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 believe와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를 (65c), (65d)로 설정하는 근거를 자세히 설명하시오. [영어문장 구조의 이해 과제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사 believe와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를 (65c), (65d)로 설정하는 근거를 자세히 설명하시오. [영어문장 구조의 이해 과제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심층구조의 도입
Ⅱ. Prefer 동사와 Force 동사의 특성
Ⅲ. Believe 동사의 특성
Ⅳ. Believe 문장의 유도
Ⅴ. Condescend 동사의 구조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목적어로의 상승 이동이 먼저 적용되면 (48b)와 같이 보문절의 주어가 S의 밖에 위치하므로, 여기에 there를 삽입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다. 주어가 비한정명사구인 경우에 there-삽입이 일어나는데 주어가 문장 밖으로 빠져나가서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47a) 문장을 얻기 위해서는 ‘There-삽입 이후에 주어-목적어로의 상승 이동’이 적용되어야 한다.
48.
a.
↓ 주어-목적어로의 상승 이동 / For-삭제
b.
↓ there-삽입 적용불가
?
이상의 유도 과정을 고려할 때, believe 동사의 심층구조에서 바른 문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동문화와 주어-목적어로의 상승 이동과 There-삽입 규칙들 간에 (48)의 적용 순서가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9.
There-삽입 → 주어-목적어 상승이동 → 수동문화
이 규칙의 순서가 옳다는 것을 다음 (50a) 문장의 유도 과정을 통하여 확인해 보자. (50a) 문장에는 There-삽입과 수동문화가 적용되었으므로 이 두 규칙이 적용되기 이전의 심층구조는 (50b)가 된다.
50.
a. There is believed by John to be a monster in the lake
b. John believes it [for a monster to be in the lake].
↓ there-삽입
c. John believes it [for there to be a monster in the lake].
↓ 주어-목적어로의 상승 이동 / For-삭제
d. John believes there [to be a monster in the lake].
↓ 수동문화
e. There is believed by John [to be a monster in the lake].
지금까지 believe 동사는 심층구조를 prefer 동사와 같은 구조로 설정하고, 보문절 S'의 보문소가 for인 경우 주어-목적어 상승 이동을 의무적으로 적용하여 표층형을 유도한다는 내용을 논의 하였다.
Ⅴ. condescend 동사의 구조
이제 prefer, force, believe 동사에 이어서 condescend 동사와 seem 동사를 알아보기로 한다. 이 동사들을 prefer 동사와 비교해 보면 표면상으로는 prefer 동사와 유사해 보인다.
51.
a. John preferred to be at home.
b. John condescended to be at home.
c. John seemed to be at home.
그러나 이 동사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면에서 prefer 동사와 아주 다르다.
첫째, 이 동사들은 to 부정사절의 주어가 상위문의 주어와 항상 같다. 만일 다르면 (52)처럼 비문을 이룬다.
52.
* John condescended / seemed (for) his wife to be at home.
둘째, 이 동사들은 (53)과 같은 수동문이 불가능하다.
53.
* To be at home would be [condescended / seemed] by John.
셋째, 이 동사들은 (54)와 같은 의사분열문이 불가능하다.
54.
* What John [condescended / seemed] was to be at home.
넷째, 이 동사들은 (55)와 같이 보통의 NP를 목적어로 취하지 않는다.
55.
* John condescended / seem the oysters / students.
이상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 동사들의 보문절은 NP에 관할되지 않고 VP에 직접 관할되며, 동일명사구 삭제규칙이 적용되는 구조로 보인다. 우선 condescend 동사가 사용된 (51b) 문장의 심층구조를 나타내면 (56)rhk 같다(단, Aux는 생략함).
56.
(56)의 심층구조에 동일명사구 삭제규칙이 적용되면 S' 안의 주어 John이 생략되고, 뒤이어 더 이상 필요 없는 for가 삭제되어서 (51b)가 유도된다. 만일 이 구조에 동일명사구 삭제가 적용되지 않으면 *John condescended for John to be at home.과 같은 비문이 유도되므로, 이런 비문을 막기 위해서는 동일명사구 삭제규칙이 의무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 규칙은 상위문의 주어와 같은 NP가 삭제되는 규칙이다.
Ⅵ. 결론
65.
c. believe (assume, know, perceive, find, prove, imagine 등)
believe 동사류는 (65c)와 같이 보문절 S'가 prefer 동사와 같이 NP에 관할되는 구조를 이룬다. 보문소가 for인 경우, 주어-목적어로의 상승, 즉 주어가 상위문의 목적어 it을 대체하여 상승 이동한 후 for가 삭제되어, 가령 John believes his wife to be brilliant. 와 같은 문장을 유도한다. 이 규칙은 의무적이다. 보문소가 that인 경우는 it이 삭제되어, 가령 John believes that his wife is brilliant. 와 같은 문장을 유도한다.
65
d. condescend (dare, endeavor, fail, manage, proceed, refuse 등)
condescend 동사류는 (65d)와 같이 보문절 S'가 VP에 직접 관할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보문절의 주어가 상위문의 주어와 항상 같아 주어 통제에 의한 동일 명사구 삭제규칙이 의무적으로 적용된다.
Ⅶ. 참고문헌
1. 안승신, 서진희(2010), 『영어문장구조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 안승신(2010), 『영어문장구조의 이해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3. 안승신, 이익환(2009), 『영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4. Fromkin, V. and R. Rodman(1998). An Introduction to Language. (6th Ed.).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5. Radford, Andrew(1988), Transformational Grammar (A First 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3,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3.1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