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두기 (solding gun)
2. 플로피 디스켓 드라이버
3. 닷트 프린터(dot printer)
4. 레이저프린터
5. 음극선관 (CRT)
6. 모터(전동기)
7. 전자석
14. 기차용 리시버 (receiver)
8. 발전기
9. 자기 브레이크
10. 형광등의 스타트 전구
11. 금속 탐지기(도난 방지기)
12. 자동차 속력계
13. 전기 밥솥
2. 플로피 디스켓 드라이버
3. 닷트 프린터(dot printer)
4. 레이저프린터
5. 음극선관 (CRT)
6. 모터(전동기)
7. 전자석
14. 기차용 리시버 (receiver)
8. 발전기
9. 자기 브레이크
10. 형광등의 스타트 전구
11. 금속 탐지기(도난 방지기)
12. 자동차 속력계
13. 전기 밥솥
본문내용
가 흐르는 코일에 의해 코일(또는 자석)의 회전운동이 발생
7. 전자석
코일을 감아 전류를 흘리면 전자석이 되어 다른 금속을 당길 수 있다.
8. 발전기
전동기와 같은 구조로 원리만 반대. 코일 속에서 자석을 돌리거나, 자석 주변에서 코일을 돌리면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9. 자기 브레이크
코일의 변화를 막기위한 유도기전력에 의해 힘이 작용하는 경우
10. 형광등의 스타트 전구
순간적인 전압 차단에 의한 불꽃을 이용, 범죄 예방용 고전압 발생장치도 같은 원리
11. 금속 탐지기(도난 방지기)
전류가 흐르는 코일 주위에 금속이나 자석을 가까이하면 코일 내부에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감지한다.
금속 탐지기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해 주변에 금속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 금속 탐지기 속에는 교류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있다. 교류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한 시간마다 계속 변한다. 따라서 교류전류가 코일 주변에 만드는 자기장은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변화한다. 만약 이 변화하는 자기장 속에 금속이 들어오면,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 내부에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는 약간의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그 자기장 변화는 금속탐지기 내의 수신 코일에 전류를 발생 시킨다다. 따라서 주변에 금속으로 된 지뢰가 있는지 없는지를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2. 자동차 속력계
바퀴와 함께 자석이 회전을 하면 마주보고 있는 금속판이 같은 속력으로 돌기 시작한다. 이 회전의 정도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속력계로 나타낸다.
13. 전기 밥솥
전기밥솥은 열을 발생하는 방식에 따라 전열선 가열 방식과 전자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요즈음 사용되는 전기밥솥은 대부분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한다. 전자 유도 가열식은 전기밥솥에 전원이 연결되면 전기 코일(1차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밥솥의 스테인리스 층 (2차 코일)에 전압이 발생되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로 인하여 발생한 열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통하여 내부 솥 전체에 퍼져서 쌀이 고르게 익는 것이다.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은 내부 솥 자체가 열을 발생시키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다.
14. 기차용 리시버 (receiver)
철도에는 차량의 앞부분에 장치해서 전자기유도(電磁氣誘導)로 지상(地上)의 전선에 흐르는 신호를 차량에 중계하는 장치가 있다.. 이것은 자동 열차제어 자동 열차정지 차내신호 등에 사용된다.
7. 전자석
코일을 감아 전류를 흘리면 전자석이 되어 다른 금속을 당길 수 있다.
8. 발전기
전동기와 같은 구조로 원리만 반대. 코일 속에서 자석을 돌리거나, 자석 주변에서 코일을 돌리면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9. 자기 브레이크
코일의 변화를 막기위한 유도기전력에 의해 힘이 작용하는 경우
10. 형광등의 스타트 전구
순간적인 전압 차단에 의한 불꽃을 이용, 범죄 예방용 고전압 발생장치도 같은 원리
11. 금속 탐지기(도난 방지기)
전류가 흐르는 코일 주위에 금속이나 자석을 가까이하면 코일 내부에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감지한다.
금속 탐지기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해 주변에 금속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 금속 탐지기 속에는 교류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있다. 교류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한 시간마다 계속 변한다. 따라서 교류전류가 코일 주변에 만드는 자기장은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변화한다. 만약 이 변화하는 자기장 속에 금속이 들어오면,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 내부에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는 약간의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그 자기장 변화는 금속탐지기 내의 수신 코일에 전류를 발생 시킨다다. 따라서 주변에 금속으로 된 지뢰가 있는지 없는지를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2. 자동차 속력계
바퀴와 함께 자석이 회전을 하면 마주보고 있는 금속판이 같은 속력으로 돌기 시작한다. 이 회전의 정도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속력계로 나타낸다.
13. 전기 밥솥
전기밥솥은 열을 발생하는 방식에 따라 전열선 가열 방식과 전자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요즈음 사용되는 전기밥솥은 대부분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한다. 전자 유도 가열식은 전기밥솥에 전원이 연결되면 전기 코일(1차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밥솥의 스테인리스 층 (2차 코일)에 전압이 발생되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로 인하여 발생한 열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통하여 내부 솥 전체에 퍼져서 쌀이 고르게 익는 것이다.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은 내부 솥 자체가 열을 발생시키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다.
14. 기차용 리시버 (receiver)
철도에는 차량의 앞부분에 장치해서 전자기유도(電磁氣誘導)로 지상(地上)의 전선에 흐르는 신호를 차량에 중계하는 장치가 있다.. 이것은 자동 열차제어 자동 열차정지 차내신호 등에 사용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