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Ⅲ. 간호과정
1. 일반적인 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신체증상
4.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Ⅳ.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
1. 혈액검사
2. 임상화학검사
Ⅴ.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Ⅵ. 결론
Ⅶ.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Ⅲ. 간호과정
1. 일반적인 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신체증상
4.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Ⅳ.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
1. 혈액검사
2. 임상화학검사
Ⅴ.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f. 예방접종력 : B형 간염 1차, 2차 접종. BCG, 폴리오
3. 신체증상
체온: 38.0℃ 맥박: 142회/min
호흡: 32회/min 체중: 3.92kg
생후 2개월에 처음 황달 나타난 이후로 계속 황달 증세 보임.
회백색 대변 양상 보임.
yellowish 소변 양상 보임.
sono-abdominal 결과 enlarged hepatic artery 보임. spleen, urinary, bladder, pancreas 정상임.
몸무게 5kg로 3개월 영아 표준 몸무게인 6.6kg에 미치지 못함. 두위 37cm으로 표준 두위인 40.1cm에 미치지 못함. 체중증가 불량, 성장 부진 양상 보임.
환아가 몸을 긁는 등의 소양감은 없음
4.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성장발달
단계
대 상 아 동
신 체
정신사회
언 어
영아기
(~3개월)
-바빈스키반사 없음
-빨기 반사 있음
-의도적 잡기 반사 있음
-낯선사람 보면 움
(간호사,학생간호사,의사) -엄마가 안아주면 울음 그침
-새로운 장난감에
반응을 잘 보이지 않고 평소가지고 놀던 장난 감에 관심보임
-큰소리를 낼 수 있으며
옹알이를 함
-아! 다! 등 .. 한 음절을
말할 수 있음
성장발달
단계
성장발달의 평균 달성기준
신 체 적
정신사회
언 어
영아기
(~3개월)
-6개월간몸무게 150~210g/일주일
-키 2.5~3cm/한달, -머리둘레 1.3cm/한달씩 증가.
-소천문 닫힘
-원시반사 사라짐
-얼굴 빤히 쳐다봄. -낯선 것보다 친근한 것 좋아함.
-사회적 미소 나타남
-환경에 관심 보임
-부모가 들어오면
울음그침
-친숙한 사람이나 물건 알아봄
-배고프거나 아프면 움
-수유할 때 조용히 소리냄
-소리에 반응 함
-우는 것과 구별되는 소리 냄
-울음소리 분화
-말하는 소리에 주의 기울임
-자극 받으면 기분 좋은 소리냄
-옹알거리거나 끽끽거림
Ⅳ.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
1. 혈액검사
수치
정상치
CBC
WBC COUNT
15.66
4.0~10.8
RBC COUNT
3.67
4.0~5.4
Hemoglobin
10.8
14.0~18.0
Hct
32.4
40.0~50.0
MCV
88.5
80.0~98.0
MCH
29.6
27.0~33.0
MCHC
33.4
33.0~37.0
RDW
13.1
11.5~14.5
PDW(fL)
-
9.0~17.0
PDW(%)
35.6
25~65
MPV
8.5
7.4~10.4
Delta neutrophil 1
0.0
0~5
PLT Count
805
150.0~400.0
ESR(Infraed Ray, Spin)
10
0.0~20.0
2. 임상화학검사
수치
정상치
Routine
Chemistry
Calcium
10.3
8.6~10.8
Inorganic P
5.9
2.5~4.5
Glucose
128
70~110
BUN
7.5
5.0~25.0
Creatinine
<0.20
0.50~1.20
Uric Acid
2.7
2.5~7.5
Cholesterol
215
100~220
Total Protein
6.3
6.0~8.0
Albumin
4.4
3.8~5.4
Alk. Phos
428
60.0~300.0
AST(GOT)
236
13.0~34.0
ALT(GPT)
3.4
5.0~46.0
T. Bilirubin
8.5
0.2~1.2
Gamma-GT
186
12.0~54.0
Na
134
135.0~145.0
K
5.0
3.5~5.5
Cl
103
98~110
Ⅴ.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지방흡수 부전으로 인한 성장발달 지연
수술 스트레스와 관련된 돌봄제공자 역할 부담감
지식부족으로 인한 건강유지변화 위험성
자료분석
Subjective Data
“아이가 황달이 심하고 힘이 없어요”
“몸무게도 잘 늘지 않아요”
Objective Data
영아의 몸무게는 5kg로 성장곡선도표에 따르면 전체 아동의 하위 3%에 준하는 성장을 보임
영아의 두위는 36cm으로 한국 소아 두위 백분위 곡선에 따르면 3%에 준하는 성장을 보임
bilirubin 11.5mg/dL
Assessment
문제번호
간호진단
1
지방흡수부전으로 인한 성장발달 지연
간호목표
일주일 동안 아동의 몸무게가 0.2kg 증가한다.
Plan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보호자에게 MCT 분유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함
영아에게 MCT형태의 지방을 제공함
담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데, 담도폐색 환자는 담즙이 장으로 분비되지 않으므로 담즙이 없어도 소화가 가능한 MCT형태의 지방으로 영양공급을 함
자료분석
Subjective Data
“우리 OO이 같은 아이들이 많이 있나요”
“수술이 많이 어려운 수술이라죠?”
“아무일도 손에 잡히지 않아요”
Objective Data
첫 아이의 질병과 수술로 인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불안해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Assessment
문제번호
간호진단
2
수술 전 스트레스와 관련된 돌봄제공자 역할 부담감
간호목표
돌봄제공자가 수술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수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해야하는 일, 조절해야 될 일, 제한해야될 일 등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Plan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돌봄제공자에게 수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돌봄제공자와 면담을 하여 불안한 이유를 파악하고 대화를 나눔
지식부족은 불안을 야기함
유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였는지 알아봄
과거 유사한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을 도와주기 위해
Ⅵ. 결론
-병원에 한 주 실습을 하면서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아들의 여러 가지 케이스를 보고 간호실무와 지식을 배울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특히 아동은 성인과는 다르게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 성인보다 더 신경을 써야한다.
왜냐하면 신생아는 아직 미성숙하므로 세심한 관찰과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신생아는 물론 가족들까지 병원에서 여러 가지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이기에 많은 도움을 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간호중재와 더불어 친숙하고 적극적인 간호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Ⅶ. 참고문헌
- 김미예, 김수옥, 김태임(1999) 아동간호학 서울 : 현문사
- 이강이, 박정숙, 이영휘(2007) 건강사정 서울 : 현문사
3. 신체증상
체온: 38.0℃ 맥박: 142회/min
호흡: 32회/min 체중: 3.92kg
생후 2개월에 처음 황달 나타난 이후로 계속 황달 증세 보임.
회백색 대변 양상 보임.
yellowish 소변 양상 보임.
sono-abdominal 결과 enlarged hepatic artery 보임. spleen, urinary, bladder, pancreas 정상임.
몸무게 5kg로 3개월 영아 표준 몸무게인 6.6kg에 미치지 못함. 두위 37cm으로 표준 두위인 40.1cm에 미치지 못함. 체중증가 불량, 성장 부진 양상 보임.
환아가 몸을 긁는 등의 소양감은 없음
4.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성장발달
단계
대 상 아 동
신 체
정신사회
언 어
영아기
(~3개월)
-바빈스키반사 없음
-빨기 반사 있음
-의도적 잡기 반사 있음
-낯선사람 보면 움
(간호사,학생간호사,의사) -엄마가 안아주면 울음 그침
-새로운 장난감에
반응을 잘 보이지 않고 평소가지고 놀던 장난 감에 관심보임
-큰소리를 낼 수 있으며
옹알이를 함
-아! 다! 등 .. 한 음절을
말할 수 있음
성장발달
단계
성장발달의 평균 달성기준
신 체 적
정신사회
언 어
영아기
(~3개월)
-6개월간몸무게 150~210g/일주일
-키 2.5~3cm/한달, -머리둘레 1.3cm/한달씩 증가.
-소천문 닫힘
-원시반사 사라짐
-얼굴 빤히 쳐다봄. -낯선 것보다 친근한 것 좋아함.
-사회적 미소 나타남
-환경에 관심 보임
-부모가 들어오면
울음그침
-친숙한 사람이나 물건 알아봄
-배고프거나 아프면 움
-수유할 때 조용히 소리냄
-소리에 반응 함
-우는 것과 구별되는 소리 냄
-울음소리 분화
-말하는 소리에 주의 기울임
-자극 받으면 기분 좋은 소리냄
-옹알거리거나 끽끽거림
Ⅳ.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
1. 혈액검사
수치
정상치
CBC
WBC COUNT
15.66
4.0~10.8
RBC COUNT
3.67
4.0~5.4
Hemoglobin
10.8
14.0~18.0
Hct
32.4
40.0~50.0
MCV
88.5
80.0~98.0
MCH
29.6
27.0~33.0
MCHC
33.4
33.0~37.0
RDW
13.1
11.5~14.5
PDW(fL)
-
9.0~17.0
PDW(%)
35.6
25~65
MPV
8.5
7.4~10.4
Delta neutrophil 1
0.0
0~5
PLT Count
805
150.0~400.0
ESR(Infraed Ray, Spin)
10
0.0~20.0
2. 임상화학검사
수치
정상치
Routine
Chemistry
Calcium
10.3
8.6~10.8
Inorganic P
5.9
2.5~4.5
Glucose
128
70~110
BUN
7.5
5.0~25.0
Creatinine
<0.20
0.50~1.20
Uric Acid
2.7
2.5~7.5
Cholesterol
215
100~220
Total Protein
6.3
6.0~8.0
Albumin
4.4
3.8~5.4
Alk. Phos
428
60.0~300.0
AST(GOT)
236
13.0~34.0
ALT(GPT)
3.4
5.0~46.0
T. Bilirubin
8.5
0.2~1.2
Gamma-GT
186
12.0~54.0
Na
134
135.0~145.0
K
5.0
3.5~5.5
Cl
103
98~110
Ⅴ.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지방흡수 부전으로 인한 성장발달 지연
수술 스트레스와 관련된 돌봄제공자 역할 부담감
지식부족으로 인한 건강유지변화 위험성
자료분석
Subjective Data
“아이가 황달이 심하고 힘이 없어요”
“몸무게도 잘 늘지 않아요”
Objective Data
영아의 몸무게는 5kg로 성장곡선도표에 따르면 전체 아동의 하위 3%에 준하는 성장을 보임
영아의 두위는 36cm으로 한국 소아 두위 백분위 곡선에 따르면 3%에 준하는 성장을 보임
bilirubin 11.5mg/dL
Assessment
문제번호
간호진단
1
지방흡수부전으로 인한 성장발달 지연
간호목표
일주일 동안 아동의 몸무게가 0.2kg 증가한다.
Plan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보호자에게 MCT 분유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함
영아에게 MCT형태의 지방을 제공함
담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데, 담도폐색 환자는 담즙이 장으로 분비되지 않으므로 담즙이 없어도 소화가 가능한 MCT형태의 지방으로 영양공급을 함
자료분석
Subjective Data
“우리 OO이 같은 아이들이 많이 있나요”
“수술이 많이 어려운 수술이라죠?”
“아무일도 손에 잡히지 않아요”
Objective Data
첫 아이의 질병과 수술로 인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불안해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Assessment
문제번호
간호진단
2
수술 전 스트레스와 관련된 돌봄제공자 역할 부담감
간호목표
돌봄제공자가 수술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수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해야하는 일, 조절해야 될 일, 제한해야될 일 등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Plan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돌봄제공자에게 수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돌봄제공자와 면담을 하여 불안한 이유를 파악하고 대화를 나눔
지식부족은 불안을 야기함
유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였는지 알아봄
과거 유사한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을 도와주기 위해
Ⅵ. 결론
-병원에 한 주 실습을 하면서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아들의 여러 가지 케이스를 보고 간호실무와 지식을 배울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특히 아동은 성인과는 다르게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 성인보다 더 신경을 써야한다.
왜냐하면 신생아는 아직 미성숙하므로 세심한 관찰과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신생아는 물론 가족들까지 병원에서 여러 가지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이기에 많은 도움을 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간호중재와 더불어 친숙하고 적극적인 간호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Ⅶ. 참고문헌
- 김미예, 김수옥, 김태임(1999) 아동간호학 서울 : 현문사
- 이강이, 박정숙, 이영휘(2007) 건강사정 서울 :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