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왕벌신드롬의 의의
2. 여왕벌신드롬의 조건
2. 여왕벌신드롬의 조건
본문내용
부하고 공식성(formality)을 더욱 강화시킨다. 쉽게 말해 고위직 여성은 남성은 물론이거니와 설령 동료나 부하가 같은 여성이라 할지라도 공적 업무 이외에 사적으로는 같이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지금까지 비공식성은 여성학에서 자주 다루어진 개념으로 원래 남성들의 전유물(monopoly)이었으며 그리 좋은 의미는 아니었다. 이는 소규모 사적 집단 내에서 강한 동질성과 특정 태도를 공유함으로써 적합하지 않은 기질을 소유한 사람이나 집단의 참여(침투)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를 갖게 만들기 때문이다. 흔히 우리나라 직장생활에 있어서 남성 상호간의 비공식적 인간관계는 공식업무 이외의 술자리, 목욕탕 문화와 같은 비공식 모임을 통해 끈끈한 정을 나누는 것으로 표현되고는 한다. 이는 외국의 경우도 예외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서구의 직장생활에서도 남성 상호간에는 취미생활이나 경조사, 업무 이외의 시간을 같이 보내는 일이 여성보다 빈번하다. 이 가운데 여성은 그러한 비공식적 문화에 속하지 못함으로써 공식적 업무 이외의 관계에서 배제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었다. 더욱이 그 배제 대상의 중심에는 바로 조직과 부서의 여왕벌들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