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사배경 및 목적
Ⅱ. 조사계획
Ⅲ. 올림푸스 카메라 시장현황 분석
Ⅳ. 설문지 분석
Ⅴ. 결론 및 전망
Ⅱ. 조사계획
Ⅲ. 올림푸스 카메라 시장현황 분석
Ⅳ. 설문지 분석
Ⅴ.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를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의 수가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7. 당신의 가지고 있는 반일감정의 정도를 표현한다면?
1) 심하지 않다 [4%]
2) 약간 심하지 않다 [16%]
3) 보통이다 [44%]
4) 약간 심하다 [50%]
5) 아주 심하다 [ 6%]
--- 50%로 자신의 반일감정이 약간 심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 반일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은?
1) 인터넷 [12%]
2) 불매운동 [14%]
3) 집회참여 [0%]
4) 혼자 삭힌다 [52%]
5) 하지 않는다 [12%]
6) 주변사람들과 이야기 한다 [4%]
7) 복합적인 방법으로 표출 [4%]
--- 설문결과 혼자 삭힌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불매운동, 인터넷, 하지 않는다의 순으로 응답결과가 나왔다.
Ⅲ. 올림푸스 디지털카메라와 반일감정이 미치는 영향
1.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순서대로 나열해 주세요.
[*신뢰성, 가격, 기능, A/S,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6가지 속성중 응답자가 첫번째로 선택한 항목에 6점을 부여하고 순서대로 5점, 4점, 3점, 2점, 1점을 부여하여 점수의 합으로 통계를 냈다]
신뢰성 - 248점
가격 - 310점
기능 - 364점
A/S - 144점
브랜드 이미지 - 412점
디자인 - 298점
* 브랜드 이미지 > 기능 > 가격 > 디자인 > 신뢰성 > A/S 순으로 나타났다.
--- 위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올림푸스 카메라는 전지현효과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여 응답자에게 올림푸스하면 떠오르는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었고 A/S 와 신뢰성 부문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독도망언, 역사교과서 왜곡등 이후 우리나라에 표출된 반일감정이 올림푸스의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35%]
아니오 [65%]
--- 65%의 사람들이 독도망언,역사왜곡등의 문제로 표출된 반일감정이 올림푸스 브랜드 이미지에는 손상을 주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는 앞서 이야기한 전지현 효과를 통한 일본제품이라는 이미지 상쇄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3. 일본의 독도 망언 이후 생각하시는 올림푸스의 이미지는 어떻습니까?
1) 아주 나빠졌다 [4%]
2) 나빠짐 [28%]
3) 변함없음 [64%]
4) 좋아졌다 [4%]
5) 아주 좋아졌다 [0%]
--- 올림푸스의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32%로 앞서 조사했던 독도망언이후의 일본에 대한 감정변화에서 78%가 나빠졌다라고 답한 것과는 조금 대조적인 것으로 보아 일본에 대한 나쁜감정이 올림푸스 이미지에 적게나마 손상을 준 것은 분명하나, 크게 손상을 주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4. 일본의 역사 왜곡과 독도에 대한 망언을 안 이후에도 올림푸스 디카를 구입하시겠습니까?
예 [36%]
아니오 [64%]
--- 64%의 응답자가 올림푸스 디카를 구입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4-1. 올림푸스 디카를 구매하지 않는 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1) 타제품보다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40%]
2) 브랜드 이미지가 낮다 [20%]
3) 일본제품이므로 [34%]
4) 성능대비 가격이 높다 [4%]
5) 역사왜곡에 한몫했다 [2%]
--- 64%의 올림푸스 디카를 사지 않겠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의 이유를 조사해본 결과 34%가 일본제품이므로 구매하지 않겠다고 답했고, 40%가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매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4-2. 다른 브랜드를 구매한다면 어떤 브랜드의 디지털 카메라 제품을 구매할 것인지 브랜드명과 그 이유를 써주세요.
1) 캐논 [40%]: 성능이 좋다, 브랜드 이미지가 좋다, 입소문을 듣고, 색감이 뛰어나다, 디자인이 좋다 순으로 그 이유를 답하였다. 이유 중 성능이 좋기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59%로 가장 많았다.
2) 삼성 캐녹스 [32%]: 우리나라 제품이기 때문에, 성능이 좋다, 배터리가 오래간다, 광고가 맘에 든다 순으로 응답을 했고, 이 중 우리나라 제품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9%나 되었다.
3) 니콘 [13%]: 성능이 좋다, 입소문을 듣고, 브랜드 신뢰도가 높다.등의 순으로 답변이 나왔다.
4) 소니 [13%]: 니콘과 함께 나란히 13%의 응답자가 소니를 선호했고, 그이유로는 브랜드 이미지가 좋다라고 대부분의 응답자가 답해 주었다.
5) 후지 [2%]: 입소문을 듣고 사겠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Ⅴ. 결론 및 전망
매출이 많이 감소했지만 아직 5위를 고수 하고 있는 올림푸스는 타 디지털 카메라사에 비해 일본회사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많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말한 '전지현 효과'라고 까지 하는 광고전략의 특효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전략은 설문조사 결과 나온 올림푸스의 기능적인 부족함을 더욱 부각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58%의 응답자가 반일감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반일감정은 일본인, 일본제품, 일본문화 를 싫어한다는 반일감정이라기 보다는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에 국한된 반일감정인 것으로 보여지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반일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출한다기 보다는 소극적인 방법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반일감정이 일본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강하다기 보다는 간접적이고 평상시때보다 조금 더 생각을 하고 일본제품을 구입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일감정이 올림푸스에 미치는 영향은 우리 팀이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응답자들에게 크게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결국 소비자들은 올림푸스가 일본제품이기 때문에 구매를 꺼리는 입장이기 보다는 기능적인 면이나 A/S,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타사 제품을 올림푸스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20대 소비자들에게 '반일감정'이 디카 구매에 있어 미치는 파장보다는 '합리적인 소비'를 하려는 구매패턴의 변화가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조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올림푸스가 기능적인 면과 A/S,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지 않는 이상 올림푸스의 매출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7. 당신의 가지고 있는 반일감정의 정도를 표현한다면?
1) 심하지 않다 [4%]
2) 약간 심하지 않다 [16%]
3) 보통이다 [44%]
4) 약간 심하다 [50%]
5) 아주 심하다 [ 6%]
--- 50%로 자신의 반일감정이 약간 심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 반일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은?
1) 인터넷 [12%]
2) 불매운동 [14%]
3) 집회참여 [0%]
4) 혼자 삭힌다 [52%]
5) 하지 않는다 [12%]
6) 주변사람들과 이야기 한다 [4%]
7) 복합적인 방법으로 표출 [4%]
--- 설문결과 혼자 삭힌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불매운동, 인터넷, 하지 않는다의 순으로 응답결과가 나왔다.
Ⅲ. 올림푸스 디지털카메라와 반일감정이 미치는 영향
1.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순서대로 나열해 주세요.
[*신뢰성, 가격, 기능, A/S,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6가지 속성중 응답자가 첫번째로 선택한 항목에 6점을 부여하고 순서대로 5점, 4점, 3점, 2점, 1점을 부여하여 점수의 합으로 통계를 냈다]
신뢰성 - 248점
가격 - 310점
기능 - 364점
A/S - 144점
브랜드 이미지 - 412점
디자인 - 298점
* 브랜드 이미지 > 기능 > 가격 > 디자인 > 신뢰성 > A/S 순으로 나타났다.
--- 위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올림푸스 카메라는 전지현효과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여 응답자에게 올림푸스하면 떠오르는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되었고 A/S 와 신뢰성 부문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독도망언, 역사교과서 왜곡등 이후 우리나라에 표출된 반일감정이 올림푸스의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35%]
아니오 [65%]
--- 65%의 사람들이 독도망언,역사왜곡등의 문제로 표출된 반일감정이 올림푸스 브랜드 이미지에는 손상을 주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는 앞서 이야기한 전지현 효과를 통한 일본제품이라는 이미지 상쇄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3. 일본의 독도 망언 이후 생각하시는 올림푸스의 이미지는 어떻습니까?
1) 아주 나빠졌다 [4%]
2) 나빠짐 [28%]
3) 변함없음 [64%]
4) 좋아졌다 [4%]
5) 아주 좋아졌다 [0%]
--- 올림푸스의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32%로 앞서 조사했던 독도망언이후의 일본에 대한 감정변화에서 78%가 나빠졌다라고 답한 것과는 조금 대조적인 것으로 보아 일본에 대한 나쁜감정이 올림푸스 이미지에 적게나마 손상을 준 것은 분명하나, 크게 손상을 주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4. 일본의 역사 왜곡과 독도에 대한 망언을 안 이후에도 올림푸스 디카를 구입하시겠습니까?
예 [36%]
아니오 [64%]
--- 64%의 응답자가 올림푸스 디카를 구입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4-1. 올림푸스 디카를 구매하지 않는 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1) 타제품보다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40%]
2) 브랜드 이미지가 낮다 [20%]
3) 일본제품이므로 [34%]
4) 성능대비 가격이 높다 [4%]
5) 역사왜곡에 한몫했다 [2%]
--- 64%의 올림푸스 디카를 사지 않겠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의 이유를 조사해본 결과 34%가 일본제품이므로 구매하지 않겠다고 답했고, 40%가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매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4-2. 다른 브랜드를 구매한다면 어떤 브랜드의 디지털 카메라 제품을 구매할 것인지 브랜드명과 그 이유를 써주세요.
1) 캐논 [40%]: 성능이 좋다, 브랜드 이미지가 좋다, 입소문을 듣고, 색감이 뛰어나다, 디자인이 좋다 순으로 그 이유를 답하였다. 이유 중 성능이 좋기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59%로 가장 많았다.
2) 삼성 캐녹스 [32%]: 우리나라 제품이기 때문에, 성능이 좋다, 배터리가 오래간다, 광고가 맘에 든다 순으로 응답을 했고, 이 중 우리나라 제품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9%나 되었다.
3) 니콘 [13%]: 성능이 좋다, 입소문을 듣고, 브랜드 신뢰도가 높다.등의 순으로 답변이 나왔다.
4) 소니 [13%]: 니콘과 함께 나란히 13%의 응답자가 소니를 선호했고, 그이유로는 브랜드 이미지가 좋다라고 대부분의 응답자가 답해 주었다.
5) 후지 [2%]: 입소문을 듣고 사겠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Ⅴ. 결론 및 전망
매출이 많이 감소했지만 아직 5위를 고수 하고 있는 올림푸스는 타 디지털 카메라사에 비해 일본회사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많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말한 '전지현 효과'라고 까지 하는 광고전략의 특효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전략은 설문조사 결과 나온 올림푸스의 기능적인 부족함을 더욱 부각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58%의 응답자가 반일감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반일감정은 일본인, 일본제품, 일본문화 를 싫어한다는 반일감정이라기 보다는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에 국한된 반일감정인 것으로 보여지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반일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출한다기 보다는 소극적인 방법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반일감정이 일본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강하다기 보다는 간접적이고 평상시때보다 조금 더 생각을 하고 일본제품을 구입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일감정이 올림푸스에 미치는 영향은 우리 팀이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응답자들에게 크게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결국 소비자들은 올림푸스가 일본제품이기 때문에 구매를 꺼리는 입장이기 보다는 기능적인 면이나 A/S,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타사 제품을 올림푸스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20대 소비자들에게 '반일감정'이 디카 구매에 있어 미치는 파장보다는 '합리적인 소비'를 하려는 구매패턴의 변화가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조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올림푸스가 기능적인 면과 A/S,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지 않는 이상 올림푸스의 매출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