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및 실험 - 우리나라 동전의 밀도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학 및 실험 - 우리나라 동전의 밀도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목적
2.이론
3.실험 과정
4.기구 및 시약
5.참고문헌
6. 실험 결과
7. 관찰과 결과 분석

본문내용

지름)=10.80mm ,(50원 두께)=1.60mm
(3) 동전을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와 비율을 이용해서 동전의 밀도를 계산한다.
10원 주화(1개)
50원 주화(1개)
질량 (동전)
4.06
4.16
부피(ml)
0.295(Cu)+0.2(Zn)=0.495
0.326(Cu)+0.105(Zn)+0.056(Ni) =0.487
밀도(g/ml)
8.20
8.54
※(Ni의 밀도) = 8.90 g/ml, (Cu의 밀도) = 8.94 g/ml (Zn의 밀도) = 7.13 g/ml
※부피=질량*1/밀도
(4) 실험을 통해서 얻은 밀도와 자료를 통해서 얻은 밀도의 차이가 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위 3가지 문제, (1), (2), (3)의 밀도가 서로 다른 이유에 대해서)
(1)과 (2),(3)의 밀도가 다른 이유는 정밀하고 세밀하게 실험과정을 거친 (2),(3)과 달리 (1)은 실험 1회 후 물이 마저 다 마르지 못한 채 동전의 질량의 추가가 되었던 점, 동전의 생성 연도에 따른 마모상태로 인한 질량 손실, 실험자의 미숙함 등 오차의 원인이 (2),(3)과 달리 많았기 때문이다.
(2)와 (3)의 밀도가 다른 가장 큰 이유는 합금 상태에서 금속의 배열이 달라지는 것이다.
(2)와 (3)의 부피를 비교하면 항상 부피의 크기는 (2)가 더 크다. 이 이유는 각 금속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금속이 합금하게 되면 배열이 바뀌게 되어, 처음의 두 순물질의 부피를 각각 더한 합이 합금이 된 물질의 부피와 다르게 된다. 모래알과 돌맹이의 부피를 각각 잰 것과 모래알, 돌맹이를 합친 부피가 다른 것은 이것의 좋은 예가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2.23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