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정동기
2. 기존 연구 및 평가
3. 본 문
4. 결 론
2. 기존 연구 및 평가
3. 본 문
4. 결 론
본문내용
등을 밟아 불이 꺼지는 것으로 묘사한다.
4. 결론
제갈량의 정세를 읽는 안목, 뛰어난 언술, 그리고 정치적인 수완력은 이미 정사에서도 잘 소개가 되어있습니다. 손권과 담판을 지어내어, 적벽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형주의 4군을 얻을수가 있었으며, 유장으로부터 뺏은 서촉의 주를 유비의 주로 완성시키는데, 5년도 안걸려 전반적으로 안정을 취했고, 남중의 반란을 진압하고 난뒤에는, 촉이 멸망하는 그날까지, 정치적인 부정에 의한 반란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본다면, 그의 정치적인 수완능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독 군략가적인 측면에서는 정사에서조차 잘 표현하지 않는다는 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북벌을 하는데 있어서, 그는 작은 권력과의 맞붙는 전투에서는 늘 승리를 했었지만, 큰 전투에서는 늘 수비에만 치중하는 위군을 상대로 적은 물자에 막혀 번번히 막혔음을 정사에서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무리한 북벌을 했다는 것에 대해 그를 평가절하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북벌을 무리하게 감행한 가장 큰 이유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조위의 강대함은 더욱 더 강해진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었기에, 애써 무리하게 감행을 서둘렀던 것 뿐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하지만 촉한의 내부에서는 그의 이러한 무리한 북벌을 두고도 안정적으로 돌아갔다는 것은 놀라울 따름입니다.
물론 패전을 하는 군략가를 두고, 뛰어난 군략가라 평하는 이는 없습니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서, 그의 군사적 재능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제기에서 그의 이름이 단 한글자도 발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또한 그렇게 대단한 인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지만, 그에 대한 적군의 장수들의 행동에서, 그가 조위에서도 얼마나 존경을 받았던 인물인지는 짐작할 수 있습니다.
及軍退, 宣王案行其營壘處所, 曰 : 天下奇才也!
군이 퇴각하자 선왕(宣王-사마의)이 그의 영루(營壘)와 처소(處所)를 둘러보고 말했다, “천하의 기재(奇才)로다!”
景耀六年春, 詔爲亮立廟於沔陽
경요(景耀) 6년(263년) 봄, 조령을 내려 제갈량을 위해 면양(沔陽-한중군 면양현)에 사당(廟)을 세웠다.
秋, 魏鎭西將軍鍾會征蜀, 至漢川, 祭亮之廟, 令軍士不得於亮墓所左右芻牧樵採. 亮弟均, 官至長水校尉. 亮子瞻, 嗣爵.
가을, 위(魏) 진서장군(鎭西將軍) 종회(鍾會)가 촉을 정벌해 한천(漢川)에 도착하자 제갈량의 사당에 제사지내고 군사들에 명해 제갈량의 묘 근처에서 말에게 꼴을 먹이거나 땔나무를 캐지 못하게 했다. 제갈량의 동생인 제갈균(諸葛均)은 관직이 장수교위에까지 이르렀다. 제갈량의 아들 제갈첨(諸葛瞻)이 작위를 이었다
삼국지에서 가장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인물중에 한사람인 제갈량은, 연의라는 소설이 보여주듯, 신출귀몰한 귀신은 아니지만, 역시 희대의 명사이자 세기의 천재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다.
※ 제갈량과 간략한 생각 : 제갈량은 정치가, 전술가이며 책략가입니다. 그는 모든 정치가들이 우러러 본받아야 할 이상적인 정치가의 면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삼국지 정사에서 공명을 평하기를
[백성을 위하고 상벌이 엄격했으며 각종 사무에 정통하고 벌을 행함에 있어 공정하여 비록 법이 엄격했으나 불만을 토로하는 자가 없었다]
이것으로 보아 공명은 사사로운 은원관계에 얽매이지 않는 곧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그의 정치적 수완은 삼국지 정사의 저자인 진수가, 아니 모든 이가 인정할 정도로 뛰어납니다. 엄격한 법치주의에 공명정대하고,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 빈틈이 없고 백성들을 굽어 살필 줄 아는 사람, 그게 바로 제갈량입니다.
하지만 저는 책략가로서의 제갈량을 좋아합니다. 죽기 전에 남긴 재산이 뽕나무밭이라는 사실이 있어 그가 욕심이 없는 사람인 것 같지만 천하삼분지계를 생각해놓고 신야에 자리 잡고 있는 유비를 주시한 것으로 그의 야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또 융중대책도 그렇거니와 유비의 군사로써 그 보잘 것 없는 유비의 세력을 삼국 중 하나로 키워낸 것, 현저한 차이가 나는 국력에도 위를 상대로 촉을 무난히 유지시킨 점 등은 그의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그는 과묵히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고 설계할 줄 아는 사람,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임해서 끝까지 방도를 마련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 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나의 생활과 비교해서 이런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취약점을 보완해야 될 것 같습니다.
4. 결론
제갈량의 정세를 읽는 안목, 뛰어난 언술, 그리고 정치적인 수완력은 이미 정사에서도 잘 소개가 되어있습니다. 손권과 담판을 지어내어, 적벽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형주의 4군을 얻을수가 있었으며, 유장으로부터 뺏은 서촉의 주를 유비의 주로 완성시키는데, 5년도 안걸려 전반적으로 안정을 취했고, 남중의 반란을 진압하고 난뒤에는, 촉이 멸망하는 그날까지, 정치적인 부정에 의한 반란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본다면, 그의 정치적인 수완능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독 군략가적인 측면에서는 정사에서조차 잘 표현하지 않는다는 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북벌을 하는데 있어서, 그는 작은 권력과의 맞붙는 전투에서는 늘 승리를 했었지만, 큰 전투에서는 늘 수비에만 치중하는 위군을 상대로 적은 물자에 막혀 번번히 막혔음을 정사에서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무리한 북벌을 했다는 것에 대해 그를 평가절하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북벌을 무리하게 감행한 가장 큰 이유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조위의 강대함은 더욱 더 강해진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었기에, 애써 무리하게 감행을 서둘렀던 것 뿐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하지만 촉한의 내부에서는 그의 이러한 무리한 북벌을 두고도 안정적으로 돌아갔다는 것은 놀라울 따름입니다.
물론 패전을 하는 군략가를 두고, 뛰어난 군략가라 평하는 이는 없습니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서, 그의 군사적 재능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제기에서 그의 이름이 단 한글자도 발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또한 그렇게 대단한 인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지만, 그에 대한 적군의 장수들의 행동에서, 그가 조위에서도 얼마나 존경을 받았던 인물인지는 짐작할 수 있습니다.
及軍退, 宣王案行其營壘處所, 曰 : 天下奇才也!
군이 퇴각하자 선왕(宣王-사마의)이 그의 영루(營壘)와 처소(處所)를 둘러보고 말했다, “천하의 기재(奇才)로다!”
景耀六年春, 詔爲亮立廟於沔陽
경요(景耀) 6년(263년) 봄, 조령을 내려 제갈량을 위해 면양(沔陽-한중군 면양현)에 사당(廟)을 세웠다.
秋, 魏鎭西將軍鍾會征蜀, 至漢川, 祭亮之廟, 令軍士不得於亮墓所左右芻牧樵採. 亮弟均, 官至長水校尉. 亮子瞻, 嗣爵.
가을, 위(魏) 진서장군(鎭西將軍) 종회(鍾會)가 촉을 정벌해 한천(漢川)에 도착하자 제갈량의 사당에 제사지내고 군사들에 명해 제갈량의 묘 근처에서 말에게 꼴을 먹이거나 땔나무를 캐지 못하게 했다. 제갈량의 동생인 제갈균(諸葛均)은 관직이 장수교위에까지 이르렀다. 제갈량의 아들 제갈첨(諸葛瞻)이 작위를 이었다
삼국지에서 가장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인물중에 한사람인 제갈량은, 연의라는 소설이 보여주듯, 신출귀몰한 귀신은 아니지만, 역시 희대의 명사이자 세기의 천재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다.
※ 제갈량과 간략한 생각 : 제갈량은 정치가, 전술가이며 책략가입니다. 그는 모든 정치가들이 우러러 본받아야 할 이상적인 정치가의 면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삼국지 정사에서 공명을 평하기를
[백성을 위하고 상벌이 엄격했으며 각종 사무에 정통하고 벌을 행함에 있어 공정하여 비록 법이 엄격했으나 불만을 토로하는 자가 없었다]
이것으로 보아 공명은 사사로운 은원관계에 얽매이지 않는 곧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그의 정치적 수완은 삼국지 정사의 저자인 진수가, 아니 모든 이가 인정할 정도로 뛰어납니다. 엄격한 법치주의에 공명정대하고,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 빈틈이 없고 백성들을 굽어 살필 줄 아는 사람, 그게 바로 제갈량입니다.
하지만 저는 책략가로서의 제갈량을 좋아합니다. 죽기 전에 남긴 재산이 뽕나무밭이라는 사실이 있어 그가 욕심이 없는 사람인 것 같지만 천하삼분지계를 생각해놓고 신야에 자리 잡고 있는 유비를 주시한 것으로 그의 야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또 융중대책도 그렇거니와 유비의 군사로써 그 보잘 것 없는 유비의 세력을 삼국 중 하나로 키워낸 것, 현저한 차이가 나는 국력에도 위를 상대로 촉을 무난히 유지시킨 점 등은 그의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그는 과묵히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고 설계할 줄 아는 사람,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임해서 끝까지 방도를 마련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 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나의 생활과 비교해서 이런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취약점을 보완해야 될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중국 WTO 가입 1년의 평가와 진출 대책- 5가지 변화와 5가지 추세
한국과 중국관계 변화
중국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형태와 지위 및 역할의 변화
최근 중국의 변화와 중국의 환경기술시장에 관한 고찰
[문화][문화 상품화][고유문화]문화의 개념, 변화, 특성, 모형과 문화의 상품화 및 각 나라별...
[방송산업][방송환경][일본진출][중국진출][멕시코진출][해외진출]방송산업(방송환경)의 변화...
중국 개혁, 개방 30년 성과, 배경, 과제, 정책, 유래, 중국 경제 발전, 구조, 성공 요인, 역...
중국의 경제개혁, 대외 개방정책, 관련기사, 특징, 변화, 현황,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
경제발전의 개념, 한국, 중국, 미국, 일본의 경제발전과 전망, 변화, 특징, 현황, 개념, 사례...
[문화 중국어]한자의 서체(書體) 변화 - 서체 변천 과정 개요
[A+] 중화인민공화국 수립배경 - 중국의 자연조건과 인구, 국민당, 공산당 정책, 국공간 세력...
[사학과] 중국 청 말 근대교육제도의 도입 {청 말 지식인들의 근대교육체제의 모색, 근대교육...
FTA체결과 한국경제의 변화,FTA 정의,한국의 FTA 추진 현황,한국과 칠레 간 FTA,한국과 미국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