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human engineering] VDT 작업환경의 문제점 및 개선점 (VDT 작업기기와 작업 자세 및 쾌적한 작업환경과 사무실 배치 알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공학human engineering] VDT 작업환경의 문제점 및 개선점 (VDT 작업기기와 작업 자세 및 쾌적한 작업환경과 사무실 배치 알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VDT 작업기기
(1) 화면
(2) 키보드 & 마우스
(3) 작업대
(4) 의자

2. 작업 자세
(1) 목
(2) 팔꿈치
(3) 손목
(4) 어깨
(5) 등, 허리
(6) 올바른 작업자세

3. 쾌적한 작업환경 및 사무실 배치 알기
(1) 온도, 습도, 불쾌지수
(2) 채광과 조명
(3) 사무실 벽의 색채 조절
(4) 소음
(5) 책상 배치

4. 결론

본문내용

어 밝게 하는 것
데시벨(dB :Decibel) : 소리의 크기나 전기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
(5) 책상 배치
▶ 대향식 배치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
책상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
면적을 작게 차지하고, 사원들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함
사원들의 관리가 어려우며 집중력이 떨어짐
▶ 동향식 배치
사무작업이 직선으로 흐르도록 책상을 같은 방향으로 배열하는 형태
사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환경의 변화에 대해 재배치가 쉬움
직선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질서 정연함
대향식에 비해 많은 면적을 차지하며, 사원들간의 의사소통이 불편함
4. 결론
국내에서는 1990년 3월 노동부가 영상단말기의 조명, 작업장 환경 기준을 정한 '영상 단말기 작업 지침'을 마련하고 법령 마련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VDT 중후군의 문제점은 다른 직업병에 비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아 보상 받기에는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엄연히 VDT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사후대책도 중요하지만, 자기 자신의 건강관리, 자세교정과 같은 개인의 노력과 그에 못지 않은 사업주의 작업환경 개선, 교대 근무, 휴식시간 제정 등과 같은 관심과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팔꿈치 위 부분은 어깨에서 자연스럽게 떨어뜨리고 팔꿈치 아래 부분은 팔꿈치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 자세이다.
50분 작업, 10분 휴식 간격을 지키고 휴식을 취할 때도 창 밖이나 먼 곳을 바라봄으로써 눈의 긴장을 풀어주고 가벼운 체조로 몸의 긴장을 풀어준다.
VDT 증후군은 긴장된 목과 어깨 근육을 이완시키며, 척추를 정상적인 형태로 환원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것 외에, 환자 본인의 생활 습관과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VDT 증후군은 긴장된 목과 어깨 및 전반적인 척추의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목의 정상 만곡을 형성해주어 통증을 없애는 추나수기요법, 막힌 기운을 소통시켜 통증을 없애고, 근육을 이완, 강화시키는 침구요법, 목과 어깨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한방물리요법, 염증과 어혈을 없애고,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여 통증을 없애고 재발을 방지하는 약물요법, 바른 자세를 유지시키고, 근육 강화 운동을 통해 통증의 재발을 방지하는 운동요법 등을 시행하고 있다.
VDT 화면은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것을 선택한다. 화면의 깜박거림은 작업자가 느낄 수 없을 정도의 수준이어야 하며 화질은 항상 선명해야 한다. 화면상의 문자나 도형 등은 작업자가 읽기 쉽도록 크기, 간격 및 형상 등을 고려해야 한다. 화면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배경에 밝은 황ㆍ녹색 또는 백색문자를 사용하고 적색 또는 청색의 문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생산 현장에서의 인간 공학적인 설계는 지금까지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사무실내 작업 환경에서의 인간 공학적인 설계는 아직 미흡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사무실 작업환경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컴퓨터 등 VDT를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은 이제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사람들의 인식에 있어서 VDT작업환경에 대해 관심이 적고 또한 심각성이 크게 와 닿지는 않고 있지만 각자의 책상 공간 내에서부터 책상의 선택이나 의자의 선택, 실내 조명 등을 고려하여 실내 인테리어나 가구를 선택한다면 인간공학적인 환경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소한 관심 하나가 일상생활이나 작업에 있어서 능률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개인의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 될 것이고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을 실시하여 사무실내의 작업환경을 인간공학적으로 변경하게 되면 경제적인 효율도 좋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