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1)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의미
2)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특성
2. 요구분석(Need Assessment)
1) 요구분석의 개념
2) 교육요구분석방법
(1) 조사연구(survey)
(2) 면접법(interview)
(3)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
3) 요구분석의 작업절차 및 여과과정
3.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과정
1) 사회교육프로그램의 기획
(1) 프로그램기획의 개념
(2) 프로그램 기획의 원리
(3) 프로그램기획의 모형
2) 프로그램 설계
(1) 학습자분석
(2) 학습목표의 설정
(3)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과 조직
(4) 학습방법의 선정
(5) 학습지도안 구성
3) 프로그램의 실행
4.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참고문헌
1)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의미
2)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특성
2. 요구분석(Need Assessment)
1) 요구분석의 개념
2) 교육요구분석방법
(1) 조사연구(survey)
(2) 면접법(interview)
(3)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
3) 요구분석의 작업절차 및 여과과정
3.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과정
1) 사회교육프로그램의 기획
(1) 프로그램기획의 개념
(2) 프로그램 기획의 원리
(3) 프로그램기획의 모형
2) 프로그램 설계
(1) 학습자분석
(2) 학습목표의 설정
(3)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과 조직
(4) 학습방법의 선정
(5) 학습지도안 구성
3) 프로그램의 실행
4.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성 : ① 상황적인 요구 ② 상황적 가치 ③ 조직체의 요구 ④ 조직체의 과정 ⑤ 개인적 요구 ⑥ 개인적 가치
2) 프로그램 설계
(1) 학습자분석
: 학습자들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는 것을 학습자분석이라고 한다.
* 학습자 분석시 고려할 사항
- ① 생물학적 특성 ② 교육적 배경 ③ 정의적 특성 ④ 지각 및 운동적 특성
(2) 학습목표의 설정
: 교육목표나 목적은 교육자원을 선택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수 및 평가를 위한 절차를 개발하는 기준이 된다.
* 교육목표 수립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개인적 요구의 반영 ② 교육기관의 요구 ③ 사회적 요구의 적절한 반영 ④ 철학적 이념의 반영
(3)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과 조직
: 학습자분석이 끝나면 그것을 기초로 하여 학습목료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선정하게 된다.
a) 프로그램 내용 선정기준
① 합목적성 및 목표와의 일관성 ② 능력수준과 흥미에의 적합성 ③ 실용성 ④ 일(一)목적 다(多)목적의 원리 ④ 교육 및 학습지도 가능성 ⑤ 지역성 고려
b) 학습내용 조직 : 학습내용이 선정되고 나면 선정된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편성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된다. 학습내용을 조직함에 있어서는 ① 계열성 ② 통합성 ③ 계속성의 원리를 중시하여야 한다.
(4) 학습방법의 선정
: ‘교육의 주체가 누구인가?’ 즉 사회교육은 학교교육에 비해 학습자를 전제로 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5) 학습지도안 구성
- 학습목표, 내용, 방법이 모두 선정되고 나면 이를 기초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세워 하나의 안으로 만들어 문서화하게 된다. 이를 학습지도안이라고 한다.
학습지도안에는 ① 주의집중을 위한 도입 ② 학습목표 ③ 학습내용 ④ 수업방법 ⑤ 평가방법 그리고 기타 자료 및 장비 등의 주요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의 실행
- 구체적인 활동단계로 조직된 프로그램학습안과 실행형태가 결정된 후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단계.
① 라포형성 : 학습자 상호간 친밀한 분위기 조성
② 과정중심 전개 : 프로그램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어야 하자 즉각적 성과나 효과를 올리는 데 급급해선 안됨.
③ 비지시적인 지도방침 : 참여자에게 문제의식을 일으켜 그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
④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혼용 : 프로그램은 어떤 지식내용의 전달보다 태도와 기능의 변화에 목적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것은 교육방법 자체가 프로그램의 내용이 될 수 있다.
4.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모형은 다양하다. 그러나 어느 상황에서나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없다. 그러므로 사회교육자는 교육목적이나 교육내용에 따라 그리고 자기가 소속한 교육기관의 상황에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나름대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혁진 저, 신 사회교육론, 학지사 2012
전해황, 문종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정민사 2014
박성희, 송영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학지사 2013
이명수 저, 공통사회 교육론, UUP 2013
2) 프로그램 설계
(1) 학습자분석
: 학습자들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는 것을 학습자분석이라고 한다.
* 학습자 분석시 고려할 사항
- ① 생물학적 특성 ② 교육적 배경 ③ 정의적 특성 ④ 지각 및 운동적 특성
(2) 학습목표의 설정
: 교육목표나 목적은 교육자원을 선택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수 및 평가를 위한 절차를 개발하는 기준이 된다.
* 교육목표 수립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개인적 요구의 반영 ② 교육기관의 요구 ③ 사회적 요구의 적절한 반영 ④ 철학적 이념의 반영
(3)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과 조직
: 학습자분석이 끝나면 그것을 기초로 하여 학습목료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선정하게 된다.
a) 프로그램 내용 선정기준
① 합목적성 및 목표와의 일관성 ② 능력수준과 흥미에의 적합성 ③ 실용성 ④ 일(一)목적 다(多)목적의 원리 ④ 교육 및 학습지도 가능성 ⑤ 지역성 고려
b) 학습내용 조직 : 학습내용이 선정되고 나면 선정된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편성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된다. 학습내용을 조직함에 있어서는 ① 계열성 ② 통합성 ③ 계속성의 원리를 중시하여야 한다.
(4) 학습방법의 선정
: ‘교육의 주체가 누구인가?’ 즉 사회교육은 학교교육에 비해 학습자를 전제로 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5) 학습지도안 구성
- 학습목표, 내용, 방법이 모두 선정되고 나면 이를 기초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세워 하나의 안으로 만들어 문서화하게 된다. 이를 학습지도안이라고 한다.
학습지도안에는 ① 주의집중을 위한 도입 ② 학습목표 ③ 학습내용 ④ 수업방법 ⑤ 평가방법 그리고 기타 자료 및 장비 등의 주요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의 실행
- 구체적인 활동단계로 조직된 프로그램학습안과 실행형태가 결정된 후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단계.
① 라포형성 : 학습자 상호간 친밀한 분위기 조성
② 과정중심 전개 : 프로그램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어야 하자 즉각적 성과나 효과를 올리는 데 급급해선 안됨.
③ 비지시적인 지도방침 : 참여자에게 문제의식을 일으켜 그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
④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혼용 : 프로그램은 어떤 지식내용의 전달보다 태도와 기능의 변화에 목적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것은 교육방법 자체가 프로그램의 내용이 될 수 있다.
4.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 사회교육프로그램개발의 모형은 다양하다. 그러나 어느 상황에서나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없다. 그러므로 사회교육자는 교육목적이나 교육내용에 따라 그리고 자기가 소속한 교육기관의 상황에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나름대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혁진 저, 신 사회교육론, 학지사 2012
전해황, 문종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정민사 2014
박성희, 송영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학지사 2013
이명수 저, 공통사회 교육론, UUP 2013
추천자료
평생교육의 개념과 사회교육
[평생교육방법론]평생교육기관의 기관분석및 프로그램 분석 -영도구청 평생교육원 연구-
[평생교육방법론]평생교육기관의 기관분석및 프로그램 분석 -영도구청 평생교육원 연구-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음식으로 배우는 한국어
평생교육의 개념과 사회교육
평생교육방법론(관악여성인력개발센터의 쇼핑몰 창업과정의 교육매체)
평생교육경영론(동작여성인력개발센터와 남부여성발전센터의 교육프로그램 비교)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요구진단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사례조사 연구
[★우수★] [평생교육] 평생교육 및 사회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지역사회학교의 개념과 특징, ...
[평생교육방법론] 강의법과 시범의 정의 및 개념,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교수법의 차이점을 ...
평생교육론_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찾아 운영실태와 개선점을 제시...
평생교육론)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찾아 운영 실태와 개선점을 제...
소개글