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는 어떻게 노무현과 링컨을 비교할 수 있는가?
배워야 할 리더십
1.자신을 헌신할 줄 알아야 한다.
2. 문제에 대해 신중한 선택과 결단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3. 권위적이 모습 보다는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따뜻함과 겸손함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4. 주위에 있는 인사를 효율적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5. 아랫사람에게 끝없는 신뢰 주어야 한다.
참고 문헌
배워야 할 리더십
1.자신을 헌신할 줄 알아야 한다.
2. 문제에 대해 신중한 선택과 결단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3. 권위적이 모습 보다는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따뜻함과 겸손함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4. 주위에 있는 인사를 효율적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5. 아랫사람에게 끝없는 신뢰 주어야 한다.
참고 문헌
본문내용
맡길 때에도 그랬으며 자신의 수모를 감수 하면서 까지 스탠턴을 국방 장관에 임명하였을 때에도 그랬다. 그리고 그런 신뢰로 인해 일의 결과는 대부분 좋았다. 스탠턴 장관은 많은 승리를 가져다주었으며 스탠턴이나 수어드 장관은 일을 확실하게 잘 처리 해 나갔다. 노무현 대통령도 마찬가지로 신뢰하면 신뢰를 받는다, 사람에 대한 신뢰는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해양 수산부 장관으로 있을 때 직접 직원들에게 일을 맡기고 신뢰로서 일을 수행하여 직원들의 일 능률도 높이고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경험이 있다고 말한다. 또, 얼마 전 노무현 대통령이 강금실 법무부 장관을 대신해 검사들로부터 변호하여준 일은 이를 잘 보여 준다. 요즘 행정 자치부 법무부 그리고 문화관광부등 장관의 자격 문제를 놓고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렇게 힘든 일을 겪고 있는 장관들에게 노무현 대통령도 이 같은 신뢰를 준다면 장관들도 이에 부응하여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 된다.
대부분의 우리는 어떤 것이 좋은 리더십인가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도 ‘노무현의 리더십이야기’ 란 책을 통해 그가 생각 하는 리더십을 말하였다. 그러나 이런 리더십의 이론들은 실천이 어려운 것 이지 말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생각한다. 노무현 정권이 출범한지 이제 50여일이 지났다. 아직도 노무현 대통령의 뚜렷한 리더십을 모든 것을 보지 못하였다. 아직 지켜보아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지만 지금 노무현 대통령은 개혁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와 장관들에 대한 논란 등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국회의원의 대부분이 한나라당 출신인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 세력은 그리 크지 못하다. 링컨 대통령 역시 대통령 취임 당시 확고한 세력 기반이 없는 소수파 대통령 이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많은 난관을 잘 헤쳐 나가 성공한 대통령으로 남았다. 노무현 대통령도 그처럼 좀 더 자신 주위의 사람들을 아끼고, 신뢰하고, 결단력 있고 또 때로는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겸손함을 가진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또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고 시대에 맞는 지도자로 거듭나 지금 그가 하고 있는 개혁을 성공 시켜 성공한 지도자로 되었으면 한다. 미국에는 링컨 대통령의 기념관이 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그를 훌륭한 지도자중 한명으로서 평을 한다고 한다. 이번 노무현 대통령도 훌륭하고 또 사람들이 좋아하는 대통령으로 남아 우리나라에도 ‘노무현 대통령 기념관’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 문헌
‘노무현의 리더십이야기‘ 노무현, 행복한 책읽기 2002
‘노무현이 만난 링컨‘ 노무현, 학고재 2001
‘링컨‘ 데이비드 허버트 도날드, 살림 펴냄 2003
‘상식 혹은 희망’ 노무현외, 행복한 책읽기 2002
‘패자 부활전 희망의 다른 이름’ 황주홍,황필홍 풀빛 2002
‘성공을 위한 9가지 습관’ 아나 야스오 메일 출판 2001
참고 사이트
www.nosamo.org
www.president.go.kr
www.mbc.co.kr
www.sbs.co.kr
www.joins.com
www.donga.com
대부분의 우리는 어떤 것이 좋은 리더십인가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도 ‘노무현의 리더십이야기’ 란 책을 통해 그가 생각 하는 리더십을 말하였다. 그러나 이런 리더십의 이론들은 실천이 어려운 것 이지 말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생각한다. 노무현 정권이 출범한지 이제 50여일이 지났다. 아직도 노무현 대통령의 뚜렷한 리더십을 모든 것을 보지 못하였다. 아직 지켜보아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지만 지금 노무현 대통령은 개혁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와 장관들에 대한 논란 등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국회의원의 대부분이 한나라당 출신인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 세력은 그리 크지 못하다. 링컨 대통령 역시 대통령 취임 당시 확고한 세력 기반이 없는 소수파 대통령 이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많은 난관을 잘 헤쳐 나가 성공한 대통령으로 남았다. 노무현 대통령도 그처럼 좀 더 자신 주위의 사람들을 아끼고, 신뢰하고, 결단력 있고 또 때로는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겸손함을 가진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또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고 시대에 맞는 지도자로 거듭나 지금 그가 하고 있는 개혁을 성공 시켜 성공한 지도자로 되었으면 한다. 미국에는 링컨 대통령의 기념관이 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그를 훌륭한 지도자중 한명으로서 평을 한다고 한다. 이번 노무현 대통령도 훌륭하고 또 사람들이 좋아하는 대통령으로 남아 우리나라에도 ‘노무현 대통령 기념관’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 문헌
‘노무현의 리더십이야기‘ 노무현, 행복한 책읽기 2002
‘노무현이 만난 링컨‘ 노무현, 학고재 2001
‘링컨‘ 데이비드 허버트 도날드, 살림 펴냄 2003
‘상식 혹은 희망’ 노무현외, 행복한 책읽기 2002
‘패자 부활전 희망의 다른 이름’ 황주홍,황필홍 풀빛 2002
‘성공을 위한 9가지 습관’ 아나 야스오 메일 출판 2001
참고 사이트
www.nosamo.org
www.president.go.kr
www.mbc.co.kr
www.sbs.co.kr
www.joins.com
www.donga.com
추천자료
[대통령제]대통령제(대통령중심제, 대통령책임제)의 개념, 역대 대통령제(대통령중심제, 대통...
대선보도(대통령선거보도)의 원칙, 대선보도(대통령선거보도)의 실태와 문제점, 잘못된 대선...
[대통령권한, 대통령권한 의미, 대통령권한 의의, 대통령권한과 국군해외파견권, 대통령권한...
[대통령비서실, 대통령비서실 조직, 대통령비서실 제도, 대통령비서실 기능, 대통령비서실 복...
[대통령, 대통령 권력, 대통령 선전포고권, 대통령 강화권, 대통령 통수권, 대통령 조약체결...
[우드로 윌슨]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연혁,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기본이념, 미국 ...
블라디미르 레닌(니콜라이 레닌) 러시아(구소련) 대통령, 이오시프 스탈린 러시아(구소련) 대...
[이승만 대통령, 독립정신, 당선, 지도능력, 기본정책]이승만 대통령의 특성, 이승만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루스벨트) 대통령의 기본이념, 소련인식, 프랭클린 루즈벨트(루스벨트) 대...
[한국대통령]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의 의미, 정부요소, 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의 ...
프랭클린 루스벨트(루즈벨트) 대통령의 취임, 경제민주주의, 프랭클린 루스벨트(루즈벨트) 대...
[대통령][언론][국가개입][헌법][자본영향][소송분쟁][정치수사]대통령과 언론의 국가개입, ...
[이승만 대통령][이승만][대통령][이기붕][김구][장면]이승만 대통령의 성격, 이승만 대통령...
[대통령][대통령 헌법상 지위][대통령 통치이념][대통령 권력행사][국가안전보장회의]대통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