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인적사항
나. 개인력
다. 가족관계 및 가족력
개입목적 및 목표
◈ 개입목적
◈ 개입목표
개입계획
마. 생태도
나. 개인력
다. 가족관계 및 가족력
개입목적 및 목표
◈ 개입목적
◈ 개입목표
개입계획
마. 생태도
본문내용
훈련에 대한 만족도 등을 확인한다.
(3) 거동보조 문제
① 외출서비스
가정봉사원이 제대로 방문하는지, 가정봉사원의 인상이나 태도가 마음에 드는지, 서비스 시간대와 시간량이 적절한지, 외출시 불편사항이나 요구사항은 없는지 확인한다.
(4) 종교활동 문제
① 교인들의 신방기도
교인들의 방문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인들과 기도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확인한다.
② 주일예배참석
집으로 차량운행이 잘되고 있는지, 주일예배를 참석함으로써 할머니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한다.
목표달성
여부
- 상호간에 설정한 목표가 달성가능한지 정기적인 점검을 한다.
- 우선순위로 정한 할머니의 소외감, 고독감등의 심리적인 문제, 가족관계, 거동보조, 종교활동 문제를 위해 선택한 전략이 올바른 것인지 수시로 점검한다.
- 할머니의 진전상황에 대해 방문 상담 등을 통해 사회복지사가 목표달성 여부를 점검한다.
평
가
클라이언트
의 서비스 계획 및 개입계획 평가
- 서비스 계획에서 의도했던 대로 개입이 이루어졌는지 평가한다.
목적달성
평가
- 할머니의 변화상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들을 개입이전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효과성
평가
- 소외감, 고독감 등의 심리적인 문제 : 할머니의 심리상태를 측정하여 효과성을 평가한다.
- 가족관계 문제 : 할머니, 딸, 손녀들의 가족관계지표를 사전사후 검사하여 효과성을 평가한다.
- 거동보조 문제 : 외출서비스를 지원하여 사회적 활동을 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가 이루었는지 평가한다.
- 종교활동 문제 : 종교활동이 할머니의 신앙에의 의지를 충족시키고 대인관계의 향상을 가져왔는지 평가한다.
클라이언트
만족도
평가
- 사례관리 종결 시점에서 작성한 설문지로 상담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할머니의 만족도를 평가한다.
점검
결과목표의
달성여부
- 결과적으로 할머니와 가족이 서비스 계획 및 개입으로 인하여 의도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을지 검토한다.
- 할머니의 욕구와 가족에 대한 개입이 의도했던 대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계획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서비스 계획의 적절성, 목표달성 여부, 결과 목표 달성여부 등을 최종 점검하여, 긍정적이면 계획대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적 판단이 있을 경우 계획의 변화를 시도한다.
마. 생태도
보건소
약
병원
동사무소
자원봉사자
C'T
복지관
교회(기도)
친구
◎ 범례 ◎
긴장 긍정적
불확실,미약 에너지흐름
(3) 거동보조 문제
① 외출서비스
가정봉사원이 제대로 방문하는지, 가정봉사원의 인상이나 태도가 마음에 드는지, 서비스 시간대와 시간량이 적절한지, 외출시 불편사항이나 요구사항은 없는지 확인한다.
(4) 종교활동 문제
① 교인들의 신방기도
교인들의 방문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인들과 기도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확인한다.
② 주일예배참석
집으로 차량운행이 잘되고 있는지, 주일예배를 참석함으로써 할머니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한다.
목표달성
여부
- 상호간에 설정한 목표가 달성가능한지 정기적인 점검을 한다.
- 우선순위로 정한 할머니의 소외감, 고독감등의 심리적인 문제, 가족관계, 거동보조, 종교활동 문제를 위해 선택한 전략이 올바른 것인지 수시로 점검한다.
- 할머니의 진전상황에 대해 방문 상담 등을 통해 사회복지사가 목표달성 여부를 점검한다.
평
가
클라이언트
의 서비스 계획 및 개입계획 평가
- 서비스 계획에서 의도했던 대로 개입이 이루어졌는지 평가한다.
목적달성
평가
- 할머니의 변화상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들을 개입이전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효과성
평가
- 소외감, 고독감 등의 심리적인 문제 : 할머니의 심리상태를 측정하여 효과성을 평가한다.
- 가족관계 문제 : 할머니, 딸, 손녀들의 가족관계지표를 사전사후 검사하여 효과성을 평가한다.
- 거동보조 문제 : 외출서비스를 지원하여 사회적 활동을 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가 이루었는지 평가한다.
- 종교활동 문제 : 종교활동이 할머니의 신앙에의 의지를 충족시키고 대인관계의 향상을 가져왔는지 평가한다.
클라이언트
만족도
평가
- 사례관리 종결 시점에서 작성한 설문지로 상담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할머니의 만족도를 평가한다.
점검
결과목표의
달성여부
- 결과적으로 할머니와 가족이 서비스 계획 및 개입으로 인하여 의도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을지 검토한다.
- 할머니의 욕구와 가족에 대한 개입이 의도했던 대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계획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서비스 계획의 적절성, 목표달성 여부, 결과 목표 달성여부 등을 최종 점검하여, 긍정적이면 계획대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적 판단이 있을 경우 계획의 변화를 시도한다.
마. 생태도
보건소
약
병원
동사무소
자원봉사자
C'T
복지관
교회(기도)
친구
◎ 범례 ◎
긴장 긍정적
불확실,미약 에너지흐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