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글
Ⅱ. 본문
1. 드메 신드롬
2. 너는 펫
3. 일본만화
(1) 초등학생과 여고생 연상연하커플
(2) 판타지만화에서의 연상연하커플
(3)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커플
4. 한국만화
(1) 잿빛도시 숲 속을 거닐다
(2) 리얼 퍼플
(3) 불면증
Ⅲ. 맺음말
Ⅱ. 본문
1. 드메 신드롬
2. 너는 펫
3. 일본만화
(1) 초등학생과 여고생 연상연하커플
(2) 판타지만화에서의 연상연하커플
(3)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커플
4. 한국만화
(1) 잿빛도시 숲 속을 거닐다
(2) 리얼 퍼플
(3) 불면증
Ⅲ. 맺음말
본문내용
이에게 인기가 많은 잘생긴 문제아
― 줄거리
카야노는 줄곧 좋아한 농구부 남학생 카미조에게 회심의 러브레터를 건네지만 엉뚱하게도 타케루에게 줘버려서 약점을 잡히고 만다. 악마같이 못된 타케루에게 휘둘리는 동안 카미조가 아닌 타케루를 좋아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님의 재혼으로 남남이었던 그들은 남매가 되버리고 만다. 이에 굴하지 않고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 버린다. 그러던 중 타케루의 친어머니가 타케루에게 함께 이탈리아로 가자고 권하고, 어머니를 싫어하지만 어머니의 사랑을 받고 싶은 타케루는 카야노를 남겨둔 채 이탈리아로 떠난다. 돌아온 타케루와 카야노는 결혼을 하면서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오토포커스>
― 작가: 록뽄기 아야
― 주인공
미와: 내성적인 성격이며 사진을 좋아하는 여고생.
리쿠: 사진에 박식하며 까칠한 성격을 가진 소년.
★ 줄거리
―줄거리
미와는 어머니의 재혼으로 사진가 아버지가 생기고 동생 리쿠가 생긴다. 미와는 와타루와 사귀는 사이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리쿠와 함께 있으면 왠지 모르게 불편하다. 결국 미와와 리쿠는 좋아하게 된다.
4. 한국만화
(1) 잿빛도시숲속을 거닐다
― 작가: 엄정현
― 주인공
장연욱(26살) : 일러스트 작가. 꽤 솔직하나 미련한 구석이 있는 귀엽고 평범한 스타일.
이범무(19살) : 학교를 그만 두고 아르바이트하는 학생. 재혼한 부모가 교통사고로 죽어 이복누나가 있음.
― 줄거리
프리랜서로 살고 있는 장연욱은 밀린 카드 값을 갚기 위해 방을 세놓는다. 같이 살게 된 사람은 학교를 그만두고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미성년자 이범무다. 어딘지 차갑고 베일에 쌓인 범무와 연욱은 티격태격하며 기묘한 동거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어느날, 범무는 난데없이 연욱에게 묻는다. "좋아해도 돼요?" 연욱은 범무를 피하지만 부모님의 재혼으로 인해 생긴 누나가 연무를 찾아오게 되고 둘은 다시 예전처럼 돌아간다. 둘이 외출을 하던 날 연욱의 전 남자친구를 보게 되고 연무를 연욱의 연애에 참견을 한다. 이에 화가 난 연욱은 연무에게 집을 나가달라고 말하고 결국 연무는 연욱의 집을 나와 이혼한 누나와 같이 살게 된다. 떨어져 있던 두 사람은 서로를 그리워하게 되고 연욱이 연무를 보았던 육교위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현실을 잘 반영한 연상연하커플 만화로 알려져 있다. 여자는 어느 정도 능력이 있고 나이가 있어 철없는 캐릭터로 나오지 않는다. 특이한 에피소드로 가지 않고 평범한 줄거리로 엮어가며 나이 많은 누나가 어린 연하와 사랑에 빠질 때 고민할 수 있는 것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현실을 잘 반영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여자주인공이 돈이 없어 남자주인공에게 방을 세준다는 점은 우리나라 현실과는 조금 거리가 멀지만 프랑스 현실과는 조금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프랑스 사회가 경제가 어려워 여대생들이 남자 집으로 들어가 동거를 한다고 한다. 프랑스 사회를 뒤바꾸어 집은 있으나 돈이 없는 여자 집에 남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2) 리얼퍼플
― 작가: 박소희
― 주인공
희원
인혁
― 줄거리
이혼한 엄마가 재혼을 하면서 희원은 비록 피는 한 방울도 섞이지 않았지만 동생 인혁이 생긴다. 희원은 인혁을 사랑하게 된다. 잊어야 한다면서 매일 부딪치는 상황 속에 희원은 사랑하고 또 사랑해서 그 사랑이 닳아 없어질 날을 기다린다.
(3) 불면증
― 작가: 박은아
― 주인공
희진
영호
― 줄거리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버지와 단 둘이 살던 희진은 아버지의 재혼으로 동갑의 남동생이 생긴다. 전부터 아는 사이라 어색하지 않게 지냈지만 둘은 사랑에 빠지고 만다. 이를 희진의 새엄마가 눈치채고 희진을 내쫓으려 하지만 실패하게 되어 임신을 핑계로 영호를 데리고 친정으로 간다. 외 할머니댁에 있는 영호는 사촌동생이 물에 빠지자 구하려다가 영호가 죽게 된다.
성인이 된 희진은 바닷가에 가서 예전에 영호가 말한 유리돌을 발견하게 된다. 영호가 갑자기 희진에 눈 앞에 나타났다 사라지고, 희진은 영호가 죽었을 때도 흘리지 않았던 눈물을 흘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희진은 영호를 잊지 못하고 살아가게 된다.
엄연히 따지면 이 만화는 연상연하 커플 만화는 아니다. 누나와 동생 관계는 맞지만 동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누나와 동생 관계에만 착안하여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커플을 그린 만화로 보려고 한다. 재혼가정을 그린 일본 만화는 해피엔딩으로 유쾌하게 그려냈다면 이 만화는 우리 나라 현실을 반영하고 무겁게 다가간다. 새로운 가정에서 남녀간의 사랑을 고민하고 부모는 그 사랑을 반대하는 점에서 현실을 잘 드러냈다. 다르긴 하지만 드라마 가을동화를 연상케 하는 작품이다.
Ⅲ. 맺음말
만화에서 보이는 연상연하커플은 사회진출과 경제력으로 인해 생기는 현실에서의 드메 신드롬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미 드메 신드롬이 일어나기 전에 만화에서는 금단, 누나에 대한 로망, 여성의 의존, 모성본능에 초점을 맞추어 다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만화에서의 주된 연상연하커플은 여고생과 초등학생 커플,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 커플 이었다. 이러한 커플들은 현실감이 많이 떨어지고 계속된 순정만화 캐릭터와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소재가 독특하고 이야기를 유쾌하게 전개해 나가 흥미를 유발한다.
한국만화에서는 아직 연상연하커플을 많이 다루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전통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아직 연상연하 커플이 보편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보다 만화라는 장르가 우리 나라에서 탄탄하게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를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만화에서 연상연하 커플을 다루고 있다고 탄탄한 구성력을 가지지 못하고 현실감을 너무 드러내어 무겁게 나가는 부분이 보인다.
요즘 드라마, 영화 등에서 연상연하 커플을 많이 다루고 가요에서도 ‘누나’를 외치고 있다. 이제 연상연하 커플은 우리에게 낯선 존재가 아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만화에서는 연상연하 커플을 소재로 많이 다룰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연상연하커플을 소재로 하는 만화가 늘어날 것이며 일본에서는 더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현재의 '드메 신드롬'을 반영하는 만화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 줄거리
카야노는 줄곧 좋아한 농구부 남학생 카미조에게 회심의 러브레터를 건네지만 엉뚱하게도 타케루에게 줘버려서 약점을 잡히고 만다. 악마같이 못된 타케루에게 휘둘리는 동안 카미조가 아닌 타케루를 좋아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님의 재혼으로 남남이었던 그들은 남매가 되버리고 만다. 이에 굴하지 않고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 버린다. 그러던 중 타케루의 친어머니가 타케루에게 함께 이탈리아로 가자고 권하고, 어머니를 싫어하지만 어머니의 사랑을 받고 싶은 타케루는 카야노를 남겨둔 채 이탈리아로 떠난다. 돌아온 타케루와 카야노는 결혼을 하면서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오토포커스>
― 작가: 록뽄기 아야
― 주인공
미와: 내성적인 성격이며 사진을 좋아하는 여고생.
리쿠: 사진에 박식하며 까칠한 성격을 가진 소년.
★ 줄거리
―줄거리
미와는 어머니의 재혼으로 사진가 아버지가 생기고 동생 리쿠가 생긴다. 미와는 와타루와 사귀는 사이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리쿠와 함께 있으면 왠지 모르게 불편하다. 결국 미와와 리쿠는 좋아하게 된다.
4. 한국만화
(1) 잿빛도시숲속을 거닐다
― 작가: 엄정현
― 주인공
장연욱(26살) : 일러스트 작가. 꽤 솔직하나 미련한 구석이 있는 귀엽고 평범한 스타일.
이범무(19살) : 학교를 그만 두고 아르바이트하는 학생. 재혼한 부모가 교통사고로 죽어 이복누나가 있음.
― 줄거리
프리랜서로 살고 있는 장연욱은 밀린 카드 값을 갚기 위해 방을 세놓는다. 같이 살게 된 사람은 학교를 그만두고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미성년자 이범무다. 어딘지 차갑고 베일에 쌓인 범무와 연욱은 티격태격하며 기묘한 동거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어느날, 범무는 난데없이 연욱에게 묻는다. "좋아해도 돼요?" 연욱은 범무를 피하지만 부모님의 재혼으로 인해 생긴 누나가 연무를 찾아오게 되고 둘은 다시 예전처럼 돌아간다. 둘이 외출을 하던 날 연욱의 전 남자친구를 보게 되고 연무를 연욱의 연애에 참견을 한다. 이에 화가 난 연욱은 연무에게 집을 나가달라고 말하고 결국 연무는 연욱의 집을 나와 이혼한 누나와 같이 살게 된다. 떨어져 있던 두 사람은 서로를 그리워하게 되고 연욱이 연무를 보았던 육교위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현실을 잘 반영한 연상연하커플 만화로 알려져 있다. 여자는 어느 정도 능력이 있고 나이가 있어 철없는 캐릭터로 나오지 않는다. 특이한 에피소드로 가지 않고 평범한 줄거리로 엮어가며 나이 많은 누나가 어린 연하와 사랑에 빠질 때 고민할 수 있는 것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현실을 잘 반영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여자주인공이 돈이 없어 남자주인공에게 방을 세준다는 점은 우리나라 현실과는 조금 거리가 멀지만 프랑스 현실과는 조금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프랑스 사회가 경제가 어려워 여대생들이 남자 집으로 들어가 동거를 한다고 한다. 프랑스 사회를 뒤바꾸어 집은 있으나 돈이 없는 여자 집에 남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2) 리얼퍼플
― 작가: 박소희
― 주인공
희원
인혁
― 줄거리
이혼한 엄마가 재혼을 하면서 희원은 비록 피는 한 방울도 섞이지 않았지만 동생 인혁이 생긴다. 희원은 인혁을 사랑하게 된다. 잊어야 한다면서 매일 부딪치는 상황 속에 희원은 사랑하고 또 사랑해서 그 사랑이 닳아 없어질 날을 기다린다.
(3) 불면증
― 작가: 박은아
― 주인공
희진
영호
― 줄거리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버지와 단 둘이 살던 희진은 아버지의 재혼으로 동갑의 남동생이 생긴다. 전부터 아는 사이라 어색하지 않게 지냈지만 둘은 사랑에 빠지고 만다. 이를 희진의 새엄마가 눈치채고 희진을 내쫓으려 하지만 실패하게 되어 임신을 핑계로 영호를 데리고 친정으로 간다. 외 할머니댁에 있는 영호는 사촌동생이 물에 빠지자 구하려다가 영호가 죽게 된다.
성인이 된 희진은 바닷가에 가서 예전에 영호가 말한 유리돌을 발견하게 된다. 영호가 갑자기 희진에 눈 앞에 나타났다 사라지고, 희진은 영호가 죽었을 때도 흘리지 않았던 눈물을 흘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희진은 영호를 잊지 못하고 살아가게 된다.
엄연히 따지면 이 만화는 연상연하 커플 만화는 아니다. 누나와 동생 관계는 맞지만 동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누나와 동생 관계에만 착안하여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커플을 그린 만화로 보려고 한다. 재혼가정을 그린 일본 만화는 해피엔딩으로 유쾌하게 그려냈다면 이 만화는 우리 나라 현실을 반영하고 무겁게 다가간다. 새로운 가정에서 남녀간의 사랑을 고민하고 부모는 그 사랑을 반대하는 점에서 현실을 잘 드러냈다. 다르긴 하지만 드라마 가을동화를 연상케 하는 작품이다.
Ⅲ. 맺음말
만화에서 보이는 연상연하커플은 사회진출과 경제력으로 인해 생기는 현실에서의 드메 신드롬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미 드메 신드롬이 일어나기 전에 만화에서는 금단, 누나에 대한 로망, 여성의 의존, 모성본능에 초점을 맞추어 다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만화에서의 주된 연상연하커플은 여고생과 초등학생 커플, 재혼가정에서의 연상연하 커플 이었다. 이러한 커플들은 현실감이 많이 떨어지고 계속된 순정만화 캐릭터와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소재가 독특하고 이야기를 유쾌하게 전개해 나가 흥미를 유발한다.
한국만화에서는 아직 연상연하커플을 많이 다루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전통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아직 연상연하 커플이 보편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보다 만화라는 장르가 우리 나라에서 탄탄하게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를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만화에서 연상연하 커플을 다루고 있다고 탄탄한 구성력을 가지지 못하고 현실감을 너무 드러내어 무겁게 나가는 부분이 보인다.
요즘 드라마, 영화 등에서 연상연하 커플을 많이 다루고 가요에서도 ‘누나’를 외치고 있다. 이제 연상연하 커플은 우리에게 낯선 존재가 아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만화에서는 연상연하 커플을 소재로 많이 다룰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연상연하커플을 소재로 하는 만화가 늘어날 것이며 일본에서는 더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현재의 '드메 신드롬'을 반영하는 만화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