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 월남 전쟁(越南 戰爭)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쟁사 - 월남 전쟁(越南 戰爭)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일과 30일 사이 마지막 양일간 헬기와 거룻배를 이용하 여 11600명이 탈출했으며 전체 합하여 13만 명이라는 숙자가 성공적으로 탈출할 수 있 었다.
6) 사이공의 함락과 월남의 최후
민 대통령은 1975년 4월 29일에 모든 미국인에게 24시간 이내 월남을 떠나도록 통보 하고 밤새도록 필사적인 철수작전을 폈으며 1975년 4월 30일 10:00시 전 월남군에게 전 투중지명령을 하달했다. 이로써 지구상에 월남이라는 국가는 영원히 사라지고 말았다.
5. 월남 전쟁의 분석 및 평가
1) 한국군의 참전
1965년에 파병하여 군단급작전 4회, 사단급작전 26회, 연대급작전186회, 대대급작전 955회를 수행하고 1973년도에 귀국하였다.
※한국군의 기본목표
국위선양
(國威宣揚)
경제적 기반조성
(조국번영 이바지)
전투력 강화
실전 체험
2) 계량적(計量的) 비교
폭탄 소비량
월남 전쟁에서의 인적 손실
태평양 전쟁 시 일본본토 투하량
16만t
미군 전사자
4만 4610명
한국전쟁 시 한반도전체 투하량
60만t
미군 부상자
29만 6506명
제2차 세계대전 시 투하총량
300만t
월남군 전사자
13만 5970명
월남전쟁 시 남부월남 투하총량
390만t
월남군 부상자
33만 6043명
호지명루트 투하량
110만t
동맹국 전사자
4333명
라오스 지역
50만t
동맹국 부상자
1만 367명
월맹 지역 투하량
60만t
한국전쟁 시 인적피해 약 30만 명
캄보디아 지역 투하량
20만t
3) 미국의 실험전쟁 무대로서의 월남 전쟁
미국은 핵무기를 제외한 각종 무기를 투입, 사용하여 그 효과의 성능을 실험하였고 많 은 과학자, 기술자가 군사 연구에 참가했으며 미국의 과학자, 기술자 총수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백만 명이 국방관계에 종사했다.
4) 베트콩의 전략
베트콩은 초기 프랑스와의 전쟁 시에 체험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현지의 이점과 상황에 부합되도록 발전시켜 수세, 대치, 공세의 단계를, 혹은 독립되고 혼용된 방법으로 유동성 있는 전략을 구사했다.
5) 월남 전쟁의 패인(敗因)과 그 성격
공산 측에서 보는 월남 전쟁은 '첫째, 외국 세력에 의한 식민지 지배의 배제를 목적으 로 한 민족해방전쟁. 둘째, 계급 투장으로서의 인민전쟁'의 두 가지 큰 목적을 가진 전쟁 이었기 때문에 공산주의의 전략을 이해하지 못하는 서방측에서 납득이 가지 않는 미묘한 전쟁이었다.
인민 전쟁은 '지지 않는 것이 승리'라 한 것처럼 미국은 거대하고 초현대적인 군사력을 가지고도 인민전쟁에서 전술적인 승리는 획득하였으나 전략적으로는 패배하였던 것이다. 월남 전쟁은 연합국의 패배로 패인 중 근본적인 것은 월남 지도층과 피지배층의 일체감, 즉 국민적 총화의 결여라 할 수 있다.
아무리 우수하고 풍부한 무기와 전쟁 물자가 있다 하더라도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인간 의 의지가 결여되면 무용지물이 되고 말 것이며 오히려 그러한 자원들은 적에게 역 이용 당하여 적을 도와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 월남 전쟁 당시 한국군의 모습
▲ 월남 전쟁 파병을 앞둔 한국군과 그의 어머니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