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마무리한다.
전라도 사람이 서울에 가서 표준어를 쓰더라도 자신도 모르게 방언을 쓰게 되고 가끔 TV를 시청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때 전라도 사람들이 출연해 말을 할 때 표준어를 쓰려고 하지만 은연중에 곧 방언이 입에서 튀어나오게 되어 웃음을 자아내거나 코미디나 개그프로에서 아이템으로 자주 사용된다.
우리 또한 일상생활에서 방언을 쓴다. 우리 전라도 방언은 다른 지방보다 억양이 세거나 혹은 욕이나 속어를 많이 사용한다.
이런 표현이 다른 지방사람에게는 결코 부드럽게 들리지 않는다고 하고 또한 수도권지역에서 전라도 사람들끼리 만나서 얘기할 때 서울 사람들은 자칫 전라도 사람들이 싸우는 걸로 오해를 할 수 있다. 비록 우리 방언이 거칠고 투박한 표현이 많지만 같은 전라도 사람이라는 친근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욕이나 비속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겠다. 우리 고장의 방언은 우리지역의 사람에게 동질감을 갖게 해주는 말인 동시에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담고 있는 생활 문화이다.
따라서 자기가 태어난 고장의 말을 잘 이해하고 잘 못된 표현들을 고쳐나가는 것이 바로 자기 고장과 자기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며, 자기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전라도 사람이 서울에 가서 표준어를 쓰더라도 자신도 모르게 방언을 쓰게 되고 가끔 TV를 시청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때 전라도 사람들이 출연해 말을 할 때 표준어를 쓰려고 하지만 은연중에 곧 방언이 입에서 튀어나오게 되어 웃음을 자아내거나 코미디나 개그프로에서 아이템으로 자주 사용된다.
우리 또한 일상생활에서 방언을 쓴다. 우리 전라도 방언은 다른 지방보다 억양이 세거나 혹은 욕이나 속어를 많이 사용한다.
이런 표현이 다른 지방사람에게는 결코 부드럽게 들리지 않는다고 하고 또한 수도권지역에서 전라도 사람들끼리 만나서 얘기할 때 서울 사람들은 자칫 전라도 사람들이 싸우는 걸로 오해를 할 수 있다. 비록 우리 방언이 거칠고 투박한 표현이 많지만 같은 전라도 사람이라는 친근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욕이나 비속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겠다. 우리 고장의 방언은 우리지역의 사람에게 동질감을 갖게 해주는 말인 동시에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담고 있는 생활 문화이다.
따라서 자기가 태어난 고장의 말을 잘 이해하고 잘 못된 표현들을 고쳐나가는 것이 바로 자기 고장과 자기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며, 자기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