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사] 삼위일체 논쟁 - 단일신론(Monarchianism)(역동적 단일신론, 양태론적 단일신론), 아리안주의(Arianism)(아리우스, 니케아 종교회의, 끝나지 않은 논쟁, 위대한 갑바도기안인들, 아리아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교회사] 삼위일체 논쟁 - 단일신론(Monarchianism)(역동적 단일신론, 양태론적 단일신론), 아리안주의(Arianism)(아리우스, 니케아 종교회의, 끝나지 않은 논쟁, 위대한 갑바도기안인들, 아리아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일신론(MONARCHIANISM)
 1) 역동적 단일신론(Dynamic Monarchianism)
 2) 양태론적 단일신론(Modalistic Monarchianism)

2. 아리안주의(ARIANISM)
 1) 아리우스(Arius)
 2) 니케아 종교회의(The Council of Nicea)
 3) 논쟁은 끝나지 않았다.
 4) 위대한 갑바도기안인들(The Great Cappadocians)
 5) 아리아파

참고문헌

본문내용

.
논쟁은 계속 되었다. 그의 형제가 353년 죽은 후에, 콘스탄티우스는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HOMOIOUSION(of similar substance)용어로 시도된 절충안이 실패로 돌아가자, 아타나시우스는 다시 추방되어졌다. 콘스탄티우스의 죽은 후에, 짧은 두 통치가 있었고, 제국은 다시 발렌티니안 I세(Valentinian I)가 서방을, 발렌스(Valens)가 동방을 지배했다. 또, 서방 통치자는 니케아를, 동방은 아리안을 공감했다. 373년 아타나시우스는 죽었으나, 이때까지 니케아 입장이 폭넓게 받아들여졌다. 사실, 급진적인 아리안파는 소수였고, 온화한 아리안파는 니케아 결정을 지지했으며, 니케아 교리는 위대한 갑바도기안 교부들에 의해 발전되어 상세히 설명이 가해졌다.
4) 위대한 갑바도기안인들(The Great Cappadocians)
나찌안주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닛사의 그레고리(Gregory of Nyssa)이었다. 이들 중 첫 번째는 감독의 아들로 헬라철학과 오리겐의 사상에 능통했고, 다른 둘은 형제들로서 오리겐의 사고에 익숙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감독들이며, 그들은 OUSIA(the Greek equivalent of "substantia")와 HYPOSTASIS(translated into Latin as "personal")의 차이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들은 하나님 안에 단지 한 OUSIA가 있으며, 그것은 아버지, 아들, 성령의 세 HYPOSTASES에 의해 공유된다.
그 외에, 스페인에서 태어난 데오도시우스(Theodosius)황제가 적극적으로 반 아리아파(anti-Arian)였다. 그는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두 번째 세계종교회의를 소집하여 니케아신조(the Nicene Creed)의 확대된 형태를 승인하였다.
5) 아리아파
몇 세기 동안 주로 동방기독교출신의 선교사에 의해 기독교로 전향한 게르만 민족들 가운데 성행하였다. 아이러니칼하게도, 서방제국을 침략한 야만인들은 아리안파의 기독교인들이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게르만 민족은 정통입장을 받아들였다.
참고문헌
후스토 L. 곤잘레스 저, 초대교회사, 은성 2012
브루스 셸리 저,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박용규 저,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기홍 저, 이야기 교회사, 두란노 2010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8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