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사회복지실천의 의미
2.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관점: 생태체계 패러다임
1) 인간관
2) 행동 및 부적응에 대한 관점
3) 변화에 대한 관점
4)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3. 통합적 실천방법
참고문헌
2.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관점: 생태체계 패러다임
1) 인간관
2) 행동 및 부적응에 대한 관점
3) 변화에 대한 관점
4)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3. 통합적 실천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계도,생태체계도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3. 통합적 실천방법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에서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은 주로 제한된 특정 문제에 대한 개입이 중심이 되고 있어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히 개입하기 어렵게 하거나,지나친 분화. 전문화로 서비스의 파편화현상을 초래함으로써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여러 기관을 찾아다니게 되는 한계를 갖게 된다(김융일 외,1995: 121-122). 이러한 전통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1970년대 초부터 체계이론적 관점과 생태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통합방법론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통합적 접근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면서 클라이언트의 잠재성을 인정하고 개발하며,미래 지향적이고,광범위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조흥식 외,2008). 즉,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해서 클라이언트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다양한 체계에 대한 사정과 개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돕고자 하는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이라고 할 수 있겠다(양옥경 외,2006: 123). 핀커스와 미나한(Pincus & Minahan, 1973)은 사회복지실천의 체계를 변화매개체계,클라이언트 체계,표적체계,행동체계의 네 가지 체계로 분류했으며,이후 콤턴과 갤러웨이(Compton & Gallaway, 1994)가 전문체계와 의뢰-응답체계의 두 가지 유형을 추가하여 총 여섯 가지 체계로 구성하였다.
첫째,변화매개체계란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변화매개인이란 변화를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용된 돕는 사람,즉 사회복지사를 뜻한다.
둘째,클라이언트 체계란 서비스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로서, 변화매개인과 계약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클라이언트가 된다.
셋째,표적체계란 변화매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한 사람들로서 클라이언트 체계와 중복되기도 한다.
넷째,행동체계란 변화매개인들이 변화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을 말히는데,이웃,가족,전문가들이 해당된다. 변화 노력의 과정에서 변화매개인은 단계에 따라 여러 다른 유형의 행동체계와 작업할 수 있다.
다섯째,전문체계는 전문가단체,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체계,전문적 실천의 가치와 재가 등으로 구성된다. 전문체계의 가치와 문화는 변화매개 체계인 사회복지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복지사는 기관변화,사회변화의 대변가로서 활동할 때 전문체계를 이용하기도 한다.
여섯째, 의뢰-응답체계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사람의 요청이나 법원,경찰 등에 의해 강제로 오게 된 경우 클라이언트 체계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서비스를 요청한 사람을 의뢰체계라고 하고,강요에 의해서 오게 된 사람은 응답자라고 한다.
참고문헌
김명근, 길귀숙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4
이건모, 박은렬 외 저, 사회복지개론, 신정 2015
김욱, 이홍직 외 저, 사회복지총론, 오래 2015
김경우 저, 사회복지개론, 동문사 2015
3. 통합적 실천방법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에서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은 주로 제한된 특정 문제에 대한 개입이 중심이 되고 있어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히 개입하기 어렵게 하거나,지나친 분화. 전문화로 서비스의 파편화현상을 초래함으로써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여러 기관을 찾아다니게 되는 한계를 갖게 된다(김융일 외,1995: 121-122). 이러한 전통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1970년대 초부터 체계이론적 관점과 생태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통합방법론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통합적 접근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면서 클라이언트의 잠재성을 인정하고 개발하며,미래 지향적이고,광범위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조흥식 외,2008). 즉,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해서 클라이언트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다양한 체계에 대한 사정과 개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돕고자 하는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이라고 할 수 있겠다(양옥경 외,2006: 123). 핀커스와 미나한(Pincus & Minahan, 1973)은 사회복지실천의 체계를 변화매개체계,클라이언트 체계,표적체계,행동체계의 네 가지 체계로 분류했으며,이후 콤턴과 갤러웨이(Compton & Gallaway, 1994)가 전문체계와 의뢰-응답체계의 두 가지 유형을 추가하여 총 여섯 가지 체계로 구성하였다.
첫째,변화매개체계란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변화매개인이란 변화를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용된 돕는 사람,즉 사회복지사를 뜻한다.
둘째,클라이언트 체계란 서비스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로서, 변화매개인과 계약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클라이언트가 된다.
셋째,표적체계란 변화매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한 사람들로서 클라이언트 체계와 중복되기도 한다.
넷째,행동체계란 변화매개인들이 변화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을 말히는데,이웃,가족,전문가들이 해당된다. 변화 노력의 과정에서 변화매개인은 단계에 따라 여러 다른 유형의 행동체계와 작업할 수 있다.
다섯째,전문체계는 전문가단체,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체계,전문적 실천의 가치와 재가 등으로 구성된다. 전문체계의 가치와 문화는 변화매개 체계인 사회복지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복지사는 기관변화,사회변화의 대변가로서 활동할 때 전문체계를 이용하기도 한다.
여섯째, 의뢰-응답체계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사람의 요청이나 법원,경찰 등에 의해 강제로 오게 된 경우 클라이언트 체계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서비스를 요청한 사람을 의뢰체계라고 하고,강요에 의해서 오게 된 사람은 응답자라고 한다.
참고문헌
김명근, 길귀숙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4
이건모, 박은렬 외 저, 사회복지개론, 신정 2015
김욱, 이홍직 외 저, 사회복지총론, 오래 2015
김경우 저, 사회복지개론, 동문사 2015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_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사회복지의 미시적 실천방법과 학교사회복지 (미시적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생태체계적 관점,...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장 (사회복지실천, 노인복지 분야, 정신보건사회사업 분야)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웨일과 갬블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 사회복지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 사회복...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분류(사회복지기관의 기...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문제해결과정) - 통합적 접근 모델로서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분류(사회복지기관의 기...
[사회복지실천론]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변천과정 -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이전시기와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사회복지실천] 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및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