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누구일까. 물론 이 영화에서는 재판관이 나오지 않는다. 어떻게 보면 재판관은 예언자라고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시스템 상 예정된 범죄자의 말은 들을 가치가 없다. 그들은 예언자들에 의해 지정된 범죄자일 뿐이고 감옥에 갇히게 될 대상일 뿐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요소인 적절한 집행을 확보해 주는 권력은 이 영화에서 잘 뒷받침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사를 위해 이용되는 최첨단 기기들과 지원 병력은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영화에서는 범죄자를 잡으러 가기 위해 헬기를 띄우기도 한다. 내 생각에는 이 영화 속 세계에서는 예정된 범죄자에게는 안정된 법률도, 공정한 재판관도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수의 다른 사람들에게 이 시스템은 그들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최고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 세계 또한 다수가 원하는 방향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루소 역시 인간의 자연 상태는 자유롭고 불안정한 상태라고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개인들의 신체와 재산을 공동의 힘을 다하여 지킬 수 있는 결합을 맺는다고 말한다. 즉 그는 구성원 하나하나의 권리를 공동체 전체에게 양도한다는 것이다. 루소는 인간은 하나의 특수의지를 갖는다고 말한다. 특수의지는 특수한 이해관계에 따른 개인의 의지이다. 이는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에 더 중점을 둔 의지이다. 인간은 이 의지로 인해 공공에 대한 의무를 다하기를 꺼려하고 권리만을 누리려고 하게 된다. 루소는 이러한 과정은 정치체의 멸망을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특수의지는 스피노자가 말했던 더 큰 선에 대한 희망인 자연권의 일종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루소는 이러한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반의지로의 복종을 거부하는 자는 단체 전체가 그에게 복종을 강요한다는 암묵적 약속을 포함한다고 한다. 즉 강제성이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일반의지란 공공의 선을 목표로 하는 의지이다.
스피노자, 루소 그리고 로크 모두 자연 상태와 공동체의 형성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였다. 이들의 개념을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비교를 하면서 자연 상태보다 공동체 안에 있을 때 더 안전한 것인가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물론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세계는 예정된 범죄자들에게는 참혹한 법률을 지녔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리고 어쩌면 자신이 살인을 저지를지 알지 못하는 예정된 범죄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에 완벽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전체적으로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시대 배경상 많은 과학적 진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학적 발달은 사람들의 가치 변화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에 익숙해져서 의존하려고만 하는 미성숙한 사람들은 과학의 오용에도 당해내지 못하는 주체적인 시민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자신의 직위 또한 비판할 줄 아는 성숙함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성숙함은 사회가 자유로울 때 이루어지기 쉬운 것이다.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 보다 공동체 생활을 할 때 더욱 안전함을 알 수 있으므로 공공의 이익을 고려하면서 사회계약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세 번째 요소인 적절한 집행을 확보해 주는 권력은 이 영화에서 잘 뒷받침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사를 위해 이용되는 최첨단 기기들과 지원 병력은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영화에서는 범죄자를 잡으러 가기 위해 헬기를 띄우기도 한다. 내 생각에는 이 영화 속 세계에서는 예정된 범죄자에게는 안정된 법률도, 공정한 재판관도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수의 다른 사람들에게 이 시스템은 그들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최고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 세계 또한 다수가 원하는 방향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루소 역시 인간의 자연 상태는 자유롭고 불안정한 상태라고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개인들의 신체와 재산을 공동의 힘을 다하여 지킬 수 있는 결합을 맺는다고 말한다. 즉 그는 구성원 하나하나의 권리를 공동체 전체에게 양도한다는 것이다. 루소는 인간은 하나의 특수의지를 갖는다고 말한다. 특수의지는 특수한 이해관계에 따른 개인의 의지이다. 이는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에 더 중점을 둔 의지이다. 인간은 이 의지로 인해 공공에 대한 의무를 다하기를 꺼려하고 권리만을 누리려고 하게 된다. 루소는 이러한 과정은 정치체의 멸망을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특수의지는 스피노자가 말했던 더 큰 선에 대한 희망인 자연권의 일종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루소는 이러한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반의지로의 복종을 거부하는 자는 단체 전체가 그에게 복종을 강요한다는 암묵적 약속을 포함한다고 한다. 즉 강제성이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일반의지란 공공의 선을 목표로 하는 의지이다.
스피노자, 루소 그리고 로크 모두 자연 상태와 공동체의 형성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였다. 이들의 개념을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비교를 하면서 자연 상태보다 공동체 안에 있을 때 더 안전한 것인가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물론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세계는 예정된 범죄자들에게는 참혹한 법률을 지녔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리고 어쩌면 자신이 살인을 저지를지 알지 못하는 예정된 범죄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에 완벽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전체적으로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시대 배경상 많은 과학적 진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학적 발달은 사람들의 가치 변화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에 익숙해져서 의존하려고만 하는 미성숙한 사람들은 과학의 오용에도 당해내지 못하는 주체적인 시민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자신의 직위 또한 비판할 줄 아는 성숙함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성숙함은 사회가 자유로울 때 이루어지기 쉬운 것이다.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 보다 공동체 생활을 할 때 더욱 안전함을 알 수 있으므로 공공의 이익을 고려하면서 사회계약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