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시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고전가요에서 신라 시대의 향가로, 고려 시대에는 고려가요로, 또 시조로, 가사로 변하면서 현대시에 이르렀다. 소설의 경우, 동양에서는 신화가 설화로, 그리고 가전체로 변화되었다가 오늘날 소설이라고 하는 갈래에 이르렀다. 서양의 경우는 신화가 서사시로, 로맨스로 그리고 역시 현대에는 소설이라고 불린다. 희곡 역시 마찬가지로 서양에서는 그리스 고전극을 위해 쓰이던 것이 르네상스의 연극으로, 또 오늘날의 희곡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마당놀이나 탈춤을 위한 내용이 희극으로 발달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날, 크게 문학이라고 내리는 정의는 서양에서는 18세기에,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에 정해진 것이다. 따라서 21세기인 지금 역시 지금의 상황에 맞게 변해야 한다.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문학의 범주가 더 넓혀져야 한다. 문학과 문학이 아닌 것으로 나누기에는 현대에는 너무도 그 갈래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렇듯 문학이라는 틀에 포함되지 않는, 그러나 형식은 문학의 형식을 갖춘 작품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가 문학이라고 지칭하는 작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의 삶을 글로써 표현하되, 현실과는 또 다른 상상력으로 우리의 정서를 자극하여 감동을 주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형상적 인식을 통해서 우리에게 교훈과 재미를 주는 것이다. 우리는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웃고 울고 행복해하거나 슬퍼하기도 한다.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작품은 분명 문학으로써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문학이라는 정의를 새롭게 내리고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추천자료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물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의 전통
한국문학의 이해, 민요와 무가 연구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한국문학의 이해, 한문학 연구
<북한문학의 이해>『높새바람』과『황진이』에 관한 비교연구
[서양문학][서양문학 이해][서양문학과 리얼리즘(사실주의)][종교문학][동양문학][파우스트]...
[아동 문학] 아동문학의 이론적 기초 - 아동문학의 출현, 아동문학의 개념, 아동문학의 정의,...
[아동 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그림책 (좋은 그림책의 정의, 야콥스가 제시한 좋은 그림책의...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역사동화 (역사동화의 정의, 역사 동화의 네가지 분류, 역사 ...
실존주의 문학의 이해 - 카뮈(Albert Camus)의 <이방인(L`Etranger)>을 바탕으로 한국의 실존...
대중매체로서의 신화의 해석(단군신화해석, 신화의이해, 건국신화, 대중매체와문학)
아동문학의 정의에 대해 기술하고 유아기에 좋은 문학을 경험했을 때의 가치에 대해 실제 사...
[문학교육론] 거울뉴런 이론이 문학독서 교육에 주는 시사점 - 문학독서 과정의 이해와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