ)로 나타낼 때 믹서 충격은 다음과 같다.
- 기준 반송파가 변조된 반송파 신호와 위상 동기가 맞는다면(즉, 주파수 및 위상차가 없으며, θ=0°이다.
- 출력은 a(t)에 비례하게 되고 완벽한 검파가 이루어진다.
- 만약 θ=90°이면 cos(90°) = 0이 되고 출력은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수신단의 반송파 발진기를 송신단의 반송파 발진기에 위상 동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
- 동기 검파가 비동기 검파보다 훨씬 복잡하지만 잡음의 영향하에 데이터 신호를 더욱 정확히 복원할 수 있다.
동기 검파 대 비동기 검파
- ASK신호의 페이저 혹은 벡터다이어그램
- ASK에서 반송파 복원
_ ASK 변조 방식의 BER 성능
비동기 검파(non-coherent detector)
- 포락선 검파기
- 정보는 변조된 신호의 진폭이나 포락선에 실리게 된다. 따라서 포락선 검파를 하면 원 래 신호를 검파 할 수 있다.
- 다이오드 정류기와 스무딩 필터로 구성.
- 동기 검파기에 비해서 간단하지만 잡음으로부터 신호를 구별해 내는 능력이 떨어짐.
제곱법 검파기
- 수신단에서 변조된 반송파 신호의 90° 위상차 값을 얻을 수 있다면 결국 a(t)cos(wct)와 a(t)sin(wct)를 얻게 된다. 여기서 90° 위상차가 나는 신호 각각을 제곱근하고 더한 후 제곱근을 취한다.
동기 검파기(Coherent detector)
- 수신된 신호에 국부적으로 생선된 기준 캐리어를 곱하고, 믹서, 출력으로부터 주파수 차 성분을 선택.
- 변조된 신호와 기준 반송파를 각각 a(t)cos(wct)와 cos(wct+θ)로 나타낼 때 믹서 충격은 다음과 같다.
- 기준 반송파가 변조된 반송파 신호와 위상 동기가 맞는다면(즉, 주파수 및 위상차가 없으며, θ=0°이다.
- 출력은 a(t)에 비례하게 되고 완벽한 검파가 이루어진다.
- 만약 θ=90°이면 cos(90°) = 0이 되고 출력은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수신단의 반송파 발진기를 송신단의 반송파 발진기에 위상 동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
- 동기 검파가 비동기 검파보다 훨씬 복잡하지만 잡음의 영향하에 데이터 신호를 더욱 정확히 복원할 수 있다.
동기 검파 대 비동기 검파
- ASK신호의 페이저 혹은 벡터다이어그램
- ASK에서 반송파 복원
_ ASK 변조 방식의 BER 성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