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석이유
2. 결과분석 및 마케팅 시사점
마케팅 시사점
2. 결과분석 및 마케팅 시사점
마케팅 시사점
본문내용
보기들을 읽어보시고, 휴대폰 구입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0점,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점을 주시고, 나머지 보기들에 각각 1~10사이의 점수를 부여해 주십시오.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예)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3
8
1
9
10
9
5
의 디자인 부분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Cases
Valid
Missing
Total
N
Percent
N
Percent
N
Percent
성별 * I6E
24
80.0%
6
20.0%
30
100.0%
<표3-1>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summary
총 30명의 응답자 중 24명, 전체의 80%가 응답에 임해 주었고, 전체 응답자 중 6명, 전체의 20%가 응답을 거부하였다.
I6E
Total
5
6
7
8
9
10
성별
1
0
1
1
4
2
7
15
2
1
0
1
2
2
3
9
Total
1
1
2
6
4
10
24
<표3-2>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crosstabulation
총 1~10점 중 남자(1)의 경우 디자인에 8,9,10점을 주로 주었고 여자(2)의 경우 역시 8,9,10에 점수를 주어 남녀 모두 디자인이 핸드폰 구매 결정에 다른 요소(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기능 판매점)에 비해 큰 역할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 마케팅 시사점
남녀 모두 핸드폰 구입 시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한 요소가 ‘디자인’ 이었다. 이는 곧 마케팅의 전반적인 의사결정에 ‘디자인’을 초점에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즉, Copy trust를 사용할 때도 타 경쟁사와 다른 독특한 디자인, 예를 들면 삼성 Anycall의 ‘벤츠폰’과 같은 안테나가 없는 디자인을 광고를 포함한 프로모션 전체에 내세우고, Product 부문에서도 제품 디자인 R&D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남자와 여자가 모두 같은 속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은 남/녀 성별에 따른 별도의 마케팅 믹스를 짜는 제반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Value
df
Asymp. Sig. (2-sided)
Pearson Chi-Square
2.951(a)
5
.708
Likelihood Ratio
3.582
5
.611
Linear-by-Linear Association
.491
1
.483
N of Valid Cases
24
a 11 cells (91.7%) have expected count less than 5. The minimum expected count is .38.
<표3-2>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분석
두 변수(성별과 구입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Chi-Square Test를 해 보았다. 가설은 : (분산)=q(임의의 수), : q 라 한다. 값의 유의확률(P값)과 유의수준(=0.05)을 비교해 보았을 때 카이제곱 검정 통계량은 2.951이고 자유도 df=5, 유의 확률은 0.708이었다. 즉, 유의 확률 0.708은 기준 유의 수준 =0.05의 영역을 벗어난다. 그러므로 독립변수인 성별은 종속변수인 구입처와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귀무가설 는 기각되지 않는다.
※ 마케팅 시사점
이 결과는 Place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이용 할 수 있다. 이 분석에서 성별은 구입처와 상관간계가 없다고 입증 되었기 때문에, 유통망의 종류에 따른 마케팅보다는, 보다 매출을 극대화 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통망 하나를 선택하거나, 여러 유통망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품을 소비자에게 확산시키는데 있어, 유통망의 속성은 중요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4) 모집단의 평균에 관한 가설 검정(T-test)
6. 다음의 보기들을 읽어보시고, 휴대폰 구입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0점,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점을 주시고, 나머지 보기들에 각각 1~10사이의 점수를 부여해 주십시오.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예)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3
8
1
9
10
9
5
의 광고와 기능부분에 관한 T-test를 하였다.
N
Mean
Std. Deviation
Std. Error Mean
I6A
24
4.08
2.430
.496
I6F
24
6.83
2.697
.551
<표4-1> 6번 광고와 기능부분에 대한 통계
광고부분에 대하여 24명이 응답하여 주었다. 1~10점 사이의 점수 중 평균이 4.08, 표준편차 2.430로 전체 평균 5보다 작으므로 광고가 응답자의 구매의욕을 크게 불러 온다고는 할 수 없다. 또, 핸드폰의 기증에 대해서도 24명이 응답하여 주셨는데 1~10점 사이의 점수 중 평균이 6.83, 표준편차 2.697로 전체 평균 5보다 크므로 핸드폰의 기능이 광고보다 응답자의 구매의욕을 더 불러 온다고 할 수 있다.
Test Value = 0
t
df
Sig. (2-tailed)
Mean Differenc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Difference
Lower
Upper
I6A
8.232
23
.000
4.08
3.06
5.11
I6F
12.411
23
.000
6.83
5.69
7.97
<표4-2> 6번 광고와 기능부분에 대한 one-sample test
광고에 대한 T-test 결과 자유도 23에서 양측 검정하였을 때 0.000으로 나타났다. 즉, 기준 유의수준(0.05)보다 작으므로 광고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또 기능에 대한 T-test 결과 자유도 23에서 양측 검정하였을 때 0.000으로 나타났다. 즉, 기준 유의수준(0.05)보다 작으므로 기능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마케팅 시사점
Place, Promotion, Price, Product... 이 4가지 4 P's 중에서 Advertising이 해당하는 Promotion 보다 Product 부분에 자원(투자)분배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시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광고에 대해 소비자는 많은 관심을 가지지만, 구매와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예)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3
8
1
9
10
9
5
의 디자인 부분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Cases
Valid
Missing
Total
N
Percent
N
Percent
N
Percent
성별 * I6E
24
80.0%
6
20.0%
30
100.0%
<표3-1>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summary
총 30명의 응답자 중 24명, 전체의 80%가 응답에 임해 주었고, 전체 응답자 중 6명, 전체의 20%가 응답을 거부하였다.
I6E
Total
5
6
7
8
9
10
성별
1
0
1
1
4
2
7
15
2
1
0
1
2
2
3
9
Total
1
1
2
6
4
10
24
<표3-2>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crosstabulation
총 1~10점 중 남자(1)의 경우 디자인에 8,9,10점을 주로 주었고 여자(2)의 경우 역시 8,9,10에 점수를 주어 남녀 모두 디자인이 핸드폰 구매 결정에 다른 요소(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기능 판매점)에 비해 큰 역할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 마케팅 시사점
남녀 모두 핸드폰 구입 시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한 요소가 ‘디자인’ 이었다. 이는 곧 마케팅의 전반적인 의사결정에 ‘디자인’을 초점에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즉, Copy trust를 사용할 때도 타 경쟁사와 다른 독특한 디자인, 예를 들면 삼성 Anycall의 ‘벤츠폰’과 같은 안테나가 없는 디자인을 광고를 포함한 프로모션 전체에 내세우고, Product 부문에서도 제품 디자인 R&D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남자와 여자가 모두 같은 속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은 남/녀 성별에 따른 별도의 마케팅 믹스를 짜는 제반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Value
df
Asymp. Sig. (2-sided)
Pearson Chi-Square
2.951(a)
5
.708
Likelihood Ratio
3.582
5
.611
Linear-by-Linear Association
.491
1
.483
N of Valid Cases
24
a 11 cells (91.7%) have expected count less than 5. The minimum expected count is .38.
<표3-2> 1번과 6번 디자인 부분에 대한 분석
두 변수(성별과 구입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Chi-Square Test를 해 보았다. 가설은 : (분산)=q(임의의 수), : q 라 한다. 값의 유의확률(P값)과 유의수준(=0.05)을 비교해 보았을 때 카이제곱 검정 통계량은 2.951이고 자유도 df=5, 유의 확률은 0.708이었다. 즉, 유의 확률 0.708은 기준 유의 수준 =0.05의 영역을 벗어난다. 그러므로 독립변수인 성별은 종속변수인 구입처와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귀무가설 는 기각되지 않는다.
※ 마케팅 시사점
이 결과는 Place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이용 할 수 있다. 이 분석에서 성별은 구입처와 상관간계가 없다고 입증 되었기 때문에, 유통망의 종류에 따른 마케팅보다는, 보다 매출을 극대화 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통망 하나를 선택하거나, 여러 유통망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품을 소비자에게 확산시키는데 있어, 유통망의 속성은 중요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4) 모집단의 평균에 관한 가설 검정(T-test)
6. 다음의 보기들을 읽어보시고, 휴대폰 구입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0점,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것에 1점을 주시고, 나머지 보기들에 각각 1~10사이의 점수를 부여해 주십시오.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예)
광고
A/S
주변인의
추천
가격
디자인
기능
판매점
3
8
1
9
10
9
5
의 광고와 기능부분에 관한 T-test를 하였다.
N
Mean
Std. Deviation
Std. Error Mean
I6A
24
4.08
2.430
.496
I6F
24
6.83
2.697
.551
<표4-1> 6번 광고와 기능부분에 대한 통계
광고부분에 대하여 24명이 응답하여 주었다. 1~10점 사이의 점수 중 평균이 4.08, 표준편차 2.430로 전체 평균 5보다 작으므로 광고가 응답자의 구매의욕을 크게 불러 온다고는 할 수 없다. 또, 핸드폰의 기증에 대해서도 24명이 응답하여 주셨는데 1~10점 사이의 점수 중 평균이 6.83, 표준편차 2.697로 전체 평균 5보다 크므로 핸드폰의 기능이 광고보다 응답자의 구매의욕을 더 불러 온다고 할 수 있다.
Test Value = 0
t
df
Sig. (2-tailed)
Mean Differenc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Difference
Lower
Upper
I6A
8.232
23
.000
4.08
3.06
5.11
I6F
12.411
23
.000
6.83
5.69
7.97
<표4-2> 6번 광고와 기능부분에 대한 one-sample test
광고에 대한 T-test 결과 자유도 23에서 양측 검정하였을 때 0.000으로 나타났다. 즉, 기준 유의수준(0.05)보다 작으므로 광고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또 기능에 대한 T-test 결과 자유도 23에서 양측 검정하였을 때 0.000으로 나타났다. 즉, 기준 유의수준(0.05)보다 작으므로 기능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마케팅 시사점
Place, Promotion, Price, Product... 이 4가지 4 P's 중에서 Advertising이 해당하는 Promotion 보다 Product 부분에 자원(투자)분배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시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광고에 대해 소비자는 많은 관심을 가지지만, 구매와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현대자동차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마케팅 기획 레포트
[교육마케팅]온라인 논술교육 창업방안
[교육마케팅] 온라인 고등논술 회사 창업연구
인터넷과 여론 - 온라인상의 사회운동
G마켓 사례로 살펴본 온라인마켓플레이스 비지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조사
[벤처창업론]온라인 애견용품 전문점 창업계획서(리포트)
[논문] 온라인상의 포르노그래피와 사회적 차원에서의 규제
[경영과의사결정]온라인 보험 '다음다이렉트원' 경영분석 및 보완점
[산업조직이론] 온라인 게임 산업
[소비자행동론] 온라인 소비자 행동의 특성과 사례.ppt
[사업계획서] 온라인과외 - EDUNET
오픈마켓 생존 전략 온라인 쇼핑몰, G마켓
예스24 경영분석 - 온라인 서점 산업분석
스타일 난다 - 온라인 브랜드의 신화.중국.일본인이 좋아하는 한국 브랜드1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