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쾌도난마 한국경제' 감상문
본문내용
아니다. 모든 산업의 기초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물리학, 화학 등등의 관련 연구도 사라지게 될 것이고 어떤 산업에 필요한 기술을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기 위해 너무나 많은 로열티를 지불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말로만 하는 이공계 살리기 운동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의 기초학문에 대한 연구를 중요시하여야 할 것이고 공학도들이 경제적으로 넉넉해질 수 있는 산업분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장하준 교수와 정승일 교수의 한국경제에 대한 고뇌와 근심을 느낄 수 있었는데 이는 경제학도가 아닌 일반 사람들에게도 크나큰 관심사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라면 여러 수식으로 머리가 복잡해 터질 것만 같았던 내게, 밑그림을 그리는데 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머리를 끄덕거리기도 하고, 실망스러운 정부 정책에 혀를 끌끌 차기도 했다. 더욱이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위한 계획을 세운다는 것도 나로 하여금 관심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이 제안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도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위해 모든 국민들, 정부의 차원, 기업가에서 끊임없는 노력해야 할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장하준 교수와 정승일 교수의 한국경제에 대한 고뇌와 근심을 느낄 수 있었는데 이는 경제학도가 아닌 일반 사람들에게도 크나큰 관심사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라면 여러 수식으로 머리가 복잡해 터질 것만 같았던 내게, 밑그림을 그리는데 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머리를 끄덕거리기도 하고, 실망스러운 정부 정책에 혀를 끌끌 차기도 했다. 더욱이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위한 계획을 세운다는 것도 나로 하여금 관심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이 제안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도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위해 모든 국민들, 정부의 차원, 기업가에서 끊임없는 노력해야 할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