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繒山驛, Jeungsan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증산동 199-8
②면적 : 0.81㎢
③인구 : 2만 2142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증산동 뒤에 있는 산의 모양이 시루와 같이 생겼으므로 시루메라 하며, 시루는 물이 새어 좋지 않다하여 아름다운 비단의 뜻을 빌어서 증산(繒山)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불광천을 끼고 있으며 일반주거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지하2층의 역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근에 명지대학교가 있다. 이 동은 법정동명과 행정동명이 같다.
32)새절역(신사) [새절驛, Saejeol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신사2동 337-5
②면적 : 1.84㎢
③인구 : 5만 1866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새절은 신사의 한글 명칭으로 새절은 40여년 전까지 큰절이 있었으나 지금은 주변에 그 흔적만 있었어 유래된 명칭이다. 현재는 명지전문대 뒷쪽의 백련사가 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신사동은 행정동인 신사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산로와 가좌로가 마을을 지나고 대부분 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되어 있다. 서울기독대학교, 숭실고등학교, 신흥시장 등이 있다.
33)응암역 [鷹岩驛, Eungam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역촌2동 85-41(연서로1)
②면적 : 1.16㎢
③인구 : 4만 6107명(2008)
④문 화 재 : 인조별서유기비(서울유형문화재 14)
⑤지명유래 :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있는 커다란 바위의 생김새가 마치 매가 앉아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매바위골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이곳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장막을 치고 포수들이 기거하던 곳이 여러곳 있었으며 궁중에서 나와 사냥터로 삼았던 커다란 바위가 있었던 곳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역촌동은 행정동인 역촌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오릉로, 연서로, 진흥로의 간선도로변에 있어 구획정리가 잘되어 있는 전형적인 주거지역이다.
34)역촌역 [驛村驛, Yeokchon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서오릉로 64(녹번동 144-69번지)
②면적 : 1.79㎢
③인구 : 3만 6380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역촌동은 조선조 신하들이 장거리 여행시 말이 쉬어 갈 수 있는 역(延曙驛)이 있어 역말이라 불리어 여기서 역촌이 유래되었고, 옛 지명으로는 마방촌, 토정리라 불리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이 동은 법정동명과 행정동명이 같다. 동의 우측 고지대는 급경사 암반지역으로 능선을 따라 체육시설이 있는 주거지역이고, 좌측은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상가와 관공서가 있다. 녹번동, 대조동, 역촌동이 접하고 있으며 문화시설로서는 은평예술회관, 녹번그린공간이 있다.
35)불광역 [佛光驛, Bulgwang Station]
①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1동 281
②면적 : 4.51㎢
③인구 : 6만 8215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불광동이란 지명은 이 근처에 바위와 절이 많았는데 그중 부처의 서광이 어린 불광사가 위치함으로 유래되었으며 이곳은 조선왕조때 한성부 관할구역으로 수리봉 산밑에는 산돼지가 많이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입은 저서현이라는 고개도 있다.
⑥연계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결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불광동은 행정동인 불광1~3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광1동은 북한산 자락에 있어 자연경관이 좋고, 종로구와 접해 있어 도심으로 집중하는 많은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교통의 요지이다. 불광2동과 3동은 통일로와 연서로를 연결하는 일반 주거지역이고, 지하철 3·6호선 연신내역을 중심으로 상업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36)독바위역 [독바위驛, Dokbawi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불광1동 13-33
②면적 : 4.51㎢
③인구 : 6만 8215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독박골은 독바위골의 줄임말로 독바위골의 바위가 독(항아리)과 같다해서 붙여진 지명이라는 설과 유달리 바위가 많아 숨기 편하다해서 붙여졌단 설이있다. 다른 일설에 의하면 인조반정 당시 일등공신이었던 원두표 장군이 거사 직전까지 숨어 지내던 독바위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산간에 위치하여 지하6층 46.15m로 매우 깊다. 독바위역주변은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 작업개선등 불량주택 개량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지역이며, 단독주택과 독박골등 전체적으로 고지대이다. 북한산등산로가 인접하여 주변환경이 매우 수려한 지역이다.
37)연신내역 [연신내驛, Yeonsinnae Station]
①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439
②면적 : 1.93㎢
③인구 : 5만 4816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옛날 이곳은 산골이었지만 한성부의 관할구역으로서 연서역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연서역은 조선초에 영서역이라고 칭하였는데 인조반정때 상단부사 이서가 이곳에 늦게 합류했다하여 영서역이 연서역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흔히 이곳을 연신내라고 하는 것은 연서천을 이처이다.
⑥연계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결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갈현동은 행정동인 갈현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갈현1동은 통일로, 연신내 전철역 주변과 갈현시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었고, 갈현2동은 연서로, 서오릉로, 갈현동길에 접한 주거지역 및 상가지역이다.
38)구산역 [龜山驛, Gusan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1 (도로명 주소 :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연서로 137)
②면적 : 1.39㎢
③인구 : 3만 2908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경기도와 도경계를 이루는 뒷산의 산 모양이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어, 옛부터 그 아래 마을을 구산동이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경기도 고양시와 시계를 이루는 지역으로서 행정구역상 구산동, 갈현동, 역촌동, 대조동 등 4개동이 인접한 4거리에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증산동 199-8
②면적 : 0.81㎢
③인구 : 2만 2142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증산동 뒤에 있는 산의 모양이 시루와 같이 생겼으므로 시루메라 하며, 시루는 물이 새어 좋지 않다하여 아름다운 비단의 뜻을 빌어서 증산(繒山)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불광천을 끼고 있으며 일반주거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지하2층의 역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근에 명지대학교가 있다. 이 동은 법정동명과 행정동명이 같다.
32)새절역(신사) [새절驛, Saejeol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신사2동 337-5
②면적 : 1.84㎢
③인구 : 5만 1866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새절은 신사의 한글 명칭으로 새절은 40여년 전까지 큰절이 있었으나 지금은 주변에 그 흔적만 있었어 유래된 명칭이다. 현재는 명지전문대 뒷쪽의 백련사가 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신사동은 행정동인 신사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산로와 가좌로가 마을을 지나고 대부분 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되어 있다. 서울기독대학교, 숭실고등학교, 신흥시장 등이 있다.
33)응암역 [鷹岩驛, Eungam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역촌2동 85-41(연서로1)
②면적 : 1.16㎢
③인구 : 4만 6107명(2008)
④문 화 재 : 인조별서유기비(서울유형문화재 14)
⑤지명유래 :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있는 커다란 바위의 생김새가 마치 매가 앉아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매바위골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이곳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장막을 치고 포수들이 기거하던 곳이 여러곳 있었으며 궁중에서 나와 사냥터로 삼았던 커다란 바위가 있었던 곳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역촌동은 행정동인 역촌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오릉로, 연서로, 진흥로의 간선도로변에 있어 구획정리가 잘되어 있는 전형적인 주거지역이다.
34)역촌역 [驛村驛, Yeokchon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서오릉로 64(녹번동 144-69번지)
②면적 : 1.79㎢
③인구 : 3만 6380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역촌동은 조선조 신하들이 장거리 여행시 말이 쉬어 갈 수 있는 역(延曙驛)이 있어 역말이라 불리어 여기서 역촌이 유래되었고, 옛 지명으로는 마방촌, 토정리라 불리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이 동은 법정동명과 행정동명이 같다. 동의 우측 고지대는 급경사 암반지역으로 능선을 따라 체육시설이 있는 주거지역이고, 좌측은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상가와 관공서가 있다. 녹번동, 대조동, 역촌동이 접하고 있으며 문화시설로서는 은평예술회관, 녹번그린공간이 있다.
35)불광역 [佛光驛, Bulgwang Station]
①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1동 281
②면적 : 4.51㎢
③인구 : 6만 8215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불광동이란 지명은 이 근처에 바위와 절이 많았는데 그중 부처의 서광이 어린 불광사가 위치함으로 유래되었으며 이곳은 조선왕조때 한성부 관할구역으로 수리봉 산밑에는 산돼지가 많이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입은 저서현이라는 고개도 있다.
⑥연계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결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불광동은 행정동인 불광1~3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광1동은 북한산 자락에 있어 자연경관이 좋고, 종로구와 접해 있어 도심으로 집중하는 많은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교통의 요지이다. 불광2동과 3동은 통일로와 연서로를 연결하는 일반 주거지역이고, 지하철 3·6호선 연신내역을 중심으로 상업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36)독바위역 [독바위驛, Dokbawi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불광1동 13-33
②면적 : 4.51㎢
③인구 : 6만 8215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독박골은 독바위골의 줄임말로 독바위골의 바위가 독(항아리)과 같다해서 붙여진 지명이라는 설과 유달리 바위가 많아 숨기 편하다해서 붙여졌단 설이있다. 다른 일설에 의하면 인조반정 당시 일등공신이었던 원두표 장군이 거사 직전까지 숨어 지내던 독바위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산간에 위치하여 지하6층 46.15m로 매우 깊다. 독바위역주변은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 작업개선등 불량주택 개량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지역이며, 단독주택과 독박골등 전체적으로 고지대이다. 북한산등산로가 인접하여 주변환경이 매우 수려한 지역이다.
37)연신내역 [연신내驛, Yeonsinnae Station]
①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439
②면적 : 1.93㎢
③인구 : 5만 4816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옛날 이곳은 산골이었지만 한성부의 관할구역으로서 연서역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연서역은 조선초에 영서역이라고 칭하였는데 인조반정때 상단부사 이서가 이곳에 늦게 합류했다하여 영서역이 연서역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흔히 이곳을 연신내라고 하는 것은 연서천을 이처이다.
⑥연계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결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법정동인 갈현동은 행정동인 갈현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갈현1동은 통일로, 연신내 전철역 주변과 갈현시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었고, 갈현2동은 연서로, 서오릉로, 갈현동길에 접한 주거지역 및 상가지역이다.
38)구산역 [龜山驛, Gusan Station]
①위치 :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1 (도로명 주소 :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연서로 137)
②면적 : 1.39㎢
③인구 : 3만 2908명(2008)
④문 화 재 : 無
⑤지명유래 : 경기도와 도경계를 이루는 뒷산의 산 모양이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어, 옛부터 그 아래 마을을 구산동이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⑥연계노선 : 無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경기도 고양시와 시계를 이루는 지역으로서 행정구역상 구산동, 갈현동, 역촌동, 대조동 등 4개동이 인접한 4거리에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