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보고서] 물체의 비중 :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의 원리를 이해하고 Jolly의 용수철저울을 사용하여 고체와 액체의 비중을 측정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보고서] 물체의 비중 :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의 원리를 이해하고 Jolly의 용수철저울을 사용하여 고체와 액체의 비중을 측정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재료
4. 실험방법
5. 측정값
6. 실험결과
7. 결과에 대한 논의
8. 결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9
3
2.8
11.0
7.9
8.2
3.1
2.65
8.5
2.6
0.84
4
2.8
11.0
7.9
8.2
3.1
2.65
8.5
2.6
0.84
5
2.8
11.0
7.9
8.2
3.1
2.65
8.5
2.6
0.84
평균
2.696
평균
0.85
표준오차
0.03
표준오차
0.013
7. 결과에 대한 논의
세 종류의 시료를 물과 알코올에 넣어 비중을 측정해 보았다. 먼저, 구리와 황동의 비중은 9.204과 8.616로 물과 비교하면 매우 큰 값을 가진다. 알코올의 비중은 0.79과 0.798로 측정되었다. 구리와 황동은 무겁고 밀도가 높은 물질이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 구리의 이론 비중값은 8.96으로 측정값의 평균값과 비교해보면 값이 조금 크게 나왔다. 비중 값이 크게 나온 이유는 식에 의하면 은 분모, 분자에 모두 존재하고 도 초기 위치기 때문에 오차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를 측정할 때 시료가 물에 제대로 잠기지 않았든가 길이를 잘못 측정하는 등의 실험에서 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이에 비해 황동의 이론 비중값은 8.65로 측정값과 거의 똑같이 나왔으므로 실험이 잘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구리와 황동과 달리 알루미늄은 비중이 2.696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알루미늄이 가볍고 밀도 또한 낮아서 생긴 결과이다. 이론값은 2.71로 거의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물에 구리, 황동, 알루미늄을 넣으면 구리가 가장 많이 가라앉고 알루미늄이 제일 위에 떠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물 대신 에탄올에 시료를 넣었을 때 액체의 비중을 구할 수 있었다. 에탄올은 0.79, 0.798, 0.85의 측정값을 보였다. 물의 밀도가 1이므로 에탄올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중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 에탄올과 물을 섞으면 물이 아래로 간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지만 에탄올이 극성이기 때문에 두 액체는 섞이게 된다.
8. 결론
이 번 실험은 실험 방법이 간단하고 쉬워서 재미있었던 실험이었다. 물질의 비중을 간단한 실험을 통해 알아보니 복잡해 보이는 식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무었을 뜻하는 지 쉽게 알게 되어 이해가 쉬웠다. 그리고 이론값과 실험값이 많이 차이가 나지 않아서 오차가 조금 나긴 했지만 잘 하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9. 참고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6312&cid=40942&categoryId=32351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