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놉시스 (synopsis)
2. 스토리 구성에서의 상징적 의미 (Symbolic Meaning) 읽기
3. 영화 속에 그려지는 신화(theology)읽기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아버지와 산다면」의 특징
2. 스토리 구성에서의 상징적 의미 (Symbolic Meaning) 읽기
3. 영화 속에 그려지는 신화(theology)읽기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아버지와 산다면」의 특징
본문내용
3)사건의 전환 단계 아버지가 키노시타와 연결시켜주려고 함
(4)갈등과 싸움의 단계 아픔을 잊고 새로운 삶을 살아달라고 키노시타를 개입시킴
(5)회복단계 아버지가 미츠에에게 자신은 죽었지만 행복하게 살아달라고 함
아버지와 딸의 이항적 대립
원폭으로 가슴아파하고 계속 그 아픔을 품고 살아갈려는 딸 /
그 사건을 잊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찾으라고 말하는 아버지/
아이들에게 전래동화를 들려줌으로서 지금의 상황을 잠시나마 잊어버리게 하 고 싶은 딸 /
전래동화의 내용을 바꾸어 지금 상황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 하는 아버지/
3. 영화 속에 그려지는 신화(theology)읽기
역사적 이데올로기(ideologie)가 잘 나타나 있는가?
○ 키노시타가 원폭 자료를 찾으려 도서관을 찾는 장면.
▷그 해 8월은 이야기도 없고, 그림이 될 만한 것도 없고, 시도 소설도 없고 학문이 될 만한 것도 없어요. 한 순간의 모든 것이 사라지고 말았어요. 그런 이유로 자료는 거의 없어요. 뿐만 아니라 자료가 남아있더라도 처분해 버리고 싶을 정도예요.
에서 일본은 역사적 약점을 은폐하려는 점이 읽혀지는가?
○ 키노시타가 수집한 원폭 자료들에 대한 하숙 아줌마들의 태도로 보여 지는 일본인의 입장.
▷기분 나쁘게 그런 걸 왜 들고 들어오느냐...곧 바닥이 꺼져버릴지도 모르니 하숙비를 올려야겠어요.라느니 원폭기와를 석유상자에 넣어서 가 지고 들어가는 날은 가관이었대요. 밥은 물론이고, 국에 건더기도 눈곱만큼 넣어주더래요.
이 대사에서 가슴 아픈 원자폭탄의 사건을 잊고 싶어 하는 일본인의 입장이 잘 나타나는가?
○ 키노시타의 대사
▷당신의 피폭 체험을 애들에게 전해주기 위해서라도 제 원폭 자료들을 이용 해서 좋은 이야기 거리를 만들 순 없을까요?
키노시타를 통해 원자 폭탄 사건을 기억하기 꺼려하는 일본인의 태도에서 후 대에도 이 사건을 전달하고 자하는 태도가 보이는가?
·원폭을 소재로 일본인의 어떠한 관점에서 영화를 읽을 수 있는가?
○ 아버지인 타케조의 대사
▷ “인간이 같은 인간의 머리 위에 두 개의 태양(원자폭탄)을 떨어뜨리는 짓을 하다니..!”
에서 영화는 당시 사건을 피해자의 입장에서 읽혀지고 있지 않은가?
○ 주인공 미츠에의 피폭자로써의 태도
▷ 원폭투하당시의 피폭자로 천둥과 번개에 엄청난 공포감을 가지게 되었고 원 폭희생자들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행복과 사랑을 거부함은 피해자적인 입장 에서 읽혀지고 있지 않은가?
○원폭 이후 경험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아버지와 딸의 끊임없는 대화
▷ 원폭이 남긴 외형적인 파괴뿐만 아니라 붕괴된 도덕과 인간의 정신을 그려내 고 있지 않은가?
○ 영화는 원폭투하를 초래한 이유에 대한 암시와 의미부여에 대해 무시하고 피해 자적인 입장을 명백히 선언하고 있진 않은가?
·아버지와 딸 사이의 이중적 심리구조가 읽혀지는가?
○ 아버지 태도
▷ 희극을 영화화 시켜 연극무대와 같은 세트를 살리고, 독백형식의 하라다 요 시오의 대사와 연기는 원폭 투하 당시의 상황 전달과 딸의 마음을 치유하고 희망을 주려는 태도가 드러나는가?
“바람이 네 이야기를 여기저기로 흩여줄꺼야. 지나간 너의 이야기는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 무지개가 되는 거야”
▷ 미츠에의 편지를 보내라고 하는 아버지/청년 키노시타에 대한 딸의 연정을 알고 나타나 혼자 남아 자책 속에 살아가는 딸의 마음을 열려고 노력하는 딸 에 대한 아버지의 마음이 느껴지는가?
○ 딸 미츠에의 태도
▷ 키노시타에 대한 호감을 느끼면서도 스스로 부정하고 살아남은 자로써의 죄 책감으로 둘러싸인 딸의 태도와 아버지의 태도의 대립이 그려지는가?
▷ “저보다 행복해야 할 사람이 수없이 많았어요. 그런 사람들을 따돌리고 내가 행복해 질 순 없어요”
친구 후쿠무라 아키코의 이야기를 통해 미츠에의 부정적인감정을 느낄 수 있 는가?
·마지막 장면에서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의 전달이 읽혀지는가?
○ 영화 속 무대로 등장한 집은 당시 히로시마를 나타내고 폐허속의 꽃에서 원폭으 로 고통 받고 있지만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딸 미츠에로 축약하여 히로시마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있지는 않은가?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아버지와 산다면」의 특징
○ 원폭투하에 따른 일본인들의 피해의식과 그런 일이 없어야 한다는 환경적 인류 애적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의도.
○ 살아간다는 것, 존재한다는 것이 얼마나 가치가 있으며 그를 유지시키고 전승해 나간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아버지와 딸의 대화를 통하여 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려는 의도.
(4)갈등과 싸움의 단계 아픔을 잊고 새로운 삶을 살아달라고 키노시타를 개입시킴
(5)회복단계 아버지가 미츠에에게 자신은 죽었지만 행복하게 살아달라고 함
아버지와 딸의 이항적 대립
원폭으로 가슴아파하고 계속 그 아픔을 품고 살아갈려는 딸 /
그 사건을 잊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찾으라고 말하는 아버지/
아이들에게 전래동화를 들려줌으로서 지금의 상황을 잠시나마 잊어버리게 하 고 싶은 딸 /
전래동화의 내용을 바꾸어 지금 상황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 하는 아버지/
3. 영화 속에 그려지는 신화(theology)읽기
역사적 이데올로기(ideologie)가 잘 나타나 있는가?
○ 키노시타가 원폭 자료를 찾으려 도서관을 찾는 장면.
▷그 해 8월은 이야기도 없고, 그림이 될 만한 것도 없고, 시도 소설도 없고 학문이 될 만한 것도 없어요. 한 순간의 모든 것이 사라지고 말았어요. 그런 이유로 자료는 거의 없어요. 뿐만 아니라 자료가 남아있더라도 처분해 버리고 싶을 정도예요.
에서 일본은 역사적 약점을 은폐하려는 점이 읽혀지는가?
○ 키노시타가 수집한 원폭 자료들에 대한 하숙 아줌마들의 태도로 보여 지는 일본인의 입장.
▷기분 나쁘게 그런 걸 왜 들고 들어오느냐...곧 바닥이 꺼져버릴지도 모르니 하숙비를 올려야겠어요.라느니 원폭기와를 석유상자에 넣어서 가 지고 들어가는 날은 가관이었대요. 밥은 물론이고, 국에 건더기도 눈곱만큼 넣어주더래요.
이 대사에서 가슴 아픈 원자폭탄의 사건을 잊고 싶어 하는 일본인의 입장이 잘 나타나는가?
○ 키노시타의 대사
▷당신의 피폭 체험을 애들에게 전해주기 위해서라도 제 원폭 자료들을 이용 해서 좋은 이야기 거리를 만들 순 없을까요?
키노시타를 통해 원자 폭탄 사건을 기억하기 꺼려하는 일본인의 태도에서 후 대에도 이 사건을 전달하고 자하는 태도가 보이는가?
·원폭을 소재로 일본인의 어떠한 관점에서 영화를 읽을 수 있는가?
○ 아버지인 타케조의 대사
▷ “인간이 같은 인간의 머리 위에 두 개의 태양(원자폭탄)을 떨어뜨리는 짓을 하다니..!”
에서 영화는 당시 사건을 피해자의 입장에서 읽혀지고 있지 않은가?
○ 주인공 미츠에의 피폭자로써의 태도
▷ 원폭투하당시의 피폭자로 천둥과 번개에 엄청난 공포감을 가지게 되었고 원 폭희생자들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행복과 사랑을 거부함은 피해자적인 입장 에서 읽혀지고 있지 않은가?
○원폭 이후 경험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아버지와 딸의 끊임없는 대화
▷ 원폭이 남긴 외형적인 파괴뿐만 아니라 붕괴된 도덕과 인간의 정신을 그려내 고 있지 않은가?
○ 영화는 원폭투하를 초래한 이유에 대한 암시와 의미부여에 대해 무시하고 피해 자적인 입장을 명백히 선언하고 있진 않은가?
·아버지와 딸 사이의 이중적 심리구조가 읽혀지는가?
○ 아버지 태도
▷ 희극을 영화화 시켜 연극무대와 같은 세트를 살리고, 독백형식의 하라다 요 시오의 대사와 연기는 원폭 투하 당시의 상황 전달과 딸의 마음을 치유하고 희망을 주려는 태도가 드러나는가?
“바람이 네 이야기를 여기저기로 흩여줄꺼야. 지나간 너의 이야기는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 무지개가 되는 거야”
▷ 미츠에의 편지를 보내라고 하는 아버지/청년 키노시타에 대한 딸의 연정을 알고 나타나 혼자 남아 자책 속에 살아가는 딸의 마음을 열려고 노력하는 딸 에 대한 아버지의 마음이 느껴지는가?
○ 딸 미츠에의 태도
▷ 키노시타에 대한 호감을 느끼면서도 스스로 부정하고 살아남은 자로써의 죄 책감으로 둘러싸인 딸의 태도와 아버지의 태도의 대립이 그려지는가?
▷ “저보다 행복해야 할 사람이 수없이 많았어요. 그런 사람들을 따돌리고 내가 행복해 질 순 없어요”
친구 후쿠무라 아키코의 이야기를 통해 미츠에의 부정적인감정을 느낄 수 있 는가?
·마지막 장면에서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의 전달이 읽혀지는가?
○ 영화 속 무대로 등장한 집은 당시 히로시마를 나타내고 폐허속의 꽃에서 원폭으 로 고통 받고 있지만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딸 미츠에로 축약하여 히로시마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있지는 않은가?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아버지와 산다면」의 특징
○ 원폭투하에 따른 일본인들의 피해의식과 그런 일이 없어야 한다는 환경적 인류 애적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의도.
○ 살아간다는 것, 존재한다는 것이 얼마나 가치가 있으며 그를 유지시키고 전승해 나간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아버지와 딸의 대화를 통하여 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려는 의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