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드민턴의 역사
배드민턴의 경기 방법
경기규칙 및 설명
배드민턴 기초기술
배드민턴 용어
출처
배드민턴의 경기 방법
경기규칙 및 설명
배드민턴 기초기술
배드민턴 용어
출처
본문내용
도 거리의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
배드민턴 용어
거트(gut)
라켓을 엮은 줄. 거트란 원래 창자에 있는 장액을 분비하는 장선의 뜻.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한다.
네트 (Net tape)
네트의 위쪽 가장자리에 붙인 흰 천으로 너비가 7.6cm의 것을 반으로 접는다.
네트 샷(Net shot)
네트 플라이트라고도 한다. 네트의 근처에서 쳐서 네트를 넘어 바로 낙하시키는 플라이트.
네트 플레이(Net play)
네트 스트로크라고도 한다. 네트 가까이에서 하는 플레이.
다운(Down)
서비스권을 상실하는 것
더블 터치(Double touch)
복식경기의 경우 플레이어와 파트너가 각기 연속해서 치는 경우이며, 반칙의 일종이다. 더블 히트와 동의어.
드라이브(Drive)
수평 또는 거의 수평으로 날으는 스피드 있는 플라이트.
드롭(Drop)
드롭 샷(Drop shot) 네트를 넘어서 곧 바로 아래로 떨어지는 플라이트.
드리븐 서비스(Driven service)
높이는 낮지만 멀리까지 나는 서비스.
드리븐 클리어(Dreven clear)
상대편의 팔을 위로 들어도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날아가는 높고 빠른 플라이트.
드리블(Dribble)
같은 플레이어가 두번 계속해서 셔틀을 치는 경우이며, 더블 히트의 경우이다.
라인 크로스(Line cross)
서브 시 라인을 밟거나 넘어서는 반칙 행위.
랠리(Rally)
경기 중 셔틀이 계속해서 코트를 왕복하는 상태.
레트(Let)
서브를 다시 하는 것. 즉, 노 카운트의 뜻.
백 핸드 스트로크(Back hand stroke)
라켓을 가지지 않는 쪽에서의 타법. 즉,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에서 오는 셔틀을 칠때를 말한다. 밴드(Band) 네트의 왼쪽 가장자리에 약 7.6cm 넓이의 흰색 테이프를 반으로 접어서 붙인 것.
보크(Balk)
서비스 때 상대를 혼란 시키는 행위.
샷(Shot)
스트로크의 결과를 말한다. 스윙(swing)은 백 스윙, 포어워드 스윙, 임팩트, 폴로우 드루로 나뉘어지고, 이 전체가 스트로크이며 스윙은 스트로크의 일부분이다. 샷은 이 스트로크의 결과 즉, 끝난 타구 자체를 말함.
서비스(Service)
게임 중 셔틀을 쳐서 경기를 시작하는 것. 양발을 지면에 정지시키고 타구 자세를 갖추어 셔틀을 치기까지의 동작.
스매시(Smash)
머리 위로 오는 셔틀을 상대방 코트에 강타하는 것.
클리어(Clear)
높이 멀리 상대방의 백 바운더리 라인 부근까지 포물선을 그리듯이 플라이트 하는 타법으로 하이 클리어와 드리븐 클리어의 두 종류가 있다.
하이 클리어(High clear)
스피드가 있고 높이 올라가는 플라이트. 상대편의 머리 위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는 플라이트.
헤어 핀(Hair pin)
네트 가까이 떨어지는 셔틀을 상대방의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도록 치는 타법
홈 포지션(Home position)
자기편에 위치한 코트의 중심 부분으로 좌우, 전후로 움직이기에 적절한 코트의 중앙.
출처
대한배드민턴협회
시사용어사전, 2005
삼성 배드민턴단
Ls일룡의 블로그
배드민턴 용어
거트(gut)
라켓을 엮은 줄. 거트란 원래 창자에 있는 장액을 분비하는 장선의 뜻.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한다.
네트 (Net tape)
네트의 위쪽 가장자리에 붙인 흰 천으로 너비가 7.6cm의 것을 반으로 접는다.
네트 샷(Net shot)
네트 플라이트라고도 한다. 네트의 근처에서 쳐서 네트를 넘어 바로 낙하시키는 플라이트.
네트 플레이(Net play)
네트 스트로크라고도 한다. 네트 가까이에서 하는 플레이.
다운(Down)
서비스권을 상실하는 것
더블 터치(Double touch)
복식경기의 경우 플레이어와 파트너가 각기 연속해서 치는 경우이며, 반칙의 일종이다. 더블 히트와 동의어.
드라이브(Drive)
수평 또는 거의 수평으로 날으는 스피드 있는 플라이트.
드롭(Drop)
드롭 샷(Drop shot) 네트를 넘어서 곧 바로 아래로 떨어지는 플라이트.
드리븐 서비스(Driven service)
높이는 낮지만 멀리까지 나는 서비스.
드리븐 클리어(Dreven clear)
상대편의 팔을 위로 들어도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날아가는 높고 빠른 플라이트.
드리블(Dribble)
같은 플레이어가 두번 계속해서 셔틀을 치는 경우이며, 더블 히트의 경우이다.
라인 크로스(Line cross)
서브 시 라인을 밟거나 넘어서는 반칙 행위.
랠리(Rally)
경기 중 셔틀이 계속해서 코트를 왕복하는 상태.
레트(Let)
서브를 다시 하는 것. 즉, 노 카운트의 뜻.
백 핸드 스트로크(Back hand stroke)
라켓을 가지지 않는 쪽에서의 타법. 즉,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에서 오는 셔틀을 칠때를 말한다. 밴드(Band) 네트의 왼쪽 가장자리에 약 7.6cm 넓이의 흰색 테이프를 반으로 접어서 붙인 것.
보크(Balk)
서비스 때 상대를 혼란 시키는 행위.
샷(Shot)
스트로크의 결과를 말한다. 스윙(swing)은 백 스윙, 포어워드 스윙, 임팩트, 폴로우 드루로 나뉘어지고, 이 전체가 스트로크이며 스윙은 스트로크의 일부분이다. 샷은 이 스트로크의 결과 즉, 끝난 타구 자체를 말함.
서비스(Service)
게임 중 셔틀을 쳐서 경기를 시작하는 것. 양발을 지면에 정지시키고 타구 자세를 갖추어 셔틀을 치기까지의 동작.
스매시(Smash)
머리 위로 오는 셔틀을 상대방 코트에 강타하는 것.
클리어(Clear)
높이 멀리 상대방의 백 바운더리 라인 부근까지 포물선을 그리듯이 플라이트 하는 타법으로 하이 클리어와 드리븐 클리어의 두 종류가 있다.
하이 클리어(High clear)
스피드가 있고 높이 올라가는 플라이트. 상대편의 머리 위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는 플라이트.
헤어 핀(Hair pin)
네트 가까이 떨어지는 셔틀을 상대방의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도록 치는 타법
홈 포지션(Home position)
자기편에 위치한 코트의 중심 부분으로 좌우, 전후로 움직이기에 적절한 코트의 중앙.
출처
대한배드민턴협회
시사용어사전, 2005
삼성 배드민턴단
Ls일룡의 블로그
추천자료
초고령화 사회에 따른 시니어 스포츠의 미래와 체육인의 역할
레포트_체육학(직장체육과 스포츠친목)
[운동][운동 종류][운동 영향][운동 효력][운동 실제][운동 바람직한 지침][스포츠][놀이][체...
[생활체육지도자]생활체육지도자의 수요, 생활체육지도자의 특성, 생활체육지도자의 조건, 생...
생활체육(생활체육활동)의 의의와 특징, 생활체육(생활체육활동)의 생산성, 생활체육(생활체...
생활체육(생활체육활동)의 정의, 생활체육(생활체육활동)의 필요성과 기능, 생활체육(생활체...
‘도박’ 스포츠로서는 좋을 수 있지만 가정의 ‘파탄’
[A+레포트]남북 장애인스포츠 교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개념, 연혁,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법식, 한국 민속놀...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의 변화,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과 자폐아동사회성결핍, 자아...
[올바른 여가 활동 방안] 여가불평등 - 스포츠·문화예술 (한국인 여가활동 특징과 여가 활동 ...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 스포츠인 스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